목간으로 보는 일본 고대인의 일상 또는 2023 로이어스 헌법 선택형 집중
땅끝
2024-12-25 10:41
133
0
본문
목간으로 보는 일본 고대인의 일상

도서명 : 목간으로 보는 일본 고대인의 일상
저자/출판사 : 나라문화재연구소 엮음 · 하시모토 시게루 , 팡궈화 , 주류성
쪽수 : 216쪽
출판일 : 2022-09-10
ISBN : 9788962464863
정가 : 15000
머리말 - 목간으로의 초대 15
I. 목간이란 무엇인가?
1. 땅속의 글자는 무엇을 말하는가?
2. 수종(樹種), 서풍, 형태-다채로운 하찰(荷札)
3. 하나가쓰오인가 대나무 잎인가
4. 목간 사용의 시작
5. 목간의 세기는 언제부터?
6. 『日本靈異記』에 보이는 목간
7. 헤이안(平安)시대에 없어지는 하찰과 삭설
II. 목간의 발견! 역사의 발견!
8. 목간의 중요성을 결정지은 발견
9. 쓰레기 구덩이가 ‘표본창고자료’로
10. 메이지 시대와 전전(戰前)에 발견된 것-목간 연구 전사(前史)
11. 『日本書紀』 의 수식을 간파하다-‘군평논쟁(郡評論爭)’과 목간
12. 후지와라쿄(藤原京) 조영 과정의 해명
13. 나가야왕(長屋王) 저택을 결정지은 관청의 편지
14. ‘나라쿄(奈良京)’의 발견
III. 목간 사용법
15. 문서를 감는 「축」도 목간
16. 깎아서 철저히 재활용
17. 폐기된 후 화장실이나 제사에서 또 다시 목간을!
18. 개, 학, 우유도 등장
19. 밝혀진 고대의 문서주의
20. 정창원이 지킨 목간
21. 나무와 종이의 차이점
IV. 저것도 목간? 이것도 목간!
22. 추첨인가, 게임인가, 점인가
23. 일상 업무를 전달하는 제첨축
24. 마게모노(曲物)에 남아 있는 장인과 관인의 시선
25. 나무의 특성과 목간의 기능
26. 주술에 관한 의미 탐구
27. 얇은 판자에 쓰인 ‘고케라경’
28. 다이조인(大乘院)의 장기알 목간
27. 얇은 판자에 쓰인 ‘고케라경’
28. 다이조인(大乘院)의 장기알 목간
V. 목간 깊게 이해하기
29. 명품 미역은 예나 지금이나
30. 한국 전복에 대한 쇼무(聖武)의 마음
31. 문자 형태는 시대를 알려준다
32. 관리와 장작의 의외의 관계
33. 고대의 쌀은 적미(赤米)?
34. 기록되지 않은 연대를 찾다
35. 도성 밖의 하찰은 무엇을 이야기하는가?
VI. 목간으로 보는 고대인의 일상
36. 약 하찰과 꼬리표가 말하는 것
37. 잃어버린 대보령(大寶令)을 풀어내다
38. 핑계를 대며 쉬는 것도 목간으로
39. 필적에 번진 관리의 민얼굴
40. 부탁하는 편지를 쓰는 방법 - 하급 관인의 교양
41. 이즈베(出部) 씨, 신모노(?慕) 씨는 누구? - 희귀한 성씨
42. 헤이조큐(平城宮)의 불사(佛事)를 엿보다
VII. 목간을 미래에 전하기 위해
43. 물갈이의 여름, 만남의 여름?
44. 보존과 활용 사이에서 - 실물을 보여드리고 싶다
45. 적외선은 만능인가?
46. 목간과 연륜연대학의 만남
47. 연륜(나이테)으로 목간을 해독하기 위하여
48. 목간을 연결하는 나뭇결 바코드
49. 연륜(나이테)을 통해 목재의 산지를 좁히다
맺음말 - 그들이 살아 있었던 증거
참고문헌
후기
역자후기
집필자 소개(2020년 현재)
색인
2023 로이어스 헌법 선택형 집중

도서명 : 2023 로이어스 헌법 선택형 집중
저자/출판사 : 김태성, 헤르메스
쪽수 : 336쪽
출판일 : 2022-03-25
ISBN : 9791156937043
정가 : 25000
제1편 헌법총설과 기본권론 일반 … 2
제1장 헌법총설 … 2
제1절│헌법의 개념과 분류 … 2
제2절│헌법과 헌법해석 … 3
제3절│헌법의 구성요소 … 6
제4절│한국헌법의 기본원리 … 9
제1항 한국헌법의 前文 … 9
제2항 법치국가의 원리 … 11
제3항 문화국가의 원리 … 21
제2장 기본권론 일반 … 23
제1절│기본권보장의 역사 … 23
제2절│기본권의 성격 … 23
제3절│기본권의 주체 … 24
제4절│기본권의 포기 … 29
제5절│기본권의 효력 … 29
제6절│기본권의 보호의무 … 29
제7절│기본권의 경합과 충돌 … 34
제8절│기본권의 제한과 그 한계 … 35
제9절│기본권의 침해와 구제 … 38
제2편 기본권론 각론 … 40
제1장 인간의 존엄과 가치ㆍ행복추구권ㆍ평등권 … 40
제1절│인간의 존엄과 가치ㆍ행복추구권 … 40
제2절│평등권 … 47
제2장 자유권적 기본권 … 58
제1절│인신에 관한 자유 … 58
제1항 생명권 … 58
제2항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 … 58
제3항 신체의 자유 … 58
제2절│사생활영역의 자유 … 75
제1항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 75
제2항 주거의 자유 … 81
제3항 거주ㆍ이전의 자유 … 82
제4항 통신의 자유 … 83
제3절│정신생활영역의 자유 … 84
제1항 양심의 자유 … 84
제2항 종교의 자유 … 87
제3항 언론ㆍ출판의 자유 … 88
제4항 집회ㆍ결사의 자유 … 98
제5항 학문과 예술의 자유 … 104
제4절│경제생활영역의 자유 … 105
제1항 재산권 … 106
제2항 직업의 자유 … 114
제3항 소비자의 권리 … 122
제3장 정치적 기본권 … 122
제1절│정치적 자유권의 개관 … 122
제2절│참정권 … 122
제3절│정당제도 … 123
제4절│저항권 … 130
제5절│선거제도 … 130
제6절│공무원제도 … 140
제4장 청구권적 기본권 … 148
제1절│청구권적 기본권의 개관 … 148
제2절│청원권 … 149
제3절│재판청구권 … 150
제4절│국가배상청구권 … 156
제5절│형사보상청구권 … 158
제6절│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 … 159
제5장 사회적 기본권 … 160
제1절│사회적 기본권의 개관 … 160
제2절│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 162
제3절│교육을 받을 권리 … 167
제4절│근로의 권리 … 176
제5절│근로3권 … 178
제6절│환경권 … 179
제7절│혼인과 가족생활의 보장 … 180
제6장 국민의 기본적 의무 … 186
제3편 통치구조론 … 188
제1장 통치구조의 구성원리 … 188
제1절│대의제와 민주주의 … 188
제2절│권력분립의 원리 … 191
제3절│정부형태 … 192
제2장 국회 … 193
제1절│의회주의 … 193
제2절│국회의 구성과 조직 … 193
제3절│국회의 운영과 의사절차 … 195
제4절│국회의 권한 … 198
제1항 입법에 관한 권한 … 198
제2항 재정에 관한 권한 … 208
제3항 국정통제에 관한 권한 … 214
제4항 국회의 자율권 … 218
제5절│국회의원의 헌법상 지위와 특권 … 218
제3장 대통령과 정부 … 223
제1절│대통령 … 223
제1항 대통령의 헌법상 지위와 신분관계 … 223
제2항 대통령의 권한과 그에 대한 통제 … 225
제2절│행정부 … 249
제1항 국무총리 … 249
제2항 국무위원ㆍ행정각부의 장ㆍ국무회의ㆍ자문기관 … 252
제3항 감사원 … 253
제3절│선거관리위원회 … 255
제4절│지방자치제도 … 256
제4장 법원 … 261
제1절│사법권의 의의 … 261
제2절│사법권의 독립 … 268
제3절│법원의 조직 … 271
제4절│사법절차와 운영 … 271
제4편 헌법소송론 … 272
제1장 헌법재판 일반 … 272
제1절│헌법재판제도의 역사 … 272
제2절│헌법재판소의 헌법상 지위 … 273
제3절│헌법재판소의 구성과 조직 … 274
제4절│헌법재판소의 일반심판절차 … 274
제2장 위헌법률심판 … 286
제3장 헌법소원심판 … 288
제4장 권한쟁의심판 … 318
종합문제 … 330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