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추럴 페어링 또는 새로 쓰는 우리 고대사
땅끝
2025-01-04 07:51
162
0
본문
내추럴 페어링

도서명 : 내추럴 페어링
저자/출판사 : 장보현, 좋은생각
쪽수 : 256쪽
출판일 : 2022-01-17
ISBN : 9791187033769
정가 : 18000
차례
편집자의 말
프롤로그
겨울
겨울의 맛을 듬뿍 담은 한 그릇
페타치즈와 꿀을 곁들인 늙은 호박 오븐 구이
우엉 잡채
참깨 닭안심 튀김
바지락 찜
파래 새우전
생강채와 유자청을 곁들인 삼치 구이
긴 계절, 입맛을 돋우는 별미
서리태 스프레드 부라타치즈
당근 라페 치아바타 샌드위치
마스카르포네치즈를 넣은 찐 고구마
콜리플라워 버터 구이
문어 세비체
트러플 오일 생연어 카르파초
생앙드레치즈 호두곶감말이
추위를 이겨낼 든든한 한 끼
유자 드레싱 배추 샐러드와 돼지고기 수육
귤 소스 돼지고기 육전
들깨 드레싱 연근 샐러드와 떡갈비
밤 조림 소갈비 찜
유자 간장을 곁들인 토시살 산적
섬초 퓌레를 곁들인 굴 찜
뿌리채소 양고기 스튜
봄
봄, 계절 본연의 맛을 담은 한 그릇
봄동 샐러드
새조개 새싹 샐러드
페타치즈로 속을 채운 대저 토마토
진달래화전과 쑥전
아스파라거스 오렌지 부라타치즈 샐러드
입맛 돋우는 풍미 가득 일품 요리
생참기름 드레싱 달래 샐러드와 아롱사태 수육
김 페스토 주꾸미 숙회
풋마늘 닭다리살 구이
허브 간장소스 도미 구이
참나물 페스토 가자미 구이
참나물 페스토 가자미알 파스타
간단하지만 품위 있는 한 끼
대패삼겹살 미나리말이
에그 미모사
마늘종 고기 볶음 라이스페이퍼말이
햇마늘 버터 바게트
들깨 드레싱 죽순 무침
리코타치즈를 곁들인 구운 비트 샐러드
여름
여름, 생기 넘치는 재료의 맛
완두콩 타르틴
체리 콩포트 브리치즈 구이
크림치즈로 미니 파프리카 구이
호박꽃 튀김
애호박 라자냐
햇감자 허브 크러스트 오븐 구이
찰옥수수전
멜론 카르파치오
시원하고 간단하게 즐기는 요리
참외 프로슈토
초당 옥수수 고수 샐러드
차지키 그릭 샐러드
오이 딜 샌드위치
오이 편수
명란젓 콜드 파스타
리코타치즈 수박 큐브
더위에 지친 몸을 깨우는 한 그릇
성게알 밥전
완두콩 퓌레 오리가슴살 스테이크
차지키 소스 가지 튀김
한치 리소토
닭가슴살 잣 국물탕
홍고추 페이스트 민어전
명란젓 감자전
고추장 소스 장어 구이
청사과 시나몬 졸임
가을
가을, 풍요로운 계절의 맛
무화과 춘권피 타르트
다래 보코치니치즈 샐러드
샤인머스캣 크림치즈 견과류 볼
밤 버터 구이와 풋대추, 미니사과를 곁들인 치즈 플래터
영양 가득 든든한 가을 보양식
쪽파 페스토 대하 구이
초장 소스 비단 홍가리비 찜
꼴뚜기 숙회
안초비 떡볶이
땅콩 소스 양갈비 스테이크
단호박 퓌레 돼지갈비 구이
배를 곁들인 비프 타르타르
배 처트니를 곁들인 LA갈비
풍부한 향취를 머금은 특별식
발사믹 소스 무화과 닭다리살 조림
청포도 식초와 배즙을 곁들인 낙지 숙회
표고버섯 떡갈비
노루궁뎅이버섯 튀김
양송이 퓌레 마카로니
콩테치즈 소스 돼지안심 구이
단감 하몽 부라타치즈 샐러드
Index
새로 쓰는 우리 고대사

도서명 : 새로 쓰는 우리 고대사
저자/출판사 : 서의식, 솔
쪽수 : 424쪽
출판일 : 2021-08-16
ISBN : 9791160201574
정가 : 23000
책을 펴내며
머리말
제1장 왕검조선의 건국과 기자조선으로의 발전
1. 단군과 치우, 우리 역사의 서막을 열다
2. 마지막 단군이 왕검조선을 건국했으나 쫓겨나다
▶ 예족과 맥족
▶ 철기문화의 두 가지 길
3. 기자조선으로 왕권이 교체되고 부여와 서국이 서다
4. 기자조선이 발전하며 변모하다
▶ 이중용립구조
제2장 기자조선의 변동과 삼국으로의 재편, 토착세력의 가야 형성
1. 위만조선이 흥하고 쇠퇴하며 예맥 사회가 급변하다
2. 삼한사회의 변동에 따라 진왕 위가 옮겨 가다
3. 신라가 건국하자 마한 중심 ‘진국체제’가 크게 동요하다
▶ 하호
4. 부여 사회가 변화하며 발전하다
5. 고구려의 건국으로 북방 사회가 재편되다
6. 백제가 건국하자 마한 사회가 요동치다
7. 삼한에 자극받은 토착세력이 여섯 가야를 건설하다
▶ 식읍
▶ 녹읍
제3장 삼국의 발전과 쟁패
1. 삼국이 서로 패권을 다투며 발전하다
2. 고구려 소수림왕에 이어 광개토대왕이 위업을 이루다
3. 광개토대왕릉비문 ‘신묘년조’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다
4. 신라 나물계 왕족이 진정한 골족임을 내세우다
5. 신라 법흥왕이 관제를 개편하고 진흥왕이 영토를 넓히다
6. 백제 무령왕과 성왕이 나라의 부흥을 꾀했으나 이루지 못하다
7. 고구려 장수왕의 장기 집권으로 나라의 기반이 흔들리다
▶ 평강공주의 선택과 장수 온달의 활약
제4장 신라의 삼국통일과 ‘삼한’시대의 종언
1. 백제가 변혁에 실패하여 결국 멸망하다
▶ 김춘추와 김유신
2. 고구려가 수를 물리쳤으나 당의 공작으로 자멸하다
3. 일본에서 한민족의 자취와 문화유산을 만나다
▶ 일본의 고대사 왜곡
4. 신라의 ‘삼한일통’에서 민족 생존의 길을 읽다
사진 출처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