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기양양 설득심리술 또는 창업가의 습관
땅끝
2025-01-04 07:51
180
0
본문
의기양양 설득심리술

도서명 : 의기양양 설득심리술
저자/출판사 : 타고 아키라, 경성라인
쪽수 : 255쪽
출판일 : 2022-01-25
ISBN : 9788955641868
정가 : 13000
제1장. ‘계산을 꿰뚫어보는’ 설득심리술
1. 결론을 내리지 못하는 기대감
2.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지 못하는 사람
3. ‘악’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사람
4. 냉정함과 정당한 자세
5. 결단을 내리게 하는 비결
6. ‘동조 심리’의 메커니즘
7. 결정권을 가진 사람을 설득하기 위한 전술
8. 집중되고 있는 힘을 분산
9. 이쪽의 잘못을 쉽게 인정
10. 의식적으로 경어를 사용
11. 난공불락의 상대를 설득
12. 충격이 완화되는 심리 메커니즘
제2장. ‘욕망을 꿰뚫어보는’ 설득심리술
1. 두 사람의 심리적 거리
2. 운명이나 우연에 의지하고 싶은 마음
3. 말투 하나로 목적을 달성
4. 이해관계가 없는 제삼자의 정보
5. 상대가 자발적으로 들어야겠다는 자세
6. ‘대답은 하나밖에 없다.’는 단정
7. 라이벌의 칭찬
8. 자연스럽게 이쪽의 문제로 끌어들이는 작전
9. ‘꺼려하는 인상’을 가장
10. 상대의 입장에 서서 그때까지의 상대의 수고를 위로
11. 상대의 대항의식을 봉쇄
12. 생리적 욕구의 충족
13. ‘싫기 때문이 아니라 할 수 없기 때문일 거.’라는 부추김
14. ‘내가 당신이라면’이라는 말의 설득력
15. ‘우리들’이라는 공통점
16. 추상도가 높은 문제
17. 칭찬과 웃음의 신뢰관계
제3장. ‘반감을 꿰뚫어보는’ 설득심리술
1. 모든 수단을 보이는 것
2. 불난 집에 부채질
3. 긴장된 마음의 치유법
4. ‘알았다.’는 말은 언어상의 트릭
5. 뒤끝이 없는 사이
6. 답변하는 행동
7.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향
8. 자존심을 건드려야 하는 벽창호
9. 상대가 느낄 감정을 자신이 먼저 파악
10. 한 발 양보하면 결국은 백 보를 양보
11. 타이밍 간파
12. 얼버무리는 방법
13. 흥분해 있는 상대가 진정되는 동작
14.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15. ‘노’가 ‘예스’로 바꾸는 교묘한 수법
16. 논쟁 상대를 침묵하게 만들고 싶을 때
제4장. ‘본심을 꿰뚫어보는’ 설득심리술
1. 선입관의 전달
2. 책임소재가 확실히 밝혀지지 않는 상태에서의 대처
3. 상대의 주장을 받아들이는 것 같은 태도
4. ‘일치된’ 의견의 근본 공격
5. 초점이 되고 있는 문제를 지나칠 만큼 과장
6. 감정이 폭발할 때의 적나라한 모습
7. 여운을 남기고 기회를 다음으로
8. 직면한 논의 속에서의 일치점
9. 두터운 방어벽
10. ‘할 수 있다.’는 플러스 자기암시
11. 상대를 움직이게 하는 비결
12. 우유부단의 심리적 압박감
13. 결론의 단서를 맡기는 심리적 급소
14. 경계심을 만드는 ‘역할기대’
15. 자신이나 타인에게도 이익이 된다는 명분
16. 간파하지 못하는 나머지 99의 거짓말
제5장. ‘약함을 꿰뚫어보는’ 설득심리술
1. 상대에게 우월감을 가지게 하는 테크닉
2. 반론을 경청하는 태도로 바뀌는 타이밍
3. 왜 그 사람에게 부탁하는지를 강조
4. 뒤처져 있는 것은 자신만이 아니라는 것의 인식
5. 가장 부조화를 이루는 해질녘
6. 그 문제의 중대성을 강조
7. 교착상태에서의 양보의 정도
8. 선택하기를 바라는 것은 반드시 뒤로
9. 상대의 기선을 제압하는 조건
10. 일인자의 권위
11. 심리적인 동정 메커니즘
12. ‘실패하지 말라.’라는 마이너스 암시
13. ‘관심을 가져주어야겠다.’는 심리적 책임감
창업가의 습관

도서명 : 창업가의 습관
저자/출판사 : 이상훈, 좋은습관연구소
쪽수 : 264쪽
출판일 : 2022-01-10
ISBN : 9791191636154
정가 : 16000
1부 사업 마인드를 만드는 습관
① 창업이란
1. 창업은 탐험이다. 목표를 정하고 계속 도전한다. 길이 뚫릴때까지!
2. 창업 계획은 냅킨 한 장이면 충분하다.
3. 창업은 체질을 바꾸는 과정이다.
4. 창업에 고통은 필수다. 고통에 익숙해지는 과정이 창업이고, 익숙해져 자동으로 돌면 시스템이 된다.
5. 창업의 세 가지 방법: 주경야독, 선경후독, 원조후독
6. 사업의 시작은 하나씩 파는 것, 상품 하나를 파는데 처음부터 많이 알릴 필요는 없다.
7. 부자처럼 살면 부자가 되는 게 아니라, 돈을 벌어야 부자가 된다. 브랜드를 만들어야 잘 팔리는 게 아니라, 많이 팔리면 브랜드가 된다.
8. 이기는 싸움을 하고 이익 나는 사업을 하자. 창업, 수익 구조는 알고 시작하라.
9. 가격 정책의 기본은 흥정이다. 고객의 주머니 사정에 따라 가격은 결정된다.
10. 플랫폼 서비스의 시작, 한쪽씩 잘라서 공략하고 작게 시작한다.
11. 사업은 고객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원하는 가치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② 관점 바꾸기
12. 영업은 사람에 의존하고 마케팅은 시스템에 의존한다.
13. 일 안 해도 들어오는 패시브 인컴은 없다. 자본 수익도 액티브 인컴이다.
14. 노비는 일 중심, 주인은 맥락 중심이다. 사업은 판을 장악하는 것이다.
15. 마케팅 모델은 생각의 틀이다. 퍼널 모델과 엔진 모델의 차이는 단골 풀에 있다.
16. 사업 목표는 매출 확대도 고객 확보도 아니다. 시스템 성능, 즉 ‘확률’이다.
17. 브랜딩이란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이 아니라, 단골을 늘려가는 과정이다.
18. 고수는 내 탓을 하고, 하수는 남 탓을 한다. 내 탓을 해야 문제 해결 주도권을 내가 가질 수 있다.
19. 마케팅 2.0에서 3.0으로 넘어가는 지름길은 CS다. 방어적 AS에서 선제적 AS로 바꾸고, CS 부서가 상품 개발팀 역할을 해야 한다.
20. 이제 제조업은 없다. 모든 비즈니스는 서비스업이다.
③ 훈련하기
21. 성공을 결정하는 건, 아이템이 아니라 창업가의 태도이다.
22. 사업은 신박한 개편이 아니라 작은 수정의 반복이다.
23. 공부하지 말고 검색해라. 우선 실행하고 막히면 검색해라.
24. 사업은 가설과 검증의 반복이다. 감과 데이터, 두 개의 날개로 날아야 멀리 오래갈 수 있다.
25. 측정하기 어려운 고객 인식에 돈 쓰지 말고, 측정할 수 있는 고객 행동에 집중하라.
26. 책이 아니라 고객을 읽어라. 트랜드도 아이디어도 고객의 소리에서 나온다.
27. 비즈니스는 흐름이다. 고객의 흐름, 자연의 흐름, 세상의 흐름을 알아야 한다.
28. 성과가 안 나오는 건 능력 부족 탓이 아니라, 방법을 못 찾았거나 실행을 안 했기 때문이다.
29. 꾸준히 한다는 것은 안 빼먹고 계속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시도하겠다는 것이다.
30. 스트레스 없이 매출을 올리려면, 팔려 하지 말고 팔리는 프로세스를 만들어라.
2부. 사업 시스템을 만드는 습관
④ 시스템이란
31. 창업은 시스템을 창조하는 것, 태양계 하나를 만드는 일이다.
32. 론칭이라는 말 함부로 쓰지 말자. 발사는 전체 시스템이 완성된 다음에야 가능하다.
33. 급한 일로 단기 성과가 급하게 필요할 때도 시스템을 활용하여 전략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
34. 엔진이 고장인데 문짝을 고치고 있으면 안 된다. 시스템 어디가 문제인지 단계별로 확인하라.
⑤ 시스템 만들기
35. 마케팅이란 저수지에서 우리 집 연못으로 연결되는 수로를 하나씩 만드는 것이다.
36. 저수지로부터 내려오는 물이 줄었다면, 새로운 저수지를 찾거나 펌프의 성능을 개선해야 한다.
37. 창업 시 필요한 것은 홈페이지가 아니라 랜딩페이지다.
38. 광고는 고객의 시간을 빼앗지만, 맛보기는 고객의 경험을 더해준다.
39. 소개팅 잘해 봤자 연애 못하면 꽝이다. 광고 아무리 잘해도 맛보기가 좋아야 팔린다.
40. 고객의 결정을 이끌어 내려면 잘 짜인 경험 시나리오가 필요하다.
41. 사업은 고객의 행동을 상상하고 연출하는 한 편의 영화를 만드는 것이다.
42. 리마케팅은 헤어진 옛 애인에게 술 먹고 전화하는 격이다. 있을때 잘하자.
43. 단골 상품의 돌파구는 결국 멤버십이다. 일회성이나 구매 주기가 긴 상품도 마찬가지다.
44. 팬클럽에서 스타가 메인이듯, 팬덤 커뮤니티에선 상품이 메인이다.
⑥ 조직 만들기
45. 인재 채용, 소통과 자기 관리 능력 즉, 태도와 인성이면 충분하다.
46. 직원에게 주인 의식을 줄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알아서 하기를 기대하지 말고, 알아서 돌아가는 시스템을 만들어라.
47. 시스템이 있고 역할과 피드백이 명확하면 직원도 주인 의식이 생긴다.
48. 고객 지원 부서의 역할은 단골 상품 개발이다. 지원 부서가 아니라 상품 개발팀이 되어야 한다.
49. 비즈니스는 관계를 발전시키는 시스템이다. 고객과의 관계는 마케팅, 직원과의 관계는 조직 문화다.
50. 사업 정체기를 벗어나려면 구조를 바꿔야 한다. 루틴한 업무는 맡기고 내 시간을 빼야 한다.
부록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