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바조의 삶과 예술, 그리고 죽음 또는 만화로 배우는 조선 왕실의 신화
땅끝
2024-12-25 10:41
127
0
본문
카라바조의 삶과 예술, 그리고 죽음

도서명 : 카라바조의 삶과 예술, 그리고 죽음
저자/출판사 : 고일석, 좋은땅
쪽수 : 240쪽
출판일 : 2022-05-10
ISBN : 9791138808705
정가 : 15000
null
만화로 배우는 조선 왕실의 신화

도서명 : 만화로 배우는 조선 왕실의 신화
저자/출판사 : 우용곡, 한빛비즈
쪽수 : 368쪽
출판일 : 2022-02-18
ISBN : 9791157845637
정가 : 19800
[프롤로그]
1화 신화의 탄생
길례와 사전: 의례를 통한 통치의 실현
2화 국토의 신 국사, 곡식의 신 국직
사직제 친행의 정치적 성격
3화 토지의 신 후토 구룡씨
후토신의 신앙 변천 과정
4화 오곡의 신 후직 희기
후직 탄생신화 깊이 읽기
5화 유교의 귀신
유교에도 내세관이 있는 걸까?
6화 신이 된 제왕들, 종묘 정전
국왕의 권위와 정통성의 표상, 종묘
7화 해동 육룡이 나르샤, 사대고조
영녕전에 모셔진 사연 많은 임금들
8화 국가와 백성의 수호신, 공신과 칠사
종묘 속 또 다른 사당 공민왕 신당을 아시나요?
9화 농사의 신, 신농씨
설렁탕은 선농제에서 유래한 것일까?
10화 양잠의 신 서릉씨
성세의 재현을 꿈꾼 영조, 정순왕후의 친잠례를 기획하다
11화 날씨의 신, 풍운뇌우
기우의례 속에 나타난 주술성과 도덕성
12화 명산대천과 성황신
유교와 무속이 충돌한 종교 권력의 현장, 성황사
13화 악 해 독
산천 제례의 국가 제례 편입과 운영
14화 우사단의 여섯 신
기우제의 현장, 우사단
15화 문선왕과 제자들
소상으로 모셔진 공자를 대하는 어느 유학자의 시선
16화 동국 18현
도통과 문묘종사: 조선을 이해하는 또 하나의 키워드
17화 단군왕검
민족의 시조 단군 인식의 발전상
18화 문명의 상징, 기자조선
인류 보편 문명의 전수자, 기자
19화 역대 시조묘
건국 시조를 기억하는 공간, 역대 시조묘
20화 관우와 전쟁의 신
관왕묘 제례와 ‘충’의 강조
21화 영성과 노인성
별에 대한 제사, 영성제와 노인성제
22화 말(馬)의 신
마제와 둑제의 여러 모습
23화 여제와 무사귀신
재난을 방지하던 제사, 여제
24화 대한제국의 신들
미완의 제국과 함께 미완으로 남은 예서, 《대한예전》
[에필로그]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