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식의 대북정책 바로잡기 또는 어린이를 노래하다
땅끝
2024-12-25 10:41
108
0
본문
김근식의 대북정책 바로잡기

도서명 : 김근식의 대북정책 바로잡기
저자/출판사 : 김근식, 책밭
쪽수 : 220쪽
출판일 : 2022-03-07
ISBN : 9791185720449
정가 : 14500
개정판 서문
초판서문 | 햇볕론자의 변절인가? 성찰인가?
1. 새로운 대북정책: 왜 필요한가?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의 실패 / 19
2. 변화된 현실, 근본적 변화
핵개발국이 아닌 핵보유국 북한 / 26
김정일과 다른 김정은의 국가전략 / 29
① 미국에 매달리지 않는 김정은: ‘선택적 병행’ 전략 / 30
② 한국에 의존하지 않는 김정은: ‘두개의 조선(Two Koreas)’ 전략 / 34
③ 핵포기를 포기한 김정은 / 38
3. 대북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대북포용의 한계를 넘어: 일방적 포용에서 구조적 개입으로 045
① 개입정책으로서 햇볕정책 045
② 포용정책의 한계: 분단의 상대방에 대한 개입의 어려움 048
③ 일방적 포용에서 구조적 개입으로: 북한 변화를 위하여 050
④ 보수와 진보의 발전적 진화 052
평화경제론과 기능주의의 한계: 이상과 현실 055
① 평화경제론의 한계: 개성공단의 운명 055
② 기능주의 이론과 대북 포용정책 057
③ 한국적 기능주의의 구조적 한계 060
④ 기능주의의 성공을 위하여: 교류협력과 흡수통일의 결합 061
평화공존을 넘어 평화적 흡수통일로 066
① 흡수가 통일의 본질 066
② 통일과정의 원칙으로서 역동성과 진보성 070
③ 독일통일의 사례: 평화적 흡수통일의 역동성 072
④ 예멘통일의 사례: 합의형 대등통합의 취약성 081
⑤ 독일과 예멘의 차이: 화해협력기간과 민주화의 필요성 089
⑥ 한반도식 평화적 흡수통일의 필요조건들 095
남북관계 중년부부론 101
① 대북강경도 대북포용도 남북관계 진전시키지 못했다 101
② 탈냉전 이후 남북관계: 잘 안 되는 게 오히려 정상 106
③ 남북관계의 구조적 딜레마: 힘으로 정의되는 남북관계 110
④ 분단체제와 정전체제라는 구조적 길항성 116
⑤ 북핵문제 악화와 상호 적대의식 강화 119
⑥ 염북(厭北), 혐북(嫌北) 의식 확대와 대남 被모욕감 증대 122
⑦ 신혼과 이혼의 남북관계를 넘어 125
⑧ 남북관계의 현실적 접근: 중년부부론과 국가성의 인정 132
평화체제론에서 민주평화론으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비현실성 139
① 정전체제의 평화체제로의 전환: 이상과 현실 139
② 실패로 판명난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141
③ 평화체제라는 필요조건: 현실성과 가능성? 145
④ 북한 내부의 정치적 변화라는 충분조건: 민주평화론 150
⑤ 평화체제론을 넘어 민주평화론으로 155
올바른 북한인식: 친북과 반북을 넘어 158
? 극단적 북한인식의 현주소 158
? 북한의 현실과 입장에 대한 인식 160
? 반북주의와 친북주의의 오류 163
? 친북과 반북을 넘어: 지북(知北)과 애북(愛北)의 관점 168
4. 북핵해법의 새로운 모색
북핵해법에 관한 불편한 진실/ 176
비핵화 사례: 성공 요인과 실패 요인 181
① 우크라이나 모델: 핵기술의 취약성 181
② 리비아 모델: 제재의 효과 184
③ 남아공 모델: 정권교체 185
④ 파키스탄 모델: 상대국과의 오랜 적대관계 187
⑤ 비핵화의 성공과 실패 요인들 189
북한 비핵화에 주는 함의: 성공요인의 결여와 실패요인의 강화 194
북핵문제에서 북한문제로: 남아공 모델 202
북핵해법: ‘시간이 우리 편’이라는 발상의 전환 206
5. 결론에 대신하여
모든 길은 ‘북한 변화’로 통한다 213
북한 변화는 가능한가? 218
어린이를 노래하다

도서명 : 어린이를 노래하다
저자/출판사 : 도종환, 미디어창비
쪽수 : 372쪽
출판일 : 2022-05-05
ISBN : 9791191248630
정가 : 22000
개정판 서문: 어린이 곁에 선 작곡가
초판 서문: 정순철의 생애를 복원하며
1장 정순철은 누구인가?
2장 해월 최시형의 도피생활과 동학
수운의 순도와 영해교조신원운동
수운과 해월
해월의 동학사상
김씨부인과 최윤의 출생
3장 동학혁명과 최윤과 정순철
동학혁명과 충청도
최윤과 정주현
해월의 죽음과 정순철의 어린 시절
4장 정순철의 가출과 손병희
정순철의 가출과 가회동 집
손병희와 천도교
천도교소년회와 방정환과 정순철
5장 동경음악학교 유학과 색동회 창립
동경음악학교 유학
윤극영과 정순철
색동회 창립
6장 어린이날과 어린이 문화운동
1925년 어린이날 기념행사
‘어린이’와 어린이날
어린이 운동의 사상적 배경
7장 우리나라 동요운동의 전성기
동요 작곡가 정순철
정순철의 노래 그리고 「짝짜꿍」
정순철 동요의 음악적 평가
동요 전성기의 4대 작곡가
8장 색동회 활동과 정순철
색동회와 정순철
세계아동예술전람회
방정환의 죽음
9장 녹양회와 음악 교사 정순철
경성보육학교 운영
녹양회와 아동극
음악 교사 정순철
10장 졸업식 노래와 노래동무회
일제 말기 색동회 활동과 두 번째 유학
졸업식 노래
윤석중과 노래동무회
11장 최윤과 용담정
최윤과 상제교 김연국
상제교의 신학
용담할머니 최윤과 용담정
12장 6ㆍ25와 정순철의 납북
6ㆍ25와 정순철의 납북
북에서의 정순철
주
참고문헌
부록
정순철 연표
정순철 연보
정순철 악보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