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현질하는 아이 삼성 주식 사는 아이 또는 역사 속의 독도와 울릉도
땅끝
2025-01-04 07:51
112
0
본문
게임 현질하는 아이 삼성 주식 사는 아이

도서명 : 게임 현질하는 아이 삼성 주식 사는 아이
저자/출판사 : 김선, 베리북
쪽수 : 228쪽
출판일 : 2021-10-20
ISBN : 9791188102099
정가 : 14800
프롤로그 우리 아이 부자 만들기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Chapter 1. [입문] 우리 아이 경제교육을 위한 부모의 마음가짐
01. 초등 시기의 경제교육이 필수인 이유
02. 돈이 가져다줄 수 있는 가장 커다란 보상
03. 금융문맹으로 자란 아이가 마주할 현실
04. 경제교육의 부재로 일어나는 금융 사건
05. 자기주도학습은 용돈 관리에서 시작한다
심화 학습 초등학교 교육과정 중 경제교육 영역 살펴보기
고민 상담소 아이에게 돈을 가르치는 속도에 관하여
Chapter 2. [기본] 용돈으로 시작하는 우리 아이 경제교육
01. 초등 아이에게 용돈이 꼭 필요할까?
02. 아이의 나이마다 얼마의 용돈을 줘야 할까?
03. 아이의 용돈을 정할 때 고려해야 할 점
04. 용돈 기입장으로 금융교육 시작하기
05. 아이의 세뱃돈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06. 용돈으로 불거진 교실 속 학교 폭력 사례
심화 학습 해외 경제교육 사례 1. 유대인
고민 상담소 친구들이 아이 용돈을 탐낸다면
Chapter 3. [발전] 용돈 저축과 관리를 통한 금융 경험 쌓기
01. 저금리 시대에도 저축을 가르쳐야 하는 이유
02. 용돈을 가치 있게 쓰는 방법
03. 아이 스스로 용돈을 늘리는 방법 가르치기
04. 아이의 은행 계좌 개설과 관리 방법
05. 지금 아이에게 청약 통장이 필요한 이유
06. 가족을 위해 용돈을 사용하는 법
심화 학습 해외 경제교육 사례 2. 독일, 프랑스
고민 상담소 은행을 찾아가는 것도 버거운 부모라면
Chapter 4. [응용] 우리 가족 경제 규모 이해하기
01. 아이와 가계 상황에 관한 대화가 필요한 이유
02. 우리 집의 수입을 아이에게 알려 줘야 할까?
03. 가계부 작성으로 생활비 흐름 파악하기
04. 개인별 상황에 맞춘 사교육비 재설정
05. 생활 패턴 분석을 통한 생활비 줄이는 방법
심화 학습 해외 경제교육 사례 3. 일본
고민 상담소 민감한 지출까지 아이와 이야기해야 하는 이유
Chapter 5. [심화] 기부 활동을 통한 자연스러운 경제교육
01. ‘아름다운 가게’를 통한 물품 기부
02. 알뜰 시장을 통한 재미있는 기부 활동
03. 국내외 기부단체를 통한 정기 후원
04. 봉사활동과 재능 나눔을 통한 기부 경험 쌓기
05. ‘같이의 가치’를 일깨우는 사회적 경제교육
심화 학습 우리가 내는 세금의 종류와 규모
고민 상담소 부모가 먼저 기부에 나서기 힘들다면
Chapter 6. [최상위] 우리 아이의 슬기로운 첫 투자
01. 미래 가치에 투자하는 방법, 주식으로 알려주기
02. 아이 주식 계좌 개설하는 법
03. 똑똑하게 증여하는 방법
04. 보험 가입, 안전하고 똑똑하게
05. 부자들은 왜 금, 달러에 투자할까?
심화 학습 다양한 금융교육 체험 프로그램 활용하기
고민 상담소 아이가 신용카드를 요술 램프라고 생각해요
에필로그 저의 가난을 물려주고 싶지 않았습니다
참고자료
역사 속의 독도와 울릉도

도서명 : 역사 속의 독도와 울릉도
저자/출판사 : 유미림, 지식산업사
쪽수 : 464쪽
출판일 : 2021-10-15
ISBN : 9788942390991
정가 : 24000
1부. 근대기 일본의 울릉도·독도 침탈과 한국의 독도 실효지배
1. 초대 울도군수 배계주의 행적
2. 울도군수의 과세권 행사와 독도 실효지배
3. 1900년 칙령 제41호의 발굴 계보와 ‘石島=獨島’설
4. 공문서 작성 절차로 본 독도 관련 법령의 의미
5. 울릉도 마을 지명의 형성 및 정착에 일본인이 미친 영향
2부. 근대기 일본의 다케시마·마쓰시마 인식과 울릉도·독도
1. ‘이소타케시마’의 어원
2. 19세기 ‘덴포 다케시마 일건[天保竹島一件]’을 둘러싼 쟁점
3. 1877년 태정관 지령에 대한 역사적·국제법적 쟁점
4. 18~19세기 일본의 ‘마쓰시마[松島]’ 인식
3부. 사료 해석의 문제
1. ‘안용복 밀사’설은 성립하는가?
2. ‘죽도 고유명칭’설은 성립하는가?
4부. 사료 소개
1. 독도에 영토비 건립을 제안한 관리가 있었다
2. 고종, 밀명을 내려 울릉도를 조사하게 하다
3. 1898년 울릉도감 배계주, 일본인을 고발하다
참고문헌
출전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