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식가를 위한 식물 사전 또는 모든 것이 사랑이었습니다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미식가를 위한 식물 사전 또는 모든 것이 사랑이었습니다

땅끝
2024-12-25 10:41 115 0

본문




미식가를 위한 식물 사전
9791139706642.jpg


도서명 : 미식가를 위한 식물 사전
저자/출판사 : 스쥔, 현대지성
쪽수 : 528쪽
출판일 : 2022-07-15
ISBN : 9791139706642
정가 : 22000

서문1: 식물학자이자 미식가와 떠나는 맛의 세계
서문2: 식물학적 관점으로 음식을 맛보다

1부 | 미각과 후각의 클라이맥스
no. 1 쌀: 코끝에서 터지는 쌀의 향
no. 2 죽순: 신선함이 생명인 대나무의 어린싹
no. 3 고추: 맵지만 위를 보강하는 진통제
no. 4 여주: 약효가 좋기로 소문난 천연 재료
no. 5 어성초: 이상한 냄새가 나는 풀의 인생역전
no. 6 김: 바다 맛과 초록색의 상관관계
no. 7 설탕: 궁극의 달콤함
no. 8 파: 지역마다 확연히 다른 파의 맛
no. 9 생강: 알싸하게 맵지만 속이 따뜻해지는 식재료
no. 10 마늘: 동서양을 대표하는 식재료
no. 11 산초: 중국 음식 맛의 핵심
no. 12 찻잎: 차의 맛과 향에 빠져들다
no. 13 바닐라: 적은 향으로 큰 존재감을 드러내다

2부 | 아름다운 외모로 승부 보는 식물들
no. 14 밀가루: 밀가루는 모두 희고 쫄깃할 거라는 착각
no. 15 연근: 희고 부드러운 보양식 재료
no. 16 오이: 꽃과 가시로 무장한 싱싱한 매력
no. 17 빛에 민감한 채소: 화이트닝 효과와 멜라닌 색소 침착
no. 18 딸기: 산업화 시대와 딸기의 대중화
no. 19 망고스틴: 한번 맛보면 빠져드는 열대 과일의 여왕
no. 20 썩은 과일: 곪고 무른 부분을 먹을까 말까?
no. 21 과일 껍질: 먹을 수 있지만 먹지 않는 부위
no. 22 안토시안: 보라색 수용성 색소

3부 | 세상에 특별하지 않은 음식은 없다
no. 23 벼: 전분, 수분, 단백질을 모두 갖춘 식물
no. 24 배추: 익숙하다고 해서 가장 잘 아는 것은 아니다
no. 25 감자: 식탁 위의 트랜스포머
no. 26 녹두: 평범함 속에 감춰진 진국 같은 매력
no. 27 고추: 음식계의 폭군
no. 28 버섯: 맛있는 식이섬유 덩어리
no. 29 사과: 천부적인 재능의 소유자
no. 30 감귤: 복잡하지만 사랑으로 뭉친 대가족
no. 31 감귤류: 우리가 먹는 귤은 정말 귤이 맞을까?
no. 32 바나나: 복잡한 출생과 불투명한 미래
no. 33 배: 나눌 수는 없지만 얼릴 수는 있다
no. 34 수박: 달고 붉은 과육의 씨 없는 수박
no. 35 아몬드: 위험하지만 멈출 수 없는 맛
no. 36 대추: 홍대추, 흑대추, 인도대추, 대추야자

4부 | 식물학자만 알고 있는 알짜배기 식물들
no. 37 식물성기름: 순수한 기름과 자연스러운 기름 사이에서
no. 38 콩: 싹이 트지 않는 콩은 유전자 조작 식품일까?
no. 39 부추: 부추와 양기에 얽힌 오해
no. 40 난초: 식탁 위 천마와 석곡의 맹활약
no. 41 백합: 마음을 흔드는 마성의 꽃
no. 42 리치: 왜 뜨거운 기운이 올라올까?
no. 43 판람근: 만병통치약의 굴레에 갇힌 약초

부록: 미식가를 위한 식물 용어 정리




모든 것이 사랑이었습니다
9791158543433.jpg


도서명 : 모든 것이 사랑이었습니다
저자/출판사 : 전재경, 학이사
쪽수 : 216쪽
출판일 : 2022-02-15
ISBN : 9791158543433
정가 : 15000

책을 펴내며 _ 모든 것이 사랑이었습니다

1부 달성을 지켜온 사람들
송정우 _ 옥포산업 대표 / 추교훈 _ 전 다사읍장 / 이종찬 _ 전 달성군 재향군인회장 / 정성종 _ 전 농업경영인 대구시연합회장 / 김삼정 _ 가창‘자연식의 집’원장 / 윤팔현 _ 낙동식당 대표 / 김현희 _ 해늘공방 대표 / 김승호 _ 전 영남대 음대 작곡과 교수 / 제갈양호 _ 남영포장공업사 대표 / 김원자 _ 1인 5역 ‘멀티 우먼’ / 우남희 _ 동시작가 / 허두환 _ 우록 아트도서관장 / 지영미 _ 서예가 / 정치택 _ 문양리 다사랑칼국수 대표 / 김종백 _ 비슬산 지킴이

2부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곳, 달성 전통시장
달성군 전통 시장의 역사 / 논공 중앙시장 / 화원전통시장 / 현풍 백년도깨비시장

3부 언론에 비친 전재경
달성군을 역사·문화 어우러진 과학·교육도시로 / 성서산단 올 1분기 가동률 약진, 입주업체 노력 결과 / 기업 노력으로 가동률 회복, 1분기 67% 코로나 전 수준 / 입주업체 고충 해결 위해 구슬땀

4부 전재경의 직언, 직필

소통과 배려를 통한 인간적 유대감을 함양해 나가야 / 대구시민의 힘이 지역 경제를 일으킬 것 / 진정한 지방자치 시대를 열기 위한 골든타임 / 대구공항, 대구경북 시도민에게 희망을 / 지자체 간 교류, 통일 앞당긴다 /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지 말자 / 경쟁력 있는 인재양성으로 미래 준비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