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교사는 어떻게 가르치는가 또는 장애와 유전자 정치
땅끝
2025-01-04 07:51
505
0
본문
행복한 교사는 어떻게 가르치는가

도서명 : 행복한 교사는 어떻게 가르치는가
저자/출판사 : 지봉환, 정한책방
쪽수 : 326쪽
출판일 : 2021-06-21
ISBN : 9791187685579
정가 : 16000
가장 힘든 계절, 가장 힘든 시간
이 책을 읽는 이들에게
물음 하나_ 인간에게 교육은 무엇인가?
물음 둘_ 교육, 어떤 인간을 추구할 것인가?
물음 셋_ 인간, 무엇으로 실현할 것인가?
교육의 길, 하나
교육적 교육_ 아이들의 능력을 모두 허용하는가
모든 아이가 주인공인가 | 스스로 묻게 하는가 | 오늘을 돌보는 교육을 하는가 | 생각을 전하려고만 하는 것은 아닌가 | 유용한 것을 가르치는가 | 삶의 가치를 높이는 교육 내용인가 | 다양한 교과를 접하게 하는가 | 교칙은 학습활동을 돕는 기능을 하는가 | 아이에게 없는 것을 억지로 만들려 하는 것은 아닌가 | 아이의 요구를 외면하지는 않는가 | 교육, 복잡하지 않은가 | 교육 내용과 양은 적절한가 | 삶의 가치를 더하는 교육인가 | 배움의 필요를 깨우치는가 | 사물을 가르치는가
교육의 길, 둘
인간적 교육_ 아이들의 명예는 존중하는가
눈치를 살피게 하지는 않는가 | 아이의 명예를 존중하는가 | 체벌을 하지는 않는가 | 학교과 내세우는 구호는 희망을 주는가 | 교사의 손은 악하지 않은가 | 개성은 존중하는가 | 간섭하지는 않는가 | 장애물 극복을 돕는 교육인가 | 학교는 즐거운 집인가 | 교재는 권위자의 소리만 담고 있지 않은가 | 여행은 권하는가 | 학교는 금의 구역인가 | 스쿨 런을 부치기는 것은 아닌가 | 돈을 위한 교육은 아닌가 | 아이의 자발성을 길러주는가
교육의 길, 셋
윤리적 교육_ 아이들을 주인공으로 대하는가
실용적 교육인가 | 아이들과 함께 걷는가 | 아이를 어른의 세계에 가두지는 않는가 | 아이의 공감을 얻는 교육인가 | 아이의 자기형성에 도움을 주는가 | 교실은 아이 형성에 적합한 공간인가 | 학교는 세계를 향한 문인가 | ‘기성 의존’을 요구하지는 않는가 |아이들의 자유는 허용되는가 | 어른의 생각으로 아이의 꿈을 재단하지는 않는가 | 수업은 누구를 위한 활동인가 | 버려지는 능력은 없는가 | 아이의 시간을 통제하는 일은 없는가 | 선한 마음을 품게 하는가 | 부모는 아이가 만든다는 사실을 아는가 | 가정은 교육적인가
장애와 유전자 정치

도서명 : 장애와 유전자 정치
저자/출판사 : 앤 커 , 톰 셰익스피어, 그린비
쪽수 : 480쪽
출판일 : 2021-03-05
ISBN : 9788976828613
정가 : 28000
감사의 말?5
추천사 혹은 참회문: 우생세, 능력주의를 넘어서기를 원한다면?7
1장 _ 서론?19
2장 _ 우생학의 등장: 영국과 미국?35
사회적 혼란: 초기 우생학의 배경 37 | 초기 유전학, 과학, 의학 39 | 우생학 운동과 대중적 지지 45 | 우생학 법률과 실천: 시설 수용과 단종수술 57 | 결론 63
3장 _ 나치의 인종학?67
당시의 지적 분위기 68 | 나치의 등장 73 | 단종수술 77 | 안락사 82 | 아동 안락사 89 | 비공식적 안락사 92 | 가해자들 97 | 악의 평범성 105 | 항의자들 107 | 결론 114
4장 _ 사회민주주의 사회들에서의 우생학?119
우생학으로의 행로 122 | 스칸디나비아의 우생학 프로그램 131 | 우생학에 대한 반대 144 | 결론 148
5장 _ 개혁 우생학: 193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151
우생학의 개혁 153 | 분자유전학을 향하여 164 | 우생학적 단종수술과 차별의 지속 176 | 새로운 사회생물학의 등장 180 | 결론 187
6장 _ 신유전학의 등장?189
인류유전학에서 재조합 DNA까지 190 | 초기의 유전자 치료 및 배아 연구 195 | 초기의 임상유전학 200 | 인간게놈프로젝트 203 | 유전자 특허 취득 213 | 유전자 치료와 약물게놈학 219 | 재생산 복제를 향하여 222 | 임상유전학의 성장 225 | 행동유전학에서 행동게놈학으로 233 | 구래의 우생학과 새로운 우생학 236
7장 _ 문화로서의 유전학?241
문화적 표상들 242 | 유전화의 영향 256 | 사회적 다윈주의와 행동유전학 263 | 결론 277
8장 _ 사회적 맥락 내에서의 선택?283
재생산 선별 검사 프로그램의 목적은 무엇인가? 287 | 사람들은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선택을 할 수 있는가? 294 | 불확실성과 위험성 307 | 아는 것이 힘인가, 아니면 모르는 것이 약인가? 313 | 선택권은 어디에나 적용될 수 있는 것인가? 321
9장 _ 선택의 결과들?329
진정 더 나은 아기를 선택하게 되는가 330 | 유전적 최하층 계급인 것을 오히려 반겨야 하는가 339 | 감시사회를 향하여 353 | 결론 367
10장 _ 게놈학에 대한 규제?369
규제력을 지닌 생명윤리 373 | 국제적ㆍ국내적 수준에서의 조약과 의정서 378 | 국가 차원의 비법정 자문 기구 383 | 직업 행동강령 387 | 시장 네트워크 389 | 시민 참여 398
11장 _ 결론?405
회고 408 | 숙고 416 | 정책 활용론 421
옮긴이 해제: 생명권력과 우생주의, 그리고 장애인의 생명권?429
참고문헌?449
찾아보기?468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