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으로 쉽게 읽는 고정욱 삼국지. 2: 난세의 간웅 또는 건설기계기술사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주석으로 쉽게 읽는 고정욱 삼국지. 2: 난세의 간웅 또는 건설기계기술사

땅끝
2025-01-04 07:51 151 0

본문




주석으로 쉽게 읽는 고정욱 삼국지. 2: 난세의 간웅
9791190147798.jpg


도서명 : 주석으로 쉽게 읽는 고정욱 삼국지. 2: 난세의 간웅
저자/출판사 : 나관중, 애플북스
쪽수 : 244쪽
출판일 : 2022-01-07
ISBN : 9791190147798
정가 : 14800

1장 유비, 서주 땅을 얻다
2장 대권을 잡은 조조
3장 여포와 유비의 뒤바뀐 신세
4장 여포의 능력
5장 조조가 군사를 일으키다
6장 원술이 혼나다
7장 궁지에 몰린 여포
8장 여포의 최후
9장 텃밭 가꾸는 유비
10장 유비와 조조의 대립
11장 조조에게 사로잡힌 관우




건설기계기술사
9791162481172.jpg


도서명 : 건설기계기술사
저자/출판사 : 정명호, 메카피아
쪽수 : 1120쪽
출판일 : 2021-04-13
ISBN : 9791162481172
정가 : 90000

PART 01 건설공사 계약 및 관리
Section 01 건설기술의 경쟁력 향상 방안 및 관리기법
1-1. 건설기술의 경쟁력 향상
1-2. 해외 플랜트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력 강화 전략
1-3. VE 기법(Value Engineering : 가치공학)

Section 02 건설공사 입찰 및 계약
2-1. 입찰 및 낙찰
2-2. 건설공사 계약
2-3. 계약금액 정산 방법에 따른 계약(Lump Sum,Cost+Fee, 단가 계약)
2-4. 업무범위에 따른 계약(Turnkey, CM계약, PM계약)
2-5. 민간투자사업(SOC : Social Overhead Capital)

Section 03 EPC Plant 및 시공계획 수립
3-1. EPC 공사 사업 타당성 검토
3-2. EPC Plant 해외건설 Project
3-3. EPC 공사 사업 수행 단계별 Risk 관리
3-4. 시공계획 수립 및 시공검토
3-5. Plant 설계 및 시공 : 건설공사 계획 수립
3-6. 시공 시 주요 중점 사항

Section 04 ISO 인증제도
4-1. ISO 9000 품질 시스템
4-2. 국제 표준 인증 ISO 14000 시리즈
4-3. ISO 9001과 ISO 14001 인증비교

Section 05 기계화 시공
5-1. 건설공사 관리
5-2. 건설기계 선정 및 고려사항
5-3. 건설기계 조합
5-4. 작업효율과 능률
5-5. 성능 및 작업능력
5-6. 건설기계관리
5-7. 건설기계의 유지관리
5-8. 건설기계 정비 ㆍ 보수 요령 및 개선책
5-9. 건설기계의 경비 산정(경제적 관리)

Section 06 건설공사 공해 및 부실공사
6-1. 건설공사 공해
6-2. 저소음, 저진동 공법
6-3. 부실시공 및 감리

PART 02 건설기계
Section 01 건설기계 관련 법령
1-1. 국내 건설시장 현황
1-2. 건설기계에 대한 관리법

Section 02 건설기계의 안전
2-1. 안전사고
2-2. 안전장치
2-3. 안정성
2-4. Crawler Crane의 전도방지장치

Section 03 건설기계 자동화 및 기술개발
3-1. 건설기계의 구비조건
3-2. 건설기계 자동화
3-3. 건설기계화
3-4. 기술발전의 동향
3-5. 건설기계의 국산화

Section 04 건설기계의 제원 및 주요장치
4-1. 마력
4-2. 동력전달 장치
4-3. 주행장치
4-4. 조향장치
4-5. 브레이크 장치
4-6. 작업장치
4-7. 축전지
4-8. 자동차 최소 회전반경

Section 05 굴착운반기계
5-1. 불도저
5-2. 스크레이퍼
5-3. 모터그레이더

Section 06 셔블계 굴착기계
6-1. 파워셔블 굴착기 개요
6-2. 파워셔블 굴착기 구조
6-3. 프론트 어태치먼트 : 작업장치
6-4. 기타 굴착기계
6-5. 파워 셔블(Power Shovel) 및 백호(Back Hoe)의 구분
6-6. 굴착기 운전 시 유의할 점

Section 07 크레인(기중기)
7-1. 기본 동작
7-2. 크레인의 운동
7-3. 구조
7-4. 동력 및 주요장치 : 트럭식, 휠식, 무한궤도식
7-5. 크레인 안전장치
7-6. 후크, 드럼 및 시브
7-7. 전동기 및 브레이크
7-8. 크레인의 기본 용어
7-9. 크레인 하중
7-10. 사용 크레인의 사용하중
7-11. 사용 크레인의 선정기준
7-12. 크레인의 종류
7-13. 타워크레인
7-14. 타워크레인 설치, 인상, 해체
7-15. 크레인 안전대책 및 유지보수
7-16. 크레인 운영상의 문제점
7-17. 경제성 검토
7-18. 크레인 유압 및 컴퓨터화
7-19. 2대 크레인을 이용한 중량물 인양 하중 계산

Section 08 다짐용 기계(롤러 : Roller)
8-1. 흙다짐
8-2. 흙다짐 방법
8-3. 종류
8-4. 주요 부분
8-5. 다짐기계의 성능표시

Section 09 포장용 기계
9-1. 콘크리트 포장용 기계
9-2. 아스팔트 포장용 기계
9-3. 포장 및 포설기계의 조합
9-4.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Concrete batch plant)
9-5.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Asphalt mixing plant)
9-6. 골재 생산 플랜트

Section 10 작업선
10-1. 작업선
10-2. 작업선의 종류
10-3. 작업선 운영 및 경제성

Section 11 운반기계
11-1. 운반기계
11-2. 운반기계의 종류
11-3. 벨트 컨베이어
11-4. 버킷 컨베이어(Bucket Elevator)
11-5. 스크류 컨베이어(Screw Conveyor)
11-6. 피더(Feeder)
11-7. 덤프트럭
11-8. 덤프트럭과 벨트 컨베이어의 비교

Section 12 적재기계
12-1. 로더
12-2. 지게차(포크 리프트 : Fork lift)
12-3. 적재기계와 덤프트럭의 조합

Section 13 기초 공사용 장비 및 천공기
13-1. 기초공사 : 직접 기초, 말뚝 기초, Cassion 기초
13-2. 기성말뚝 시공기(파일 해머)
13-3. 천공기(Earth Drill)
13-4. 현장 말뚝 시공기(착암기, 천공기 등)
13-5. 지반 개량 공사

Section 14 터널 굴착 장비
14-1. TBM(Tunnel Boring Machine)
14-2. Shield 건설기계
14-3. 고압 Water-Jet 병용 TBM 공법
14-4. Drill Jumbo

Section 15 시추기
15-1. 분류
15-2. 특성

Section 16 건축물 해체 공법용 기계
16-1. 강구(Steel Ball)
16-2. Braker
16-3. 절단기(Cutter)
16-4. 착암기
16-5. 유압력
16-6. 다이아몬드 와이어 공법(D.W.S : Diamond Wire Saw)
16-7. 시공 시 고려사항

Section 17 고소작업장비
17-1. 종류
17-2. 특성

Section 18 기타 주요 건설장비
18-1. Air-Lift pump
18-2. 발전기

PART 03 배관 및 PLANT 공사
Section 01 배관공사
1-1. 배관시공 계획
1-2. 배관공사 시공 및 계획
1-3. 배관자재 선정 시 고려사항
1-4. 배관재료
1-5. 용도별 구분
1-6. 연결방법에 따른 구분
1-7. 신축 파이프 이음(Flexible Pipe Joint)
1-8. 배관의 열팽창 신축이음
1-9. 용접성
1-10. 배관의 검사 : 부식 및 두께 측정
1-11. 부식
1-12. 기타

Section 02 신재생 에너지
2-1. 신재생 에너지
2-2. 태양열 에너지
2-3. 태양광 발전
2-4. 바이오매스 에너지
2-5. 풍력 에너지
2-6. 소수력 에너지
2-7. 지열 에너지
2-8. 해양 에너지
2-9. 폐기물 에너지
2-10. 석탄가스화 복합발전(IGCC :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Section 03 PLANT 공사
3-1. 쓰레기 소각 현주소
3-2. 폐기물 소각 기술
3-3. 소각로
3-4. 지역 냉난방 설비
3-5. 열병합 발전
3-6. BMPP(Barge Mounted Power Plant)
3-7. 냉각탑
3-8. 도장 및 표면처리

PART 04 기계재료 및 제작
Section 01 기계재료
1-1. 금속의 특성 및 성질
1-2. 원자와 결정 구조
1-3. 금속 재료의 응고와 결정
1-4. 소성 변형

Section 02 철강재료
2-1. 철강재료
2-2. 순철
2-3. 탄소강
2-4. 합금강(특수강)
2-5.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2-6. 열처리
2-7. 주철

Section 03 비철금속재료
3-1. 구리와 그 합금
3-2. 알루미늄과 합금
3-3. 마그네슘과 합금
3-4. 니켈과 합금
3-5. 아연, 주석, 납과 합금

Section 04 기계가공
4-1. 칩의 종류
4-2. 빌트업 에지(구성인선 : Built Up Edge)
4-3. 공구수명과 마멸
4-4. 절삭 공구의 재료
4-5. 바이트 날의 각도
4-6. 절삭 저항(F)

Section 05 소성가공
5-1. 소성변형
5-2. 시효경화, 가공경화
5-3. 회복, 재결정 및 재결정 온도

PART 05 기계설계
Section 01 나사
1-1. 나사의 종류 및 용도
1-2. 나사의 각부 명칭
1-3. 나사의 역학
1-4. 볼트, 너트의 풀림 방지

Section 02 볼트, 너트
2-1. 볼트의 설계
2-2. 너트의 설계
2-3. 건설현장에서의 볼트의 체결방법(고장력 볼트 체결방법)
2-4. 고장력 볼트 및 토크쉐어(Torque Shear Bolt)

Section 03 키, 핀, 스플라인 및 코터
3-1. 축과 보스의 결합방법에 따른 축결합방법
3-2. 키
3-3. 스플라인키
3-4. 핀의 설계
3-5. 코터의 설계

Section 04 축의 설계
4-1. 전동축의 종류
4-2. 건축의 설계 시 고려사항
4-3. 강도에 따른 축의 설계
4-4. 축의 강성(비틀림 강성)에 따른 설계
4-5. 축의 처짐 검토
4-6. 축의 진동 및 위험속도 검토

Section 05 축이음
5-1. 축이음
5-2. 축이음의 종류
5-3. 축이음 설계 시 고려사항
5-4. 커플링의 설계
5-5. 클러치의 설계

Section 06 베어링
6-1. 베어링의 종류
6-2. 오일리스 베어링
6-3. 구름 베어링의 특성
6-4. 베어링 선정 시 고려사항
6-5. 고 하중용 베어링
6-6. 베어링과 베어링 메탈의 요구 특성
6-7. 베어링의 하중과 수명
6-8. 미끄럼베어링의 설계
6-9. 스러스트저널의 설계
6-10. 베어링 윤활
6-11. 베어링 오일 휨
6-12. 페트로프 방정식과 성능 특성치

Section 07 축 밀봉
7-1. 밀봉 방법

Section 08 기어
8-1. 기어
8-2. 기어 전동의 특징
8-3. 기어의 종류
8-4. 기어 전동
8-5. 치의 간섭과 언더컷
8-6. 전위기어
8-7. 치절손과 면압강도 및 파괴강도
8-8. 표준 스퍼 기어
8-9. 헬리컬 기어
8-10. 웜 및 웜휠
8-11. 베벨 기어
8-12. 유성 기어

Section 09 벨트, 체인 및 로프의 전동
9-1. 벨트 전동
9-2. 평벨트 전동
9-3. V벨트 전동
9-4. 체인 전동
9-5. 로프 전동

Section 10 마찰차
10-1. 마찰차의 종류
10-2. 운전 특성
10-3. 원통마찰차의 설계
10-4. 홈마찰차의 설계
10-5. 원추마찰차의 설계

Section 11 브레이크
11-1. 브레이크의 종류
11-2. 자동 하중 브레이크의 종류
11-3. 브레이크의 설계

Section 12 스프링
12-1. 스프링
12-2. 코일 스프링
12-3. 삼각판 스프링
12-4. 겹판 스프링(양단 고정)
12-5. 공기 스프링(Pneumatic Spring)
12-6. 방진 스프링

Section 13 플라이휠
13-1. Fly wheel
13-2. 플라이휠의 원심력과 원주방향 인장응력
13-3. 관성모멘트 일
13-4. 회전수와 최대 속도
13-5. 운동에너지
13-6. Fly wheel의 효과(GD2)를 이용한 예

Section 14 전동기 및 감속기
14-1. 전동기
14-2. 감속기

Section 15 치수 공차 및 끼워 맞춤
15-1. 공차
15-2. IT 기본 공차(ISO Tolerance)
15-3. 끼워 맞춤

PART 06 유체기계
Section 01 펌프
1-1. 펌프의 종류
1-2. 구조 및 특성
1-3. 수중 펌프
1-4. 펌프의 설계
1-5. 원심 펌프의 설계
1-6. 펌프의 흡입수두
1-7. 원심 펌프의 선정
1-8. 펌프 설치, 운전, 자동제어 및 성능검사
1-9. 펌프의 대수 선정 및 위험분산
1-10. 펌프의 연합운전
1-11. 펌프의 기타 손실, 캐비테이션, 수격작용, 수충격 및 진동, 소음

Section 02 기타 유체기계
2-1. 유체 수송 장치
2-2. 공기 기계
2-3. 공기 압축기
2-4. 공압 시스템
2-5. 공기압 실린더

PART 07 유체역학
Section 01 유체의 성질 및 정의
1-1. 유체
1-2. 뉴턴의 제2법칙(운동방정식)
1-3. 단위
1-4. 밀도, 비중량, 비체적, 비중
1-5. 뉴턴의 점성법칙
1-6. 체적탄성계수

Section 02 유체 정역학
2-1. 압력
2-2. 정지 유체의 압력
2-3. 정지 액체 속의 압력
2-4. 대기압, 계기압, 절대압

Section 03 유체 운동학
3-1. 오일러의 운동방정식과 베르누이 방정식
3-2. 동압과 정압

Section 04 점성유동
4-1. 레이놀드 수 Re : 관성력을 점성력으로 나눈 값
4-2. 물체 주위의 유동

Section 05 관 속에서의 유체흐름
5-1. 관 속의 손실수두
5-2. 밸브 유량 특성

Section 06 차원 해석과 상사법칙
6-1. 무차원수

Section 07 유체계측
7-1. 비중량 계측
7-2. 점성계수의 계측
7-3. 압력측정
7-4. 유속측정
7-5. 유량측정
7-6. 유량계

PART 08 유압기계
Section 01 서론
1-1. 유압 시스템
1-2. 유압장치의 설계 시 유의사항

Section 02 유압작동유 및 기초역학
2-1. 유압유에 요구되는 성질
2-2. 유압유의 종류
2-3. 유압유의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
2-4. 유압유의 첨가제
2-5. 유압유의 발생 문제점 및 관리 방안
2-6. 유체역학

Section 03 유압펌프 및 모터
3-1. 유압펌프(Hydraulic Pump)
3-2. 유압펌프의 종류
3-3. 유압펌프의 동력 및 효율
3-4. 유압펌프의 선정
3-5. 유압펌프의 바이패스(By-pass)
3-6. 액츄에이터(유압 모터 및 실린더)
3-7. 유압펌프의 발생 문제점
3-8. 유압펌프의 고장

Section 04 유압 제어 밸브
4-1. 유압 제어 밸브의 종류
4-2. 압력 제어 밸브
4-3. 유량 제어 밸브
4-4. 방향 제어 밸브

Section 05 유압 부속기기 및 기타 기기
5-1. 어큐뮬레이터(축압기)
5-2. 증압기(압력부스터)
5-3. 여과기
5-4. 유냉각기(oil cooler)
5-5. 오일탱크
5-6. 배관 및 조인트
5-7. 씰(seal)
5-8. 유압기호

Section 06 유압 회로와 응용
6-1. 압력 제어 회로
6-2. 속도 제어 회로
6-3. 방향 제어 회로

Section 07 유압장치의 건설기계 응용
7-1. 건설기계에서의 응용
7-2. 유압응용

PART 09 재료역학
Section 01 하중
1-1. 하중의 정의
1-2. 하중의 종류
1-3. 응력과 변형률
1-4. 응력과 안전율
1-5. 강도와 강성
1-6. 연성(Ductility)과 인성(Toughness, Tenacity)
1-7. 응력 집중

Section 02 파손과 파괴
2-1. 파손과 파괴
2-2. 피로파괴 및 피로강도
2-3. 크리프(Creep) 파괴 및 크리프 강도
2-4. 부식피로
2-5. 지연파괴
2-6. 연성파괴와 취성파괴
2-7. 주요 재료의 파손학설
2-8. 인장강도, 경도 및 피로강도 관계
2-9. 마모

Section 03 재료정역학
3-1. 봉의 자중에 의한 응력과 변형률
3-2. 조합된 봉의 응력과 변형율
3-3. 부정정 구조물
3-4. 탄성 에너지(변형률 에너지, Modulus of Resilience)
3-5. 충격 응력
3-6. 내압을 받는 원통

Section 04 단순응력, 조합응력과 모어의 응력원
4-1. 단순 응력
4-2. 조합 응력
4-3. 평면 응력

Section 05 평면 도형의 성질
5-1. 단면 1차 모멘트와 도심
5-2. 단면 2차 모멘트(관성 모멘트)
5-3. 단면 2차 극 모멘트 : 극단면 2차 모멘트, 극관성 모멘트
5-4. 단면 계수와 회전 반경
5-5. 평행 축, 단면 상승 모멘트 및 주축
5-6. 극단면 계수

Section 06 보
6-1. 카스틸리아노(Castigliano)의 정리 ; 보의 해석 방식
6-2. 보(Beam)
6-3. 반력 평형의 조건
6-4. 부호 규약과 적용
6-5. 외팔보
6-6. 단순보
6-7. 고정보
6-8. 1단 고정 타단 지지보
6-9. 연속보 (지점이 3개)
6-10. 정정보의 굽힘과 처짐
6-11. 안전도 검사
6-12. 보(Beam)의 안전성

Section 07 기둥과 좌굴
7-1. 좌굴하중과 임계하중

PART 10 용접공학
Section 01 용접
1-1. 용접의 특성
1-2. 탄소강과 Stainless 강의 용접성

Section 02 용접 구조 설계
2-1. 철강 구조물
2-2. 피로강도 영향 인자
2-3. 용접 구조 설계상 피로강도의 검토
2-4. 용접 구조물의 파괴
2-5. 결론

Section 03 용접 입열량 및 전원
3-1. 용접 입열량과 용융속도
3-2. 용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3-3. 용접기 전원 특성

Section 04 가스 용접
4-1. 가스 용접
4-2. 아세틸렌 용접
4-3. 역류, 역화 및 인화
4-4. 배기 장치
4-5. 가스 용접 안전수칙

Section 05 아크 용접
5-1. 아크 용접
5-2. 아크 용접봉
5-3. 아크 용접기

Section 06 특수 아크 용접
6-1. 서브머지드(금속전극보호 아크) 용접
6-2. 불활성가스 아크 용접

Section 07 저항 용접
7-1. 저항 용접(압접)

Section 08 플라즈마 아크 용접 및 절단
8-1. 플라즈마 아크 용접(PAW : Plasma Arc Welding)
8-2. 플라즈마 아크 절단

Section 09 특수 용접
9-1.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ESW : Electro Slag Welding)
9-2. 일렉트로 가스 Arc 용접(EGW : Electro Gas Welding)
9-3. 테르밋 용접
9-4. 고에너지 용접

Section 10 알루미늄 용접
10-1. 알루미늄, 마그네슘 용접

Section 11 기타 용접
11-1. 로봇 자동 용접
11-2. 수중 절단
11-3. 수중 용접
11-4. 수중 절단 및 용접 시 주의사항

Section 12 납땜
12-1. 납땜
12-2. 납땜과 용접의 비교

Section 13 용접 열영향부와 용접결함
13-1. 용접 열영향(HAZ)
13-2. 자기 쏠림(Arc 쏠림 : Arc Blow, Magnetic Blow)
13-3. 용접 결함
13-4. 균열
13-5. 균열 이외의 용접 불량 : 구조상 결함의 원인과 방지대책
13-6. 용접 잔류 응력과 용접 변형

Section 14 용접 검사
14-1. 용접 검사
14-2. 비파괴 검사(Non-Destructive Test ; NDT)
14-3. 파괴 검사
14-4. 화학적 및 야금학적 시험법
14-5. 기타 검사
14-6. 각 시험 방법의 비교

Section 15 용접부 예열 및 후열처리
15-1. 열처리
15-2. 예열
15-3. 후열처리

Section 16 용접 안전작업
16-1. 아크 용접
16-2. 안전수칙

Section 17 용접 관리
17-1. 용접 관리

PART 11 내연 기관
Section 01 내연 기관
1-1. 원동기의 종류
1-2. 내연 기관의 종류
1-3. 기관의 비교
1-4. 출력과 효율
1-5. 내연 기관의 연소
1-6. 인화점
1-7. 윤활
1-8. 냉각
1-9. 과급
1-10. 인터쿨러(Inter Cooler)
1-11. 크랭크 축-베어링
1-12. 피스톤 링
1-13. 증발가스 시험
1-14. 기관의 이상
1-15. 대기오염

Section 02 가솔린 기관
2-1. 가솔린 기관
2-2. 행정
2-3. 연료
2-4. 배출가스
2-5. 노킹

Section 03 디젤 기관
3-1. 디젤 기관
3-2. 디젤 기관의 특징
3-3. 행정 : 흡입-압축-폭발-배기
3-4. 연소과정
3-5. 디젤 기관의 연소실
3-6. 연료분사 : 공기 분사식, 무기 분사식
3-7. 디젤 기관의 성능
3-8. 디젤 연료
3-9. 디젤 기관의 발생 문제
3-10. 건설기계 디젤 기관의 배출가스

Section 04 기관의 파손 및 유지관리
4-1. 기관의 파손
4-2. 마모

Section 05 윤활
5-1. 종류
5-2. 윤활
5-3. 윤활유의 종류
5-4. 윤활유 첨가제
5-5. 윤활계통의 고장
5-6. 그리스(Grease)
5-7. 건설기계의 윤활 및 유지관리

PART 12 기타
Section 01 열역학의 기본법칙

Section 02 복사 열전달과 Configuration Factor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