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미래 공존 또는 역사도시 충주의 발자취와 기억
땅끝
2025-01-04 07:51
115
0
본문
인구 미래 공존

도서명 : 인구 미래 공존
저자/출판사 : 조영태, 북스톤
쪽수 : 304쪽
출판일 : 2021-06-09
ISBN : 9791191211207
정가 : 17000
프롤로그 | 인구학이 대한민국에 전하는 공존의 지혜
1부 인구 _ 만인은 평등하지만, 인구감소의 영향은 평등하지 않다
1] 세계적인 저출산 속 한국의 초저출산
2] 30년 전에 정해진 미래, 30년 후의 정해진 미래
3] 만인은 평등하지만, 인구감소의 영향은 평등하지 않다
4] 학생 수가 줄어도 대학 가기 어려운 이유
5] 200조가 들어간 저출산 대책, 왜 효과가 없을까?
6] 인간 본성에서 찾아본 초저출산의 원인
7] 10년의 마지막 완충지대
8] 다양성에서 해법을 찾자
2부 미래 _ 인구학의 눈으로 기획하는 미래
1] 변수가 되어버린 우리나라 인구
2] 미지(味知)의 미래를 기지(旣知)의 세계로 바꾸는 인구학적 관점
3] 인구로 미래를 대비하는 전략 : 완화, 적응, 기획
4] 미래의 가구변동에 주목하라
5] 가구 세그먼트의 다양성에 기회가 있다
6] 한국에 맞는 세대구분이 필요하다
7] 2020년대에는 어떤 가구가 대세일까?
3부 공존 _ 인구의 균형과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1] 우리에겐 아직 기회의 창이 열려 있다
2] 청년 취업을 가로막는 인구압박도 사라질 수 있다
3] 중장년 인구의 노후는 무엇으로 보장되는가?
4] 생산인구 부족의 해법 : 정년 연장에서 이민까지 그리고 과학기술의 개입
5] 인구학적 상상력으로 미래를 기획하자
부록 | 역사 속의 인구 논쟁
주(註)
역사도시 충주의 발자취와 기억

도서명 : 역사도시 충주의 발자취와 기억
저자/출판사 : 전홍식, 좋은땅
쪽수 : 380쪽
출판일 : 2021-09-14
ISBN : 9791138801874
정가 : 17000
책을 내면서
서론-역사도시 충주의 발자취와 기억을 찾아가는 여정
제1장 역사도시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식민지적 변용
제1절 도시와 읍성
1.도시건설과 입지
조선건국과 신도시 건설/도시의 입지와 풍수/도시의 주요 시설
2. 충주읍성의 축성과 도시구조
읍성의 축성과 개축/도로망/도시의 영역과 권역
3. 성내마을과 시장
중부리/성내장
4. 조선 후기 도시의 발달과 공간 변화
인구 변화와 도시 성장/ 도시 공간의 확대
제2절 관아와 건축
1.관아공간의 구성
관아의 인적구성/관아공해(官衙公?)
2. 동헌 영역
외삼문/청녕헌/제금당(製錦堂)과 산고수청각(山高水淸閣)/축성사적비/느티나무/동헌공간의 식민지적 변용
3.충주사고(史庫)
고려시대 외사고/조선시대 충주사고/임진왜란과 소실
4. 객사와 정원
충주 객사 중원관(中原館)/객사의 정원/누각과 정자/객사 공간의 식민지적 변용/충주공립보통학교와 독립운동
5. 한말 지방제도 개혁과 근대문물의 수용
23부제와 충주부관찰부/13도제와 충청북도관찰부/근대제도의 수용
제3절 충주 읍성과 전쟁
1. 임진왜란 충주전투의 영향
읍내 주민의 피해/도시 파괴와 충청감영 이전/임진왜란과 충주지역 의병전쟁
2. 한말 의병전쟁과 읍성
을미의병과 읍성전투/정미의병과 읍성 탈환 전투
제4절 식민지 도시 공간의 형성과 지배
1. 식민지 도시의 형성
일본인의 이주와 침탈/시구개정과 역사도시의 파괴/일본인 사회의 형성과 도시 공간의 분리
2. 지배체제의 구축과 식민지적 변화
식민지배기구와 억압/일본인들의 상권 장악/식민지 도시의 성장과 종말
3.친일협력과 일제 잔재
식민통치와 친일 협력/일제 잔재와 청산
제2장 북문 밖의 역사와 기억
제1절 북문 밖의 경관
1. 북문 밖의 기억
북문, 충주읍성의 정문/을미의병 전쟁과 김규식의 처단
2. 충주향교와 한옥마을
조선시대 향교의 건립과 이전/향교의 공간배치/부패한 권력에 맞선 충주향회/일제강점기 향교의 변용/한옥마을
제2절 북문에서 서울로 가는 길
1. 북문에서 달천으로
오총병청숙비(吳總兵淸肅碑)/무학당과 축제/ 사형 터와 천주교도의 순교/달천나루와 주막/달천리 만세운동
2. 북문에서 북창나루로
북문 밖 상가/연원역과 마을/북창나루/용탄 이연경과 기묘사림
3. 일제강점과 북문 밖 도시 공간의 변화
북문 밖의 변화와 식민지 자본가/충주지방금융조합/일제강점기 충주경찰서/자동차 정거장/일본인 학교/충주사범학교/교현국민학교/성공회 충주성당
제3절 탄금대에서 충주역으로
1.남한강 수운과 도시발달
조창의 설치와 운영/상업도시 금천의 발달
2. 탄금대의 지형과 유적
탄금대의 지형과 유래/탄금대 토성/양진명소사
3. 옷갓의 유래와 독립운동
안동 권씨 입향과 옷갓 만석꾼/옷갓의 독립운동가
4. 일제의 탄금대 노선 개설과 공간 변화
탄금대노선 개설과 합수나루/한강 수운의 지속과 변화/충주공립농업학교
제3장 서문 밖의 역사와 기억
제1절 서문에서 충주천으로
1. 서문 밖의 마을과 시장
서문 밖 마을 서부리/서문외장
2. 충주제일감리교회의 설립과 독립운동
제일감리교회의 설립과 발전/장춘명 목사와 민족교회/제일감리교회와 3.1운동
3, 제사공장과 노동쟁의
충주 지역 제사공장의 실태/노동쟁의
4. 충주지역 아나키즘 활동과 문예사운동
아나키즘의 수용과 활동/흑기연맹 사건/문예사운동과 금성여관
5. 식민지배와 공간의 변용
시구개정과 공간 개편/식민지 요리점의 기억과 퇴폐 향락/전기회사 설립과 운영
제2절 조선시대 사직산과 일제강점기 사직산
1. 사직단과 신사
사직산과 사직단/일제강점과 신사참배의 고통
2. 대원사와 철불
대원사가 창건되기까지/대원사의 창건과 낙성식/철조여래좌상의 발자취
3. 식민지 개발과 공간변화
비보풍수의 파괴와 신작로 개설/충북선 충주역/충북도립병원 충주분원 설립
4. 해방 후 신도시 건설과 공간 변화
새로운 시가지의 발달/문화동의 변천
제3절 소제, 대제 그리고 호암지
1. 조선시대 대제와 소제 그리고 충주평야
조선 전기 농업 경영과 대제와 소제 수축/충주평야의 개발/ 조선후기 수리시설 확충과 농업 경영
2. 임진왜란과 달천평야 전투
달천평야를 선택하다/전투의 전개/탄금대에서 싸웠다는 역사 왜곡
3 일제강점기 소제와 대제
식민지적 수리체계의 형성과 호암지 축조/농민층의 분해/수리조합운영의 식민성/유흥의 식민지배와 파탄
제4절 충주시장
1. 시장의 강제 이전과 상업
시장의 강제이전/시장성장의 의미/시장의 상설화
2. 특수시장
우시장/땔감시장/약령시
3. 시장의 사회문화적 기능
시장과 오락/삶의 애환이 어려 있는 시장
4. 해방 후 시장
해방 후 경제 상황/공설시장 건립
제4장 남문 밖의 역사와 기억
제1절 남문에서 발티고개 가는 길
1. 남문 밖의 경관
남문과 야문/남문 밖의 마을 남부리
2. 충주진영과 공간 변화
조선시대 충주 진영/일제강점기 충주수비대/공립보통학교 여학생 분교장과 세무서
3. 용산과 전매청
용산의 전설/일제의 황색엽연초 경작사업과 전매청/식민지 도시 공간의 확장과 학교 건립
4. 충주 10월 항쟁과 3.10 민주화 운동
충주 10월 항쟁/충주 3.10 민주화 운동
5. 창룡사와 발티재
남산 창용사/충주천을 따라 발티재를 넘어
제2절 남문에서 동래로(東萊路) 가는 길
1. 사직산 마을과 역사 왜곡
사직산 마을 지곡과 빙현/유상곡수(流觴曲水)/한옥마을/사과나무 관련 사업의 추진과 역사 왜곡
2. 충주 국민보도연맹 학살 사건
국민보도연맹의 결성/사직산 학살/싸리고개 학살
3. 단월역과 유주막
단월역/유주막
4. 임경업장군과 충렬사
명장 임경업 장군/충렬사(忠烈祠)와 장군 묘소/대림산과 달천의 임경업 장군 전설
5. 단호사 철불과 삼층석탑
단호사/철조여래좌상/삼층석탑
제5장 동문 밖의 역사와 기억
제1절 동문 밖의 경관과 마을
1. 동문과 마을
동문의 위치 문제/동촌마을
2. 교현천을 따라 마즈막재를 넘어
교현천/마즈막재
제2절 독립운동가 오언영 선생과 만리산
1. 오인탁 오언영 부자의 독립운동
오인탁(吳仁鐸) 선생의 계몽운동/오언영(吳彦永) 선생의 독립운동/과수원 경영과 충주에서의 삶
2. 만리산과 일본인 공동묘지
만리산/일본인 공동묘지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