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의 질병을 찾아내는 책 또는 Go 언어를 활용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땅끝
2025-01-04 07:51
102
0
본문
눈의 질병을 찾아내는 책

도서명 : 눈의 질병을 찾아내는 책
저자/출판사 : 시미즈 키미야, 쌤앤파커스
쪽수 : 108쪽
출판일 : 2021-03-26
ISBN : 9791165343217
정가 : 12000
프롤로그_안질환은 소리 없이 찾아온다
이 책의 사용법
Part 1. 실명에 이를 수 있는 안질환, ‘녹내장’
Check 1. 자가 진단
Check 2. 시야 검사1
Check 3. 시야 검사2
Check 4. 위험도 자가 진단
녹내장이 생기면 시야 결손이 생긴다
말기에 이르도록 자각하지 못하면 실명의 위험이 급상승한다
안압을 떨어뜨리는 녹내장 치료가 있다
Part 2. 안개가 낀 것처럼 흐리게 보인다면, ‘백내장’
Check 1. 자가 진단
Check 2. 숫자 식별 검사
Check 3. 위험도 자가 진단
백내장이 생기면 눈이 침침하고 뿌옇게 보인다
백내장은 3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인공 렌즈를 삽입하여 새로운 눈을 얻을 수 있다
Part 3. 노화 외에도 원인은 있다, ‘노인황반변성’
Check 1. 자가 진단
Check 2. 암슬러 차트
노인황반변성이 생기면 사물이 찌그러지고 흐릿해 보인다
진행이 빠른 ‘습성’은 일본인에게, 진행이 느린 ‘건성’은 서양인에게 많다
습성 황반변성의 치료법은 3가지다
Part 4. 시력이 갑자기 뚝 떨어진다면 ‘망막 열공·망막 박리’
Check 1. 자가 진단
망막 열공이나 망막 박리가 생기면 검은 점들이 떠다닌다
조기 발견하면 입원 없이 시력과 시야를 대부분 회복한다
Part 5. 단순히 눈의 피로 때문이 아니다, ‘안구 건조증’
Check 1. 깜빡임 검사
Check 2. 자가 진단
안구 건조증이 생기면 눈에 통증이 느껴지고 눈이 금방 피로해진다
Part 6. 어깨 결림, 두통, 피로를 동반하는 ‘눈꺼풀 처짐’
Check 1. 자가 진단
Check 2. 윗눈꺼풀 확인
눈꺼풀 처짐이 생기면 눈이 잘 안 떠지고 보기에도 안 좋다
Part 7. 결코 가벼울 수 없는 ‘노안’
Check 1. 자가 진단
Check 2. 근점 검사
노안이 되면 가까운 것이 잘 보이지 않는다
에필로그
저역자소개
Go 언어를 활용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도서명 : Go 언어를 활용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저자/출판사 : 애덤 우드벡, 제이펍
쪽수 : 428쪽
출판일 : 2022-01-14
ISBN : 9791191600643
정가 : 33000
옮긴이 머리말 xi
베타리더 후기 xiii
머리말 xv
이 책에 대하여 xvii
PART I | 네트워크 아키텍처 1
CHAPTER 1 | 네트워크 시스템 개요 3
네트워크 토폴로지 선택하기 3
대역폭 vs? 레이턴시 7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참조 모델 8
TCP/IP 모델 13
이 장에서 배운 것 17
CHAPTER 2 | 리소스의 위치와 트래픽 라우팅 19
인터넷 프로토콜 20
IPv4 주소 지정 20
IPv6 주소 지정 30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36
인터넷 트래픽 라우팅 37
라우팅 프로토콜 38
이름과 주소 해석 40
이 장에서 배운 것 48
PART II | 소켓 계층 프로그래밍 49
CHAPTER 3 | 신뢰성 있는 TCP 데이터 스트림 51
TCP를 신뢰성 있게 만드는 것 52
TCP 세션 사용 52
Go 언어 표준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TCP 연결 수립 58
이 장에서 배운 것 81
CHAPTER 4 | TCP 데이터 전송하기 82
net.Conn 인터페이스 사용하기 82
데이터 송수신 83
io 패키지를 이용한 안정적인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98
Go의 TCPConn 객체 살펴보기 110
일반적인 Go TCP 네트워크 문제 해결 114
이 장에서 배운 것 116
CHAPTER 5 | 신뢰성 없는 UDP 통신 117
간단하고 신뢰성 없는 UDP 사용하기 118
UDP 데이터 송수신 119
파편화 피하기 128
이 장에서 배운 것 131
CHAPTER 6 | UDP 통신의 신뢰성 확보 132
TFTP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파일 전송 132
TFTP 타입 133
TFTP 서버 145
UDP로 파일 다운로드 150
이 장에서 배운 것 154
CHAPTER 7 | 유닉스 도메인 소켓 155
유닉스 도메인 소켓이란 156
유닉스 도메인 소켓 파일에 바인딩 157
클라이언트와 인증하는 서비스 작성 170
이 장에서 배운 것 177
PART III |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그래밍 179
CHAPTER 8 | HTTP 클라이언트 작성 181
HTTP의 기초 이해 182
Go에서 웹 리소스 가져오기 191
HTTP로 데이터 전송하기 197
이 장에서 배운 것 204
CHAPTER 9 | HTTP 서비스 작성 205
Go HTTP 서버 해부 206
핸들러 212
미들웨어 222
멀티플렉서 228
HTTP/2 서버 푸시 232
이 장에서 배운 것 238
CHAPTER 10 | Caddy: 모던 웹 서버 239
Caddy란? 240
Caddy 사용해 보기 241
Caddy 환경구성 및 실행하기 242
모듈과 어댑터로 Caddy 확장하기 248
백엔드 웹 서비스로 요청 리버스 프락시하기 257
이 장에서 배운 것 265
CHAPTER 11 | TLS를 사용한 통신 보안 266
전송 계층 보안 심층 탐구 267
전송 중인 데이터의 보안 271
상호 TLS 인증 283
이 장에서 배운 것 295
PART IV | 서비스 아키텍처 297
CHAPTER 12 | 데이터 직렬화 299
객체 직렬화하기 300
직렬화된 객체 전송하기 316
이 장에서 배운 것 328
CHAPTER 13 | 로깅과 메트릭스 329
이벤트 로깅 330
코드 계측하기 354
기본적인 HTTP 서버 계측하기 359
이 장에서 배운 것 366
CHAPTER 14 | 클라우드로 이동 368
기초 작업하기 369
AWS Lambda 372
구글 Cloud Function 381
애저 Functions 387
이 장에서 배운 것 396
찾아보기 398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