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퇴하는 한국교회와 한 역사가의 일기 또는 만만하면 어때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쇠퇴하는 한국교회와 한 역사가의 일기 또는 만만하면 어때

땅끝
2025-01-04 07:51 101 0

본문




쇠퇴하는 한국교회와 한 역사가의 일기
9791161291994.jpg


도서명 : 쇠퇴하는 한국교회와 한 역사가의 일기
저자/출판사 : 옥성득, 새물결플러스
쪽수 : 440쪽
출판일 : 2021-04-28
ISBN : 9791161291994
정가 : 20000

프롤로그: 역사가의 일

# 2016년
2014년 올해의 단어 | 2015년 올해의 단어 | 성경을 소리 내어 읽어야 하는 이유 | 미래가 불안한가, 과거가 불안한가? | 전천년설과 사회 참여 | 남반구 기독교의 반격 | 많이 배우고 똑똑한 엘리트는 왜 이기적인가? | 귀추법에 물든 교회 | 표절과 신화 만들기 | 한 사람의 평가는 말년을 보라 | 좋은 책이 없어서 교회가 죽는다 | 직무 유기 | 이단에 물든 한국교회, 회개문 내고 자숙하라 | 4퍼센트 | 밤을 새우며 공부하는 후배들에게 | 3대가 어찌 같을 수 있으랴? | 파자점 | 30대 초반에게 거는 기대 | 올해의 단어: 물러가라

# 2017년
2017년 개신교 전망 | 아시아 최대 종교는? | 세례 요한은 왜 세습하지 않았나? | 종교와 과학이 따로 노는 동아시아 | 불교 사찰과 기독교 | 올라가는 산은 하나인가? | 한국교회의 부적 | 개천에서 살아남는 게 용하다 | 종교인 납세 | 종교개혁 500주년보다 한국교회 1주년이 중요하다 | 목사들에게 고함 | 평균 연령 60세의 노쇠한 한국교회 | 한국은 크리스텐덤이 아니다 | 한국교회가 양산하는 두 유형의 사람 | 주식회사 루터, 주식회사 칼뱅 | 문자주의의 폐 | 루터의 공동 금고 | 세습 원로 목사의 참회 | 사회적 자본과 세습 | 종교개혁 500주년과 기이한 일 | 종교개혁과 마술 | 나는 누구인가? | 교파 분열과 대형 교회의 등장 | 대형 교회와 성형외과가 잘 되는 이유 | 교회는 사업하는 회사가 아니다 | 신학생들이여, 분발하라 | ‘하나님’ 인플레 시대 | 기독교는 매개를 통해 전달 | 세습 교회의 자선은 언 발에 오줌 누기 | 한국 대형 교회 현상에 대한 인류학적·역사적 설명 | ‘오직 성경’에 대한 오해 | 올해를 한 문장으로 표현하면 | 인생의 공식: 셋 다 취할 수는 없다 | 한국교회는 기생충을 가득 채운 채 달리는 욕망의 전차 | 올해의 단어 1 | 올해의 단어 2: 동물의 왕국 한국 개신교회

# 2018년
NEXT! | 누구에게 세례를 줄까? | 광화문 태극기 집회 | 남성 성범죄 문화: 이 땅의 네피림들 | 장로교회의 실상 | 예수가 땅에 쓰신 글과 미투 운동 | 진보 신학이 부활 신앙으로 연결되는가? | 신학 덕후 현상 | 감리교회의 잃어버린 20년 | 장로교회의 양극화 | 신학교가 사는 길 | 누가 가나안 성도가 되는가? | 설교는 비밀 결사 항전 지령 | 한국 개신교의 성장 쇠퇴 순환론 | 배워서 사람 되자 | 한국 개신교는 소수 종교임을 자각해야 | 한국인은 선민이 아니다 | 통합 총회 세습 재판일에 고함 | 통합 목사직 사직 | 부활이 없다는 사두개적 세습 세력 | 시(詩)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 술이부작에서 술이창작으로 | 한국 기독교 제1과제: 가족주의 극복 | 한국교회에는 왜 이단이 많은가? | 왜 소통이 안 될까? | 한국 기독교사와 중국 기독교사 연구 비교 | 종교개혁 주일에 | 한국교회와 초대형 교회의 미래 | 올해 교계의 말, 말씀, 망언, 궤변

# 2019년
하루를 천년같이 | 역사는 깊다 | 차라리 숙명론이 좋다 | 박문약례: 교회가 사는 길 | ‘기독교’를 청산하라 | 김구는 대부흥 운동의 산물 | 의궤에는 왕이, 제사에는 조상이, 예배에는 하나님이 없다 | 폭풍에도 주무시는 주님 | SNS 가나안 성도 | 한기총의 기독교 정권론 | 한국교회 쇠퇴의 4대 요인 | 전도사의 힘 | 교회 세습은 성직 매매이자 적그리스도 행위 | 가나안 성도가 양산되는 이유 | 좀비와 3·1절 | 3·1 운동에 대한 내연과 외연의 문제 | 성직 매매는 지옥 8층 말레볼제에 던져질 죄 | 교회 세습, 성경이 금하지 않았으니 해도 될까? | 저울추와 같은 그리스도인 | 샤머니즘 탓인가? | 경전 숭배 | 성경을 어떻게 읽을까? | 유자 탱자 망자 | 아멘과 할렐루야의 타락 | 세계 기독교 통계 | 한 집안 살리려고 교단이 죽어 | 불안이 매직을 부른다 | 한국 우파 개신교는 파우스트가 되려는가? | 이 시대의 명언록 | 설교 변천사 | 하나님과 세상이 만나는 자리로 가는 교회 | 패밀리 트리 | 60대는 꿈꾸는 때 | 거짓 예언의 한국교회: 전광훈의 대한민국 폭망설 | 대형의 승리 | 올해의 명언

# 2020년
적록 색맹의 극우 한국교회 | 데칼코마니 | 예수의 옷깃, 역사의 옷깃 | 주일 예배를 중단한 경우 1 | 전광훈은 역사 왜곡을 중단하라 | 주일 예배를 중단한 경우 2 | 바이러스에 걸린 한국 개신교 | 신학과 신학 서적의 영미 종속ㅍ팬데믹과 한국 기독교 | 실용적 접근과 좀비 교회 | 신(新) 파자 풀이 | 종려 주일 | 교회는 몸, 신학자는 등뼈 | 예배의 중요성 | 코로나 이후의 세상 | 해방 이후 격변의 역사 속 하나님 | 코로나는 지구가 내민 고지서 | 나사로야, 나오라: 한국 개신교 지각 변동 임박 | 팬데믹 이후 한국교회 | 필경연전(筆耕硯田) | 코로나 우울증 | 교회의 실패 이유 | 코로나 시대에 간호하는 교회 | 블루 오션: 한국 기독교 역사 공부 | 내가 어째서? | 코로나19 이후 한국교회 조직 개혁안 | 말이라는 것 | 기독교 출판사가 번역서를 많이 내는 이유 | 코로나 이후 교회의 활로: 공공재 늘리기 | 일상의 신학자 예레미야 | 우물 안 개구리 | 새 술은 새 부대에 | 서(恕): 코로나 시대 한국교회의 생존 양식 | 기복 종교 | 게으른 자는 | 지도자가 되지 말라 | 스트링펠로우의 책 첫 줄을 읽고 충격을 받다 | 통심불금(痛心不禁): 대부분이 잘못하고 있었다 | 칼뱅과 전염병 확산자 화형 | 신발을 벗을 때: 비대면 예배가 진정한 예배가 되는 때 | 5퍼센트도 많다 | 진정한 데모 | 문맹, 질병, 가난의 악순환을 끊자 | 성 지향이 아니라 정치 지향이 한국교회를 망친다 | 교단 총회: 전광훈보다 노인 정치를 퇴출하라 | 한국교회는 예배에 목숨 걸지 않았다 | 지금 본회퍼가 살아 있다면? | 셀피냐 거울이냐: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 | 예장 통합, 현실을 목도하고 세습 금지 헌법을 준수하라 | 벌거벗은 세습 교회 | 작은 일 하나: 교회 세습과 신사 참배 | 최대 교단의 탄생 | 10만 교인의 탈영 | 행림교회 없나요? |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 이 산에서 저 산으로 | 인생의 좌우명 | 8계명: 한국교회가 사는 길 | 유위와 무위 | 나를 화장해도 내 혀는 불타지 않을 것이다 | 천지인 신학 | 올해의 단어

# 2021년
2021년 한국교회 전망 | 생은 항해, 노 젓기의 세 유형 | 땅끝과 대위임령, 사도와 제자 | 기독교인은 범죄율이 낮은가? | 교회 멸망의 원인 | 하나님의 학교 | 에이비슨은 지공주의자 | 두려운 일: 이런 교회가 죽으면 기독교가 살까? | 코로나 사태: 한 달란트의 기회 | ‘ANTI-COVID-19 유엔 카드’ 부적 | 인터콥이 궁금하다 | 윈 형제의 『백 투 예루살렘』 비평적 읽기 | ‘조선의 예루살렘 평양’은 신화에 불과 | 좌파냐 우파냐 | 한국교회의 한 병폐: 본질주의 | 기독교인 유튜버나 일부 목사의 IQ는? | 집요한 저류 | 9월 9일이 문제인가? | 왜 한국인 저자의 책은 읽지 않을까? | 한국 남자의 생애 주기와 불온의 미덕 | 기미년 3·1절에 읽은 성경 구절 | 대형 교회에 호소함: 풍년 7년과 흉년 7년

에필로그: 지금은 한국교회 『난중일기』와 『징비록』을 쓸 때




만만하면 어때
9791191118636.jpg


도서명 : 만만하면 어때
저자/출판사 : 양희정, 그래서음악.so music.
쪽수 : 308쪽
출판일 : 2021-10-25
ISBN : 9791191118636
정가 : 15000

Part 1 닿아서,
얼룩 _blots 014
멈출 수는 없다 _낭만닥터 김사부 2 016
풍경을 찍은 줄 알았는데 _내가 나왔네? 018
손의 언어 _머리보다는 마음이, 마음보다는 몸이 정직하니까 020
Door to Doorㆍ양희정 곡 023
詩 _결국 우리는 모두 한 편의 ‘시’처럼 산다 024
이소라 콘서트 _숨, 공간 그리고 호흡 026
혼자 산다는 것ㆍ양희정 곡 029
생명의 순환 _Wreath(우리가 잘 알고 있는 것은 크리스마스 리스) 030
사진의 시간성 _MAGNUM IN PARIS 032
살아온 시간의 나이 _아빠는 63세니까, 63세 다워야지?! 034
바니시 _틈 사이를 메우는 사람 037
Approach note _저... 잠시만 지나갈게요 040
행복추구권 _추구(追求)는 이룰 때까지 뒤쫓아가는 것이래 042
고귀한 흰 빛, 내겐 글쓰기 같은 것 _에델바이스 꽃말 044
밥 한 끼 _꼭꼭 씹어 먹고 잘 기억하기 048
보는 것에 따라 _보여주는 것에 따라 050
에디터는 _좋아하는 것에서 좋은 것을 골라내는 사람이래요 052
결사반대 _시간이 지나고 보니 그런 건 없었다 054
꽃이 보내는 시간 _나와 다른 시차 056
작가의 삶 _아티스트는 어디에서든 아티스트이다 058
꼭, 꽃_Main color: Purple _꽃 수업 기말고사(소논문 쓰는 기분) 062
꽃을 바라보듯 _타인을 바라보듯 066
마지막 청첩장 _24년째 친구인 친구들 068
꽃길 _내 꽃길은 내가 만든다 072

Part 2 깨지고,
Good or Better _I can do anything 078
마음 이론(Theory of mind) _거울 신경 세포(Mirror neuron) 079
언젠가는 _노인의 시간에 다다른다 082
딜리버리 서비스 _한국의 이모, 삼촌들의 마음을 모아서 084
외할머니 _강원도 소녀 086
내버려 두는 시간 _좀비 식물이라 불리는, 아이비 089
꽃 한 송이 선물하실래요? _그럼 꽃을 ‘만드는 시간’까지 함께 선물하시는 거예요 092
골든 타임 _모든 순간 094
사랑이었다 _시간이 지나도 사랑은 사랑이었다 095
On the road _이 길 위에서 098
화분 속, 흙 사이사이는 어둡다 _그 어둠 사이로 생명이 흐른다 100
누리달 열아흐레 _6월 19일, 생일의 순 한글 102
순삭 _가장 거대한 것 103
자생력+지속가능성 _튼튼 + 든든 104
선물에 담긴 것은 나의 의미 _마음이 움직이니까 106
당신의 이웃은 누구입니까? _잡을 수 없는 손 108
선생님들 _먼저 선, 살 생 110
餘白 _여백이 중요하다 111
과거의 친구로부터 _노래하는 조용우 112
빵과 포도주 _나와 너 114
웃음 _봄스러운 웃음 116
20140416 _마음껏 그리워하도록 118
봄을 다시 기다리며 _노래를 부르자 119
다시, 봄ㆍ양희정 곡 121

Part 3 바라보고,
無努 _애쓰지 않아도 괜찮아 124
타임 랩스 _과정의 기록 126
그리운, 시간 _“As surely as I live, all the earth will be filled with the glory of the Lord.” 128
입김_ 후우~ 130
너무 수평 맞춰서 찍지 않아도 돼 _편집할 때도 수평을 맞추게 되는걸? 132
지나온 모든 것 돌아보니 _한 해를 마무리하며 134
Prism _어떻게 통과해 낼 것인가? 138
Cone Tree _꽃으로 삼각형 만들기 140
착한 교회 언니 병 탈출기 _모두에게 좋은 사람일 수 없다 142
非定型 _I want you just the way you are 144
마음이 소화하는 시간 _꿈 이야기 146
Out of focus _또렷함이 정답은 아니니까 148
심표, 숨표 _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을수록, 쉼표와 숨표 150
시편 23편 _우리의 마지막 노래 152
노래 녹음 _내 입에서 나와 내 귀로 되돌아오는 음성 155
오해 _그릇되게 해석하거나 뜻을 잘못 앎 156
의존 _인간다움의 기본적인 자세 159
우리 서로 사랑해 _Just be natural 160
좋음과 나쁨은 맞닿아 있더라? _좋음을 발견하는 법 162
이미 충분히 아름다워 _“쌤은 어떻게 그런 말을 하세요??” 163
나의 꽃 선생님이 되실 줄 모르고 해주신 이야기 _우린 더 오래 보는 사이가 되었다 166
양양피아노 로고의 시작 _빨간색 피아노 168
팔꿈치 정도? _모든 것을 오픈하지 않아도 되니까 170
세상에 한 명쯤은 _만만해야지 172
골고루 _먹구름의 이쁜 짓 173
엄지손가락 _너하고 나는 친구 되어서 174
공존 _없는 것 빼고 다 있네 176
반주 여행 _반주자들과 헤어지는 지금 177
관광 용품이 팔리는 이유 _나의 시간을 새겨넣을 수 있으니까 178
소리를 보이게 하는 배치 _직선 운동하는 너의 경로를 파악하는 일 180
길가에 꽃을 심는 사람 _꽃길 메이커 182
인술라 _겨우 7평 남짓, 내 원룸 184
아니, 벌써 _할 일 하기 싫다는 말 멋있게 했네 185
청춘 속, 꿈에 음악 한 스푼 _입시 반주 186
새벽 바다 위 별 _나의 동공이 인식할 수 있도록 190
Aready _그대는 이미 꽃이에요(iam, flos) 194
꼭, 꽃ㆍ양희정 곡 197

Part 4 보완하고,
언니와 마신 Iced Latte _오래 기억할 거야 200
손수건 _작은 실천 202
빗소리 _차에서 듣는 빗소리 204
내가 사는 모든 순간 _그 안에... 205
전설의 연주자 _아브라함 라보리엘의 기도 206
잊고 살다가도 문득 _해주고 싶은 이야기 208
무엇무엇보다 _비교는 나쁜 거지만 비교를 해야 한다면 209
잘 울래 _눈물 흘리는 일은 감정 표현의 하나일 뿐 210
일단, 슬픔이 앞에 서는 거야 _헤어짐 212
만만하면 어때? _사실은 스며드는 일이야 214
에라이 _알 수 없는 인생 215
~에 따라 _모두 다르지 216
나무를 만져 보면 _생명의 신비함을 느끼게 돼 218
꾸준함 _좀 더 멀리 보기로 해 220
언제나 처음 _서툰 것은 당연한 일 222
뮤지션들의 엉망진창 자랑대회 _서로의 못남을 꺼내어 놓는다 223
손전등 _누구나 하나쯤은 가지고 있는 것 224
Flashlight(손전등)ㆍ양희정 곡 228

Part 5 닿고
모든 게 취소된 요즘 _지금 할 수 있는 것 #집필 232
예배를 ‘본다’, ‘드린다’를 넘어 _예배로 ‘살아간다’ 234
You are a letter _나는 하나님의 편지이자. 집배원 237
후두두두두둑 _떨어진 꽃잎들 238
세계 여성의 날이 사라지길 기대한다 _모두가 사람이고, 모든 것이 생명이다 240
마른 반찬류 _오후 12시에 맡겨진 택배를 새벽 1시에 만나다 243
두려움은 사라지는 감정이 아니더라 _그러니, 246
오늘 _선물 248
어르신의 편지 _흩날리던 내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앉힌다 249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 61주년 _1960.4.19. 250
여섯 계절을 지나 _마지막 꽃 수업 254
어떻게 그렇게 살아? _아까운 나의 시간 256
음악과 음식 _시간을 소환하는 친구들 257
향을 고르듯 _선택할 수 있다 260
We are all the same♡ _같을 수 없으니까 262
나란히 걷다 _지나고 보니 그랬더라 264
하나님을 만나는 방법 _양양피아노 스타일 268
싹둑 _건강한 마음을 만들려면 270
시간이 지나도 _받은 사랑은 커져만 가니까 272
꽤 괜찮은 오늘, 토요일 오후 _나를 손님으로 대하기 275
국기 _한 나라의 역사, 국민성, 이상 따위를 상징하는 기(旗) 278
공동체의 순기능 _2014년 8월 282
드디어, 에세이 출간을 합니다 _에헴 286
잘 가 _화분이 좁았던 알로카시아 288
보온 _주위의 온도와 관계없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함 292
오늘을 응원해 _수능 전날 발매하는 이유 294
오늘을 응원해ㆍ양희정 곡 297
50분 _사실은 35년 어치의 시간 298
악보 발송 완료 _187분 감사해요 300
신은 생명을 사랑한다 _그렇지, 그 분은 생명의 주님이셨지 304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