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하루 독해 2단계 2B(1~2학년) 또는 문화, 정상은 없다
땅끝
2025-01-04 07:51
106
0
본문
똑똑한 하루 독해 2단계 2B(1~2학년)

도서명 : 똑똑한 하루 독해 2단계 2B(1~2학년)
저자/출판사 : 천재교육 편집부, 천재교육
쪽수 : 208쪽
출판일 : 2021-11-16
ISBN : 9791125965480
정가 : 13000
(1주)
1주에는 무엇을 공부할까? / 1일_꼬마 사또 / 2일_투명 우산 / 3일_붙어서 가자 / 4일_신용 카드는 요술 카드? / 5일_오이 피클 담그기 / 평가_누구나 100점 테스트 / 특강_창의 융합 코딩
(2주)
2주에는 무엇을 공부할까? / 1일_도대체 그동안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 2일_파리는 용서를 빌려고 다리를 비빌까? / 3일_미다스 왕 / 4일_동물원은 없어져야 한다 / 5일_층간 소음, 서로 양보하면 줄일 수 있어요 / 평가_누구나 100점 테스트 / 특강_창의 융합 코딩
(3주)
3주에는 무엇을 공부할까? / 1일_의좋은 형제 / 2일_게는 왜 옆으로 걸을까? / 3일_추운 날 / 4일_봄과 관련된 우리말 / 5일_지진 대피 요령 / 평가_누구나 100점 테스트 / 특강_창의 융합 코딩
(4주)
4주에는 무엇을 공부할까? / 1일_빨간 구두 / 2일_우리 몸에 꼭 필요한 잠 / 3일_파란 마음 하얀 마음 / 4일_칠교놀이를 해요 / 5일_제4회 벚꽃 축제 / 평가_누구나 100점 테스트 / 특강_창의 융합 코딩
문화, 정상은 없다

도서명 : 문화, 정상은 없다
저자/출판사 : 김시아 , 김희경 , 류수연 , 문선영 , 서곡숙 ,, 르몽드코리아
쪽수 : 200쪽
출판일 : 2022-01-11
ISBN : 9791186596890
정가 : 14500
서문
문화, 정상은 없다 | 이병국
제1부 차별과 배제를 넘어
1장 김희경 | ‘상상력의 총체’ 문화계가 품고 있는 해묵은 잣대, 피부색과 성별
1) 주요 시상식의 피부색 논란
2) 문화·예술계 인식의 답보, 혹은 퇴보
3) 그럼에도 거부하고 저항하는 콘텐츠
4) 다양성 회복을 위한 연대
2장 이병국 | 정상가족이라는 상상공동체
1) 정상가족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두 종류의 가족형태
2) 가부장적 훈육이 생성하는 종속적 관계
3) 가족, 그 내밀한 공동체에 가해지는 균열
3장 문선영 | 로맨스 드라마의 관습을 경유하는 비혼
1) 비혼이라는 트렌드를 입은 로맨스
2) 드라마 현실을 비껴가는 로맨스 드라마 전략
3) 숨길 수 없는 정상가족에 대한 집착
4) 비혼, 현실과의 거리감 좁히기
4장 류수연 | 당신은 ‘어떤’ 집에서 살고 있나요?
1) 오늘의 집
2) 계급이 되어버린 집, 그럼에도 우리는 ‘집’에서 살고 싶다
3) 우리는 모두 조금씩 이상하다 : 〈물고기로 죽기〉와 다름의 상상력
5장 양근애 | 다르지 않다, 그러나 평등하지 않다
1) ‘나’의 몸으로 살다가 죽는 일
2) 보늬가 껍질을 바라보듯
3) 우리는 모두 조금씩 이상하다
6장 이혜진 | 새로운 미래 선언: 어떤 세대가 정상이었는가
1) 권위의 실패냐 세대의 충돌이냐
2) 로큰롤 세대의 기원
3) 미치광이들의 광기냐, 완전히 새로운 것의 창조냐
4) 미래에 대한 공포와 희망
제2부 경계와 빗금을 응시하는
7장 김시아 | 특별한 존재 되기 : 다양한 (비)장애 그림책을 통한 다른 시선
1) 평범하지 않은 사람 되기: 『아나톨의 작은 냄비』 작아도 예술가 되기: 『완두』
2) 시선을 전환하기: 『모자』
3) 마음으로 듣기: 『나는 강물처럼 말해요』 경계를 넘는 상상하기: 『물이 되는 꿈』
8장 이주라 | 우리의 성장은 정상에서 벗어나는 일 116
1) 폭력의 시대, 성장의 드라마
2) 다양한 소수자의 세계
3) 너와 함께 있어
9장 서곡숙 | 복수의 다층성과 정상/비정상의 경계 가로지르기 : 영화 〈나이팅게일〉
1) 복수영화와 정상/비정상의 이분법
2) 복수의 동기: 여주인공/적대자의 대립과 차별적 사회구조
3) 복수의 명분: 가해자의 악행, 피해자의 고통, 공적 처벌의 좌절
4) 복수의 의미: 생태적 인간의 연대, 소수자의 저항, 복수자의 해방
5) 복수의 시대와 정상/비정상의 경계 가로지르기
제 10장 최양국 | 꽃-패러디 그리고 변주
1) ‘나’와 ‘너’ / 존재 본질 / 이름의 / 명명 행위
2) 패러디 / 통한 「꽃」은 / 존재 본질 / 왜곡 묘사
3) 변주로 / 함께 한 「꽃」은 / 소통으로 / 진화해
11장 장윤미 | 내 마지막 숨을 결정할 권리
1) 죽음이 두려운 이유
2) 누구의 삶인가, 누구의 죽음인가
3) 가장 자연스러운 죽음
12장 안치용 | 사랑 앞에서, 사랑과 함께, 그러나 사랑 없이
1) 아버지의 이름으로, 죽음의 이름으로
2) 욕망을 욕망하다
3) 사물화·물화·소외
출처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