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가끔 엄마가 미워진다 또는 지식의 사회, 사회의 지식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나는 가끔 엄마가 미워진다 또는 지식의 사회, 사회의 지식

땅끝
2025-01-04 07:51 86 0

본문




나는 가끔 엄마가 미워진다
9791191842005.jpg


도서명 : 나는 가끔 엄마가 미워진다
저자/출판사 : 배재현, 갈매나무
쪽수 : 264쪽
출판일 : 2021-07-26
ISBN : 9791191842005
정가 : 15000

들어가며

1부 어린 시절 상처는 그냥 괜찮아지지 않는다
- 아이가 감당하기에는 너무 큰 스몰 트라우마
우리에겐 저마다 다른 모양의 정원이 있다
‘까탈’스럽고 ‘예민’했다는 말
몸은 모든 것을 기억한다
언제 나를 공격할지 모를 커다란 곰과 살고 있다면
내 마음을 들여다보기가 두려워
나를 자극하는 기억의 창고가 열릴 때
아동기 부정적 경험에 대한 연구

2부 나는 왜 엄마가 가끔 미워질까?
- 나도 몰랐던 정서적 학대의 기억
부모님이 날 때린 건 아니었지만
작은 일에도 엄마한테 너무 화가 나요
엄마에게도 아픔을 말하지 못한다는 건
사랑도 감옥일 줄 몰랐어요
원래 다 그렇게 크는 거 아니었나?
가족은 있지만, 꼭 ‘고아 같은 느낌’
불쌍한 엄마를 내가 지켜줘야 해
지금 보니 어릴 때 나는 참 힘들었구나
복합 트라우마 : 어린 시절 지속적인 학대의 희생자

3부 상처받은 줄 모르고 어른이 되었다
- 고통의 흔적을 들여다보다
1. 왜 사람들과 관계 맺는 게 늘 어려울까?
고통의 흔적 1 : 애착 문제
애착, 인생에서 처음 수행하는 과제
연애를 시작하면 다른 내가 나와요
자꾸 다른 사람의 눈치를 살피게 돼
저 사람이 나를 질려하지 않을까?


2. 내 감정을 나도 몰라
고통의 흔적 2 : 자기조절감 문제
나는 감정표현 불능증인가
지킬 박사와 하이드: 나인데 마치 내가 아닌 것 같아
나쁜 감정은 없다
분노의 감정 이면에 숨은 것들
3. 나를 비난하는 목소리가 멈추질 않아
고통의 흔적 3 : 자기가치감 문제
수치심과 자기 비하의 내면 회로가 만들어지는 과정
완벽주의는 가장 높은 수준의 자기학대
자기조절감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4부 엄마는 그때 왜 그랬을까?
- 내 부모를 한 걸음 물러서서 바라보기 위해
우리 엄마도 그땐 어린 나이였다
정서 조절의 실패와 ‘부모다움’이 차단되는 순간
아직 덜 자란 아이가 아이를 키웠는지도 모른다
트라우마의 대물림 : 심리적인 문제만이 아니다

5부 과거를 바꿀 수는 없지만 다르게 바라볼 수는 있다
- 변화를 위해 내 마음에 담아둬야 할 것들
왜 상처가 치유되지 않고 지속되는 걸까?
상처의 치유는 세 영역에서 일어난다
당신은 자신을 어떻게 달래주나?
행복한 삶을 선택하기 위한 16가지 조언
회복탄력성 : 하와이 카우아이섬 연구

감사의 말
참고문헌




지식의 사회, 사회의 지식
9791189433420.jpg


도서명 : 지식의 사회, 사회의 지식
저자/출판사 : 김영욱 , 김민철 , 이민지 , 이강원 , 김선기 ,, ITTA
쪽수 : 388쪽
출판일 : 2021-10-20
ISBN : 9791189433420
정가 : 20000

서문
박동수 ㆍ 하나의 교차로에서 다른 교차로로

주제 서평
김영욱 ㆍ 지성과 사회의 비관적 변증법 ㆍ 《인간 불평등 기원론》
김민철 ㆍ 18세기 유럽 공론장의 역사를 다시 쓴 젊은 고전 ㆍ 《살롱의 세계(Le monde des salons)》
이민지 ㆍ 여성이 주도한 의학의 역사: 중세 후기 유럽의 돌봄과 치유 ㆍ 《젠더, 건강, 치유, 1250-1550(Gender, Health, and Healing, 1250-1550)》
이강원 ㆍ ‘사회’에 사회성을 되돌려주다 ㆍ 《사회적인 것의 재구성(Reassembling the Social)》
김선기 ㆍ 한국 지식장은 서구 종속성을 탈피할 수 있는가 ㆍ 《글로벌 지식장과 상징폭력》,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김건우 ㆍ 도달 (불)가능한 사회와 열정으로서의 이론? ㆍ 《사회의 사회》

비주제 서평
방원일 ㆍ 올곧은 종교를 향한 노학자의 꿈 ㆍ 《인류를 만든 의례와 종교》
이선화 ㆍ 인간 너머의 인류학과 존재론적 전환 논쟁 ㆍ 《숲은 생각한다》
김관욱 ㆍ 돌봄, 사건이 아닌 의례로 상상하기 ㆍ 《케어》, 《새벽 세 시의 몸들에게》
양승훈 ㆍ 모달 시프트와 지역균형발전, 그리고 메가 시티 ㆍ 《거대도시 서울 철도》
김재영 ㆍ 이미지 전통과 논리 전통의 만남 ㆍ 《이미지와 논리(Image and Logic)》

에세이
서민우 ㆍ 오웰의 주제들: 과학지식사회학의 전사

인터뷰
곽성우·김세영·맹미선·박동수·신새벽·윤현아·이한솔 ㆍ 타자에 대한 사유, 마주침과 커뮤니케이션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