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하기 쉬운 연구실안전법 또는 잘못된 자기주도학습이 아이를 망친다
땅끝
2025-01-04 07:51
136
0
본문
이해하기 쉬운 연구실안전법

도서명 : 이해하기 쉬운 연구실안전법
저자/출판사 : 강만구 , 김동걸, 북랩
쪽수 : 230쪽
출판일 : 2021-04-09
ISBN : 9791165396855
정가 : 18000
머리말
제1장 | 연구실안전법 총칙
1-1.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약칭: 연구실안전법)의 체계
1-2.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제정(制定) 및 개정(改正) 현황
1-3. 연구실안전법의 목적 및 정의(연구실안전법 제1조, 제2조)
1-4. 연구실안전법의 적용 범위(연구실안전법 제3조)
1-5. 국가의 책무(연구실안전법 제4조)
1-6. 연구주체의 장 등의 책무(연구실안전법 제5조)
1-7. 연구실 설치 운영 기준(연구실안전법 제5조제2항,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연구실 설치운영에 관한 기준)
제2장 | 연구실 안전환경 기반 조성
2-1.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연구실안전법 제6조)
2-2. 연구실안전심의위원회(연구실안전법 제7조)
2-3. 연구실 안전관리의 정보화(연구실안전법 제8조)
2-4. 연구실책임자의 지정 운영(연구실안전법 제9조)
2-5. 보호구의 비치(연구실안전법 제9조제4항 및 동법 시행규칙 제3조)
2-6.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의 지정(연구실안전법 제10조)
2-7. 연구실안전관리위원회(연구실안전법 제11조)
제3장 | 연구실 안전조치
3-1. 안전관리규정의 작성 및 준수(연구실안전법 제12조)
3-2. 유해인자별 노출도평가(연구실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에 관한 지침 제12조)
3-3. 유해인자별 취급 및 관리(연구실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에 관한 지침 제13조)
3-4. 안전점검의 실시(연구실안전법 제14조)
3-5. 정밀안전진단의 실시(연구실안전법 제15조)
3-6.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실시 결과의 보고 및 공표(연구실안전법 제16조)
3-7.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대행기관의 등록 등(연구실안전법 제17조)
3-8.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의 실시(연구실안전법 제19조)
3-9. 교육 훈련(연구실안전법 제20조)
3-10. 건강검진(연구실안전법 제21조)
3-11. 비용의 부담(연구실안전법 제21조)
제4장 | 연구실사고에 대한 대응 및 보상
4-1. 연구실사고 보고(연구실안전법 제23조)
4-2. 연구실사고 조사의 실시(연구실안전법 제24조)
4-3. 연구실 사용제한 등(연구실안전법 제25조)
4-4. 보험가입 등(연구실안전법 제26조, 제27조)
4-5.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연구실안전법 제28조)
제5장 |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을 위한 지원 등
5-1. 대학, 연구기관등에 대한 지원(연구실안전법 제29조)
5-2. 권역별연구안전지원센터의 지정 운영(연구실안전법 제30조)
5-3. 검사(연구실안전법 제31조)
5-4. 증표 제시(연구실안전법 제32조)
5-5. 시정명령(연구실안전법 제33조)
제6장 | 기타
6-1. 연구실안전관리사(연구실안전법 제34조) (2022. 6. 10. 시행)
6-2. 신고(연구실안전법 제39조)
6-3. 비밀 유지(연구실안전법 제40조)
부록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3단 조문 비교표
참고 1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 지정 보고서
참고 2 유해인자 취급 및 관리대장
참고 3 연구실 일상점검표
참고 4 정기점검 및 특별안전점검 실시 내용
참고 5 연구실 안전현황표
참고 6 연구개발활동별 유해인자 위험분석 보고서
참고 7 연구개발활동안전분석(R&DSA) 보고서
참고 8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보고서 관리대장
참고 9 연구실 안전 유지관리비 계획 및 사용내역서
참고 10 연구실사고 조사표
참고 11 보험가입 신고서
참고 12 안전관리 우수실 인증, 재인증 신청서
참고 13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서
참고 14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표시
잘못된 자기주도학습이 아이를 망친다

도서명 : 잘못된 자기주도학습이 아이를 망친다
저자/출판사 : 김성태, 이지북
쪽수 : 284쪽
출판일 : 2021-03-04
ISBN : 9788957078938
정가 : 16800
프롤로그
감사의 말
Part 1. 우리가 알고 있던 자기주도학습은 틀렸다
Chapter 1.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
자기주도학습, 내 아이만 안 되나?
마음처럼 안 되는 자기주도학습|아이 탓을 하기 전에 던져야 할 질문
자기주도학습 능력자는 새로운 인재상이다?
지식정보화시대, 4차산업혁명은 자기주도형 인재를 요구한다|OECD, DeSeCo 프로젝트와 자기주도학습
어긋난 이상, 우리의 자기주도학습
사교육 시장이 자기주도학습을 활용하는 법|대치동 자기주도학원의 진실|자습과 자기주도학습의 혼동
공부포기자를 만들어내는 자기주도학습의 역설
잘못된 자기주도학습이 공부의 본질을 왜곡시켰다
Chapter 2. 자기주도학습이 안 되는 건 아이 탓이 아니다
첫째,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잘못된 이해
우리의 자기주도학습은 반쪽짜리였다|자기주도학습과 자기조절학습의 혼동
둘째, 학생에게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한다
선택과 집중|학교 환경에서의 자기주도학습 전략|결국 모든 것은 학습에 대한 부담으로
셋째, 불필요한 패배감을 불러일으킨다
성적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학습된 무기력|자기주도학습과 패자 효과
넷째, 자기주도학습, 출발점부터 다르다
서로 다른 출발점|어른이 된다는 것, 자기주도학습자가 된다는 것|학교에서 하는 교과목 학습 vs 교과목 밖 학습
Quiz.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진실 vs 거짓
Part 2. 이제는 자기조절학습이다
Chapter 3. 지금 당장 자기조절학습을 시작하라
자기주도학습 vs 자기조절학습
자기조절학습은 자기주도학습의 한 부분|자기주도학습과 자기조절학습의 공통점|자기주도학습과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자기주도력은 있거나 없는 것이 아니다
있다-없다 vs 많다-적다
교사-학생 조합과 자기조절학습
학생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사주도학습|청소년 자기주도학습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교사주도학습의 밝은 면|자기조절학습+교사의도움≒자기주도학습
작은 성공의 반복을 유도하는 자기조절학습
가시적인 목표의 중요성
새로운 출발, 자기조절학습
자기주도력은 자연스럽게 습득된다
Chapter 4. 단계별 자기조절학습
우리는 자기조절학습자였다
자기조절학습의기본모델
레벨1 : 자기조절학습 시작하기? 146
동기레벨1|메타인지레벨1|레벨1 자기조절학습의실제
레벨2 : 자기조절학습 적응하기? 157
레벨1.5 :1단계업그레이드하기|레벨2 :새로운전략적용하기
레벨3 : 자기조절학습 완성하기? 170
레벨2.5 :레벨2 업그레이드하기|레벨3 :새로운전략적용하기
Part 3. 반드시 성적이 오르는 자기조절학습 성공 전략
Chapter 5. 인지과학에 기초한 자기조절학습 성공 전략
공부의 짜릿한 쾌감을 증폭시켜라
생각만바꿔도성적이오른다?|생각의힘|숙달동기
망각의 사이클을 극복하는 시험 효과
기억의메커니즘|기억의종류|어떻게공부할것인가?
흩어져 있는 개념을 구조화하라
머릿속에폴더를만들어라|정보들은연결되어있어야한다|목차외우기
5분 누적 복습의 힘
잊어버리니까사람이다|세상쉬운5분누적복습학습법
QM차트로 모니터링하기
오답유형을분석하라|오답유형분석표를만들자|오답분석표만들기3단계
자기조절학습 성공을 위한 스터디 플래너 활용법
내가 생각하는 내 모습 적어보기|단기목표부터 차근차근|나의 하루 분석과 데일리 플랜|하루 15분의 마법
Chapter 6. 부모와 교사를 위한 자기조절학습 가이드
작은 승리의 경험, 가재 효과를 노려라
자기결정을 유도하면 성공확률이 높아진다|작은 성공을 끌어내는 ‘5초의 법칙’
노력 귀인 그리고 바람직한 스트레스
목표와 골디락스 효과|작은 성공을 유도하는 노력 귀인|바람직한 스트레스
오래 공부하지 못하는 아이들
의지력은 한정된 자원|때로는 자유롭게, 때로는 엄격하게|무한한 의지력의 비밀|out of sight, out of mind
에필로그
주석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