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다른 죄책감 또는 한탄강 세계지질공원으로 떠나는 여행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서로 다른 죄책감 또는 한탄강 세계지질공원으로 떠나는 여행

땅끝
2025-01-04 07:51 117 0

본문




서로 다른 죄책감
9791165527822.jpg


도서명 : 서로 다른 죄책감
저자/출판사 : 김복수, 지식과감성
쪽수 : 180쪽
출판일 : 2021-04-09
ISBN : 9791165527822
정가 : 12000

책을 펴면서

Ⅰ 서로 다른 국가관
1. 2016년
2. 한국 보수
3. 자칭 보수
4. 왜구의 혼혈
5. 한국인의 관점
6. 식민지 근성 - 한글 폄하 현상

Ⅱ 왜곡된 사회관
1. 곡필(曲筆)
2. 편견
3. 표적
4. 우기기
5. 음서제
6. 대단한 공무원

Ⅲ 빗나간 생활관
1. 기부 문화
2. 음주 문화
3. 휴대 전화
4. 유기 동물
5. 안전 불감증

책을 마무리하면서




한탄강 세계지질공원으로 떠나는 여행
9788962623772.jpg


도서명 : 한탄강 세계지질공원으로 떠나는 여행
저자/출판사 : 권홍진 , 정병호 , 안락규 , 이문원, 동아시아
쪽수 : 392쪽
출판일 : 2021-06-25
ISBN : 9788962623772
정가 : 17000

머리말

‘지질여행’을 떠나기에 앞서

I. 한탄강 세계지질공원의 가치와 의미

1. 역사와 문화가 숨 쉬는 곳
1) 구석기 ‘전곡리인’의 삶터 | 2) 청동기 ‘고인돌 전시장’ | 3) 삼국시대, 고려, 조선 그리고 현대사의 흔적 | 4) 선조들을 부른 절경, 그 속에 담긴 이야기

2. 지형 및 지질의 야외박물관
1) 김정호가 대동여지도에 그린 한탄강 | 2) 용암으로 물줄기가 바뀐 한탄강 | 3) 야외 지질박물관과 다름없는 한탄강 유역

3. 한탄강 현무암질 용암의 비밀을 간직한 곳
1) 지구 표면을 가장 넓게 덮고 있는 현무암 | 2) 한탄강 용암의 마그마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 3) 한탄강 용암의 마그마는 어떤 형식으로 분출했나? | 4 ) 한탄강 용암의 마그마는 몇 차례 분출했나? | 5) 한탄강 용암은 어떻게 멀리까지 이동했나? | 6) 두꺼운 현무암층에서 용암단위는 어떻게 구분할까? | 7) 한탄강 현무암 계곡의 주상절리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 8 ) 한탄강 계곡의 현무암에는 어떤 유형의 주상절리가 발달했을까? | 9 ) 한탄강 계곡의 다양한 모양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 10) 폭포 아래 포트홀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4. 한탄강 유역에서 만나는 지질시대의 사건들
1) 중생대 ‘연천-철원분지’와 화산활동 | 2) 중생대 심성활동과 화강암 | 3 ) 두 대륙이 충돌한 흔적이 있는 ‘임진강대’ | 4) 충돌하는 판들 사이에서 변성을 받은 미산층 | 5) 서울-원산 구조대

II. 한탄강 세계지질공원으로 떠나는 여행

1. 포천 지역
지질명소 1. 비둘기낭폭포와 멍우리협곡 : 비둘기들도 시샘하는 아름다운 풍경
지질명소 2. 화적연 : 선조들도 즐겨 찾은 아름다운 풍광
지질명소 3. 아우라지 베개용암 : 용암과 물이 만나서 만든 자연의 작품
지질명소 4. 지장산 응회암 : 중생대 화산활동의 생생한 현장
지질명소 5. 아트밸리와 포천석 : 화강암 채석장의 아름다운 변신
지질명소 6. 교동가마소 : 풍화와 침식이 빚어낸 작은 연못
지질명소 7. 옹장굴 : 기반암과 현무암층 사이에 숨겨진 천연동굴
지질명소 8. 구라이골 : 한탄강 현무암 협곡의 축소판
지질명소 9. 백운계곡과 단층 : 작은 연못과 폭포가 어우러진 화강암 골짜기

2. 연천 지역
지질명소 1. 재인폭포 : 줄타기 달인의 전설이 전해지는 폭포
지질명소 2. 백의리층 : 옛 한탄강 물줄기가 쌓아놓은 퇴적물
지질명소 3. 좌상바위 : 중생대 화산 분화구의 흔적
지질명소 4. 신답리 3층 용암 : 한탄강 용암의 화산 활동사를 볼 수 있는 곳
지질명소 5. 은대리 판상절리와 습곡구조 : 두 판이 충돌한 흔적을 보이는 현장
지질명소 6. 전곡리 유적 토층 :구석기 역사 학설을 뒤집은 세계적인 고고학 현장
지질명소 7. 차탄천 주상절리 : 차탄천이 현무암층에 만든 여러 모양의 작품
지질명소 8. 임진강 주상절리 : 병풍처럼 펼쳐진 현무암 절벽 풍광
지질명소 9. 합수머리 하식동굴 : 한탄강과 임진강이 만나서 만든 작품
지질명소 10. 당포성 : 한탄강 현무암 절벽이 만든 천혜의 요새
지질명소 11. 동막골응회암 : 공룡 시대에도 이곳에 화산이 있었던 증거

3. 철원 지역
지질명소 1. 소이산 : 평강-철원 용암평야를 볼 수 있는 전망대
지질명소 2. 직탕폭포 : 용암평원에 병풍처럼 펼쳐진 폭포
지질명소 3. 고석정 : 임꺽정의 은신처였던 외로운 화강암 바위
지질명소 4. 삼부연폭포 : 세월과 함께 위치를 바꾼 물줄기
지질명소 5. 샘통 : 겨울 철새를 불러들이는 얼지 않는 샘물
지질명소 6. 송대소 : 한탄강 용암이 자랑하는 주상절리 전시장
지질명소 7. 대교천 협곡 : 용암의 여러 조각품이 진열된 좁고 깊은 계곡
지질명소 8. 평화전망대 : 한탄강 용암의 발원지를 볼 수 있는 곳

맺음말
용어 설명
자료 출처 및 참고 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