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축의 전환 또는 미학 깊이 읽기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창업, 축의 전환 또는 미학 깊이 읽기

땅끝
2025-01-04 07:51 125 0

본문




창업, 축의 전환
9791156061731.jpg


도서명 : 창업, 축의 전환
저자/출판사 : 김삼문, 작가마을
쪽수 : 374쪽
출판일 : 2021-08-20
ISBN : 9791156061731
정가 : 18000

CONTENTS

책 머리에

창업, 축의 전환

목차

1부 | 창업, 촉의 발상

취업보다 창업
서울올림픽 개최는
촉의 정신
축의 창업 정책은
주민자치단체 미래는
정보통신부 신설
국가의 벤처정책은
국가부도 위기 초래
IMF 경제 위기대응
창업의 뉴딜

2부 | 창업, 축의 전환

정부의 축의 전환
축의 재 창업
IT 벤처기업 열풍
축의 학습은
IT 벤처기업 붐
벤처 붐 버블
전환의 혁신
멀티미디어 혁신
모바일시대정신
시대적 몰입
사회적 몰입
벤처기업의 정신
엑시트(EXIT) 탈출구
벤처경영에 졸업

3부 | 창업, 몰입의 뉴딜(New Deal)

몰입의 산학은
몰입의 역할은
산학의 뉴딜
소프트웨어시대정신은
창업생태계는
사회적 책임과 공헌
멘토의 뉴딜
나눔의 뉴딜
창업가들의 꽃길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실패의 뉴딜




미학 깊이 읽기
9788991428317.jpg


도서명 : 미학 깊이 읽기
저자/출판사 : 조희원, 바오출판사
쪽수 : 388쪽
출판일 : 2021-06-21
ISBN : 9788991428317
정가 : 20000

머리말 05

제1부 모던 시기 이전-예비적 고찰
제1강 근대적 예술개념과 미
1. 예술을 어떻게 볼 것인가 021/2. 세계관의 변화 : 합리론의 대두 024/3. 예술 개념의 탄생 029/4. 미 개념과 예술 035
제2강 근대미학의 성립과 낭만주의의 출현
1. 영국의 경험론적 미학 : 취미론 040/2. 합리론적 근대미학 : 바움가르텐 044/3. 지성과 상상력의 자유로운 놀이 : 칸트의 『판단력 비판』 048/4. 낭만주의 미술 059

제2부 모든 시기의 미술론과 이미지들
제3강 모더니티 개념의 출현과 확립 : 역사적 모더니티 vs. 미적 모더니티
1.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으로서의 모더니티 071/2. 미적 모더니티의 화가들 080
제4강 모던 회화의 출현 : 보들레르의 현대회화론과 마네
1. 보들레르와 마네 090/2. 보들레르의 회화론 :“현대적 삶의 화가” 개념을 중심으로 094/3. 마네의 의도 : 종합 또는 재해석? 097
제5강 독일표현주의 : 실존의 문제와의 관계
1. 표현주의의 탄생 115/2. 실존주의와 표현주의 회화 120/3. 독일 표현주의의 세 유파 128
제6강 ‘새로움의 미학’의 역설 : 입체주의와 미래주의
1. 현재에 대한 의식으로서의 모더니티에서 아방가르드한 모더니티로 138/2. ‘새로움의 미학’과 새로운 미술 운동 : 입체주의와 미래주의 145
제7강 승화와 탈승화 : 프로이트의 미술 이해
1. 프로이트와 정신분석학 169/2. 승화와 탈승화 173
제8강 아방가르드 논의의 두 가지 사례 : 그린버그 vs. 뷔르거
1. 그린버그의 아방가르드 미술 : 아방가르드 vs. 키치 188/2. 뷔르거의 ‘역사적 아방가르드’: 다다이즘 201
제9강 아방가르드 미술론과 ‘예술의 자율성’-그린버그의 형식주의 미술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1. ‘예술의 자율성’ 218/2. 보들레르와 그린버그의 미학 224

제3부 포스트모던 시기의 미술론과 이미지, 그리고 애니메이션
제10강 보드리야르의 워홀 읽기 : 시뮬라크르를 중심으로
1.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 243/2. 시뮬라크르의 질서 244/3. 시뮬라크르 시대의 예술 : 팝아트 248
제11강 들뢰즈의 회화론 : 색채론을 중심으로
1. 들뢰즈와 회화론 261/2. 색채론을 중심으로 들뢰즈 회화론 다시 보기 274/3. 눈으로 만지기와 비인간(inhumain) 287
제12강 탈(脫)이원론의 예술 실제 : 미셸 오슬로의 〈아주르와 아스마르〉 분석을 중심으로
1. 오슬로 애니메이션의 특징 : 내용과 형식을 중심으로 294/2. 오슬로의 〈아주르와 아스마르〉 분석 : 탈이원론적 성격을 중심으로 301/3. 오슬로가 제시하는 화합 321
제13강 미야자키 하야오, 예술을 가장한 프로파간다?
1.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의 문화적 배경: 신도와 일본 선불교 326/2.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업 분석 : 일본 선불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336/3. 위험한 프로파간다를 경계해야 346
제14강 〈돼지의 왕〉 : 부조리한 세계, 불협화의 미학
1. 〈돼지의 왕〉 분석의 이론적 근거 : 보들레르 미학 351/2. 〈돼지의 왕〉 분석 358/3. 왜 불쾌하게 만드는가 : 부조리한 현실 속 실존에 대한 진정한 경험의 결과 372

맺음말 377
찾아보기 380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