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대통령은 내가 한다 또는 고전의 바다에서 지혜를 낚는 법
땅끝
2025-01-04 07:51
106
0
본문
20대 대통령은 내가 한다

도서명 : 20대 대통령은 내가 한다
저자/출판사 : 한인섭, 보민출판사
쪽수 : 212쪽
출판일 : 2021-09-30
ISBN : 9791191181807
정가 : 14000
제1부. 혁명의 길목에 서서
제2부. 코리아, 그 위대한 생명혁명을 세계로
제3부. 뉴 노멀의 탄생
1. 모든 생명이 존엄한 사회
2. 정치혁명
(1) 기존 정치질서 해체
(2) 신정치질서 탄생
(3) 정치제도 대혁신
(4) 신정치질서의 형성과 진화
(5) 국민과 국가를 지키는 국민부
(6) 정치파벌 쇄신과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행정구획 재획정
(7) 국민과 사회 정의를 지키는 언론자유 보장
3. 경제혁명
(1) 코리아혁명 경제의 지향성
■ 코리아혁명의 국가 주요 경제혁신 패러다임
(2) 기존 경제질서 혁신
(3) 국민과 국가를 위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
■ 국민의 기본 경제생활 확립
■ 튼튼한 재정경제 구축
■ 최강기업 육성정책으로 세계 산업 선도
■ 근로자주식회사제도 신설
■ 금융혁명으로 국민행복 창출
■ 국가, 가계, 기업 부채의 획기적 축소
■ 기본소득제의 허상과 바른 방향
■ 부동산 정책 대혁신
■ 정부 주도 대규모 일자리 창출
■ 국민경제 생활안정을 위한 소득증대 정책 추진
■ 국민연금 고갈문제 해결
■ 자본시장 대도약
■ 국토의 균형개발
4. 사회혁명
■ 국민통합위원회 신설
■ 정부의 균형된 정책 추진
■ 법률제도의 대개편
■ 가정부흥운동 전개
■ 극빈자가 보호받는 사회
■ 양성평등 실현
■ 전과자 사회복귀 프로그램 가동
■ 저출산 인구문제 해결
■ 노령화 사회문제 해결
■ 장애인 삶의 환경개선
■ 아동학대 근절과 보호 대책
■ 자영업자 지원
■ 비정규직 근로환경 개선
■ 국민 자살률 OECD 최저 수준 달성 프로그램 가동
■ 동물 생명 지키기
■ 다문화사회 조화
■ 매국노 스파이 중단 없는 대숙청
■ 김영란법 일부 조항 5년 잠정유예
■ 우리 사회의 공정과 정의를 위해 개선시켜야 할 문제들
5. 교육혁신
6. 문화융성
7. 과학기술대국
8. 자주외교
9. 군사 초강대국화
10. 남북문제 해결
11. UN 상임이사국 진출
12. 원화의 기축통화화
13. 해방종교를 통한 믿음의 자유화
14. 세계 청소년에게
15. 세계 패권 추구국에게
16.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는 나라
17. 코리아, 세계인의 영원한 마음의 고향
18. 유토피아를 향하여
19. 승리의 깃발을 휘날리며
20. 혁명성취에 국민의 도움을 바라며
21. 글을 마치며
고전의 바다에서 지혜를 낚는 법

도서명 : 고전의 바다에서 지혜를 낚는 법
저자/출판사 : 이한우, 샘터.샘터사.
쪽수 : 264쪽
출판일 : 2021-04-27
ISBN : 9788946421783
정가 : 12000
여는 글
서양 고전 공부에서 동양 고전 공부를 넘어
동양 고전 번역으로 간 까닭은
1장. 번역은 나의 운명
일본어식 엉터리 번역이 거의 절반
대학원에서 하이데거를 공부하며 오역과 싸우다
뜻하지 않은 경험이 넓혀준 번역의 지평
내가 생각하는 번역이란?
번역의 즐거움
2장. 모든 한국인의 고전, 《조선왕조실록》의 바다에 뛰어들다
독일 연수에서 받은 충격, 기본으로 돌아가라!
실록 읽기의 어려움과 보람
새로운 관점의 획득 - 세종을 보는 눈
실록에서 새로운 목표 《대학연의》를 찾아내다
3장. 《논어》, 가벼운 트레킹이 아니라 암벽 등반하듯 올라야 하는 책
《논어》 공부에 지표가 된 호암 선생의 한마디
모든 책은 시작과 끝을 알아야 한다
공자의 텍스트를 읽는 비법, 형이상중하
《논어》에 이어 《중용》, 《대학》을 풀고 《맹자》를 읽다
4장. 내가 생각하는 고전 읽기와 고전 번역
동서양 고전 목록을 다시 만들 것을 제안한다
잘 읽히려면 좋은 번역이 있어야 한다
5장. 제왕학 《대학연의》와 문장론 《문장정종》을 번역하다
5년의 한문 공부와 6개월간의 번역으로 탄생한 《대학연의》
진덕수의 글에 빠져 《심경부주》를 번역하다
원고지 2만 2,000장 분량의 《문장정종》 번역에 나서다
《문장정종》에서 배운 좋은 글 쓰는 법
6장. 고대 한나라 역사서 《한서》 번역에 도전하다
《한서》 번역을 위해 언론사를 떠나다
《한서》에서 《논어》를 다시 만나다
《한서》와 《실록》을 양 축으로 《논어》에 살을 더하다
7장. 마침내 유학의 최고봉 《주역》에 오르다
일을 매개로 《논어》와 《주역》의 관계를 간파하다
《논어》에서 《주역》으로 가는 길, 상도에서 권도로
양녕을 폐하고 충녕을 세운 논리 택현론이 곧 권도
마침내 《주역》 봉에 오르다
# 어렵기만 한 고전을 왜 공부해야 할까요?
닫는 글
도전하라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