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영화 교류·관계사 또는 동학과 현대 과학의 생명사상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한일 영화 교류·관계사 또는 동학과 현대 과학의 생명사상

땅끝
2025-01-04 07:51 119 0

본문




한일 영화 교류·관계사
9791166034220.jpg


도서명 : 한일 영화 교류·관계사
저자/출판사 : 함충범, 한국학술정보
쪽수 : 467쪽
출판일 : 2021-04-28
ISBN : 9791166034220
정가 : 35000

머리말

제1부. 영화의 유입 및 정착 (1895~1919)
01 대한제국과 일본에서의 영화 유입과 수용
02 국권의 침탈과 영화
03 1910년대 식민지 조선의 영화 흥행 산업 및 관람 문화

제2부. 영화 양식의 발전과 교류.관계성의 증대 (1919~1937)
01 영화 제작 시대의 도래와 작품 활동의 활성화
02 조선영화계와 일본영화계의 관계 지형
03 조선영화계와 일본영화계의 상호 교류

제3부. 전시체제 하 제작-배급-상영의 체계화 (1937~1945)
01 조선 발성영화의 일본 수출과 합작의 성행
02 영화 통제의 강화와 정책, 제도, 단체, 기관의 연계
03 일본인의 영화 활동 영역과 비중의 확대
04 조선영화/일본영화 간 경계 약화 현상의 단면들

제4부. 전후 한국영화(계)와 일본영화(계)의 재건 (1945~1960)
01 한국과 일본에서의 영화계 재편 양상
02 한국영화와 일본영화의 제작 경향, 그 교집합
03 국교 단절 속 양국 간 영화 분야의 교류.관계 지점들

제5부. 국교정상화 전후 시기 영화 교류.관계의 흐름 (1960~1972)
01 한국영화계와 일본영화계의 교류 재개 및 영향 관계
02 일본 관련 한국영화의 양상
03 한국 관련 일본영화의 양상

제6부. 경제 협력의 증진과 제한된 문화적 소통, 그리고 양국 영화 교류·관계의 양상 (1972~1988)
01 한국영화계와 일본영화계의 상관 관계 및 교류 활동
02 일본 관련 한국영화의 전개
03 한국 관련 일본영화의 전개

제7부. 세계화 추세 속 영화 교류의 활성화와 한국-일본 영화의 새 경향 (1988~2002)
01 문화 개방의 물결과 양국의 적극적 대응
02 일본 관련 한국영화의 제작 경향
03 한국 관련 일본영화의 제작 경향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동학과 현대 과학의 생명사상
9791166290510.jpg


도서명 : 동학과 현대 과학의 생명사상
저자/출판사 : 최민자, 모시는사람들
쪽수 : 472쪽
출판일 : 2021-09-15
ISBN : 9791166290510
정가 : 25000

1. 동학과 현대 과학의 생명관, 그리고 정치실천적 과제
1. 서론
2. 동학과 현대 과학의 생명관
3. 동학과 현대 과학의 사상적 근친성
4. 지구생명공동체의 구현을 위한 정치실천적 과제
5. 결론

2. 생태정치학적 사유와 현대 물리학의 실재관
1. 서론
2. 생태정치학적 사유의 특성과 현대 물리학의 실재관
3. 전일적 패러다임의 정치사상적 도입
4. ‘생명의 3화음적 구조’와 생명정치
5. 결론

3. 켄 윌버의 홀라키적 전일주의(holarchic holism)와 수운의 「시」(侍)에 나타난 통합적 비전
1. 서론
2. 켄 윌버의 홀라키적 전일주의와 통합적 비전
3. 수운의 「시(侍)」철학과 평등무이의 세계관
4. 홀라키적 전일주의와 「시」에 나타난 통합적 비전
5. 결론

4. ‘특이점’의 도래와 새로운 문명의 가능성
1. 서론
2. ‘특이점’ 논의의 중요성과 미래적 함의
3. 기술의 진화와 사회적 영향 및 파급효과
4. 새로운 문명의 가능성: 동학에 길을 묻다
5. 결론

5. 과학과 영성 그리고 진화
1. 서론
2. 과학과 영성의 접합
3. 영성 계발과 진화
4. 지구 문명의 새로운 지평 탐색
5. 결론

6. 포스트모던 세계와 포스트휴먼 그리고 트랜스휴머니즘
1. 서론
2. 포스트모던 세계에 대한 초기 담론
3. 포스트모던 세계에 대한 후기 담론
4. 호모 사피엔스를 넘어서
5. 결론

7. 포스트 물질주의 과학과 동학의 사상적 근친성에 대한 연구
1. 서론
2. 포스트 물질주의 과학과 동학의 실재관 및 사상적 특성
3. 포스트 물질주의 과학과 동학의 사상적 근친성
4. 결론

8. 뉴 패러다임의 정치철학적 함의와 실천적 적용
1. 서론
2. 과학적 방법론과 뉴 패러다임의 등장
3. 뉴 패러다임의 정치철학적 함의
4. 뉴 패러다임의 실천적 적용의 한계 및 극복 방안
5. 결론

〈부록〉
‘한’과 동학의 사상적 특성과 정치실천적 과제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와 『무체법경(無體法經)』에 나타난 통일사상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