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홀로 읽는 도덕경 또는 교실 속 직업놀이
땅끝
2025-01-04 07:51
172
0
본문
나 홀로 읽는 도덕경

도서명 : 나 홀로 읽는 도덕경
저자/출판사 : 최진석, 시공사
쪽수 : 376쪽
출판일 : 2021-03-31
ISBN : 9791165795054
정가 : 15800
들어가는 말 9
1부 묻고 답하는 도덕경
도덕경을 읽기 전에
노자는 누구이고 도덕경은 어떤 책입니까?
노자가 살았던 춘추전국시대는 어떤 시대입니까?
동양철학은 노자 이전에 어떠했습니까?
사상과 철학은 어떻게 다릅니까?
도덕경 판본이 여럿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노자와 공자의 사상은 어떻게 다릅니까?
노자와 공자는 인간을 어떻게 바라봤습니까?
노자의 표현 방식은 어떻습니까?
노자 사상과 법가 사상의 관계는 어떻습니까?
도경과 덕경의 특징은 각각 무엇입니까?
덕이 등장한 의미는 무엇입니까?
도덕경 속으로
이름 붙이는 것을 부정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노자의 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노자의 관계론적 사유를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노자에게 자연은 무엇입니까?
노자 사상에서 여성성이란 무엇입니까?
노자 사상에서 물은 어떤 특성을 갖습니까?
눈이 아니라 배를 위하는 게 무엇입니까?
노자에게 몸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시와 견, 청과 문은 어떻게 다릅니까?
손님은 무엇을 의미합니니까?
명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진정한 앎을 어떻게 찾아가야 합니까?
구부러짐이 자연을 따르는 것입니까?
선과 악 같은 대립항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항무욕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뺏고 싶으면 주어야 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입니까?
국가의 통치자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하라는 의미가 무엇입니까?
대기만성과 대기면성은 어떻게 다릅니까?
무위와 갓난아기 상태는 어떻게 연결될까요?
백성들을 우직하도록 한다는 게 무슨 의미입니까?
행적이 아니라 계약서를 따진다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나라를 작게 하라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도덕경의 현재와 미래
현대 사회에서 도덕경은 어떤 길잡이가 될 수 있을까요?
노자의 철학이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할 대안이 될까요?
노자 사상의 해체주의적 면모는 어떻습니까?
그동안 노자를 계속 이야기해온 이유가 무엇입니까?
이 시대의 젊은이는 어떤 길을 찾아야 할까요?
우리 시대의 철학과 문학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요?
2부 나 홀로 읽는 도덕경
제1장 온갖 것들의 문
제2장 서로 살게 해주는
제3장 무위의 다스림
제4장 비어 있으나 끝이 없는
제5장 풀무와 같은
제6장 미묘한 모성
제7장 장생의 까닭
제8장 물의 덕
제9장 물러날 순간
제10장 무지의 태도
제11장 무의 기능
제12장 눈을 위하지 않는다
제13장 내 몸과 같이
제14장 아무것도 없는 모습
제15장 마치 손님처럼
제16장 오래가는 길
제17장 백성들과 통치자
제18장 대도가 망가지면
제19장 이상을 끊으면
제20장 홀로 우매한
제21장 황하고도 홀하다
제22장 구부리면 온전해지고
제23장 자연스러운 것
제24장 자신을 드러내면
제25장 소리도 모양도 없이
제26장 중후하고 안정된 것
제27장 스승과 거울
제28장 되돌아가다
제29장 뜻대로
제30장 거기서 멈추기
제31장 전쟁과 병기
제32장 항상 이름이 없는
제33장 자신을 아는 자
제34장 대도의 넓음
제35장 태평한 세상의 도
제36장 부드럽고 약한 것
제37장 욕망 없는 고요
제38장 버리고 취하는 것
제39장 하나를 얻어서
제40장 유와 무
제41장 감춰져 드러난
제42장 음을 진 채 양을
제43장 무위의 유익
제44장 어느 것이 중요한가
제45장 잘 이뤄진 것은
제46장 만족을 앎
제47장 보지 않고도
제48장 덜고 또 덜어내고
제49장 성인의 마음
제50장 사는 길과 죽는 길
제51장 도와 덕
제52장 이 세계의 진상
제53장 대도와 비탈길
제54장 잘 심어진 것
제55장 조화를 알면
제56장 아는 자는
제57장 나라를 다스리는 법
제58장 정해진 것은
제59장 오로지 아끼다
제60장 작은 생선 굽듯
제61장 자신을 낮추기
제62장 만물이 의지하는 것
제63장 어려운 일과 쉬운 일
제64장 잃지 않는 법
제65장 지혜와 우직
제66장 위에 서고 싶다면
제67장 위대한 보물
제68장 싸우지 않는 덕
제69장 적이 없다는 것
제70장 이해하지 못하는구나
제71장 모르는 사람의 병
제72장 힘들게 하지 않으면
제73장 용기와 망설임
제74장 죽음을 관장하는 것
제75장 위에서 유위를 행하면
제76장 강한 것과 유약한 것
제77장 자연의 도와 인간의 도
제78장 정면으로 하는 말
제79장 계약서와 행적
제80장 나라를 작게 하면
제81장 모두 베풀어도 갖게 되는
교실 속 직업놀이

도서명 : 교실 속 직업놀이
저자/출판사 : 이수진, 지식프레임
쪽수 : 304쪽
출판일 : 2021-03-26
ISBN : 9788994655949
정가 : 21000
프롤로그
PART1. 교실로 들어온 직업놀이
1. 직업놀이, 아이들을 성장시키다
2. 왜 직업놀이인가?
3. 직업놀이의 세 가지 원칙
4. 모두의 관심과 흥미를 아우르는 직업 만들기
5. 아이 유형에 따른 직업 정하기
PART2. 교실 속 직업놀이 3단계
01. 자존감을 세워주는, 성장하는 직업놀이
1. 바리스타│2. 마음 의사│3. 비서팀│4. 디자이너│5. 학급 공무원│6. 학급 변리사│7. 학급 은행원│8. 학급 외교관│9. 뽑기 가게 매니저│10. 탐정│11. 학급 군인│12. 환경 지킴이│13. 안전 보안관│14. 칠판 관리사│15. 세스콤│16. 렌트 회사│17. 음악 DJ│18. 정리 컨설턴트│19. 엔지니어│20. 스포츠 선생님│21. 스포츠 기획자│22. 홍보팀│23. 사서 선생님│24. 아이템 관리자│25. 우편 배달원│26. 식물 관리사│27. 공정 심판│28. 고민 상담사
02. 소통과 배려를 배우는, 협력하는 직업놀이
29. 마음 변호사│30. 반 의원│31. 반 청장│32. 세무사(국세청장)│33. 공정 거래 위원장│34. 수학 박사│35. 종이접기 선생님│36. 아나운서│37. 학급 기자│38. 창의 작가
- 혼자만의 직업놀이에서 함께하는 협력놀이로
- 직업별 협력놀이 15가지
03. 도전과 용기를 배우는, 성취하는 직업놀이
39. 파티 플래너│40. 경매사│41. 가수와 댄서
- 다양한 주제로 진행하는 프로젝트 직업놀이
- 프로젝트 직업놀이 10가지
- 프로젝트 직업놀이 운영 방법
PART3. 직업놀이와 학급 운영
1 직업놀이에 적합한 교실 환경 정비하기
2 가정과 연계하여 직업놀이 운영하기
3 직업놀이를 통한 학급 운영 방법
교실 속 직업놀이 Q&A
- 직업놀이 연간 운영 계획안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