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세대에게 딱 맞는 자녀교육을 세팅하라 또는 바이오 투자 레전드 황만순의 대한민국 바이오 투자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AI 세대에게 딱 맞는 자녀교육을 세팅하라 또는 바이오 투자 레전드 황만순의 대한민국 바이오 투자

땅끝
2025-01-04 07:51 142 0

본문




AI 세대에게 딱 맞는 자녀교육을 세팅하라
9791187809395.jpg


도서명 : AI 세대에게 딱 맞는 자녀교육을 세팅하라
저자/출판사 : 조향숙, 더메이커
쪽수 : 264쪽
출판일 : 2021-07-05
ISBN : 9791187809395
정가 : 16000

프롤로그 : 잠재력을 발휘하고 있는 아이, 잠재력을 품고 있는 아이

PART 1 미래 인재 교육 트렌드 깊이 읽기

1장 인공지능 시대의 코드를 읽어라
AI에 적응하거나 사라지거나, 전문직 초양극화 시대
이것과 저것을 연결하라, 매칭의 시대
사람과 기계, 대립 아닌 공존의 시대

2장 교육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기술전쟁 그리고 격화되고 있는 인재전쟁
변화에 교육은 적극 대응해야 한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게 어떤 교육이 필요한가
자녀에게 미래 트렌드를 알려줄 정도의 공부는 해야 한다

3장 누가 미래형 인재인가
X형 인재가 미래형 인재인 이유 3가지
미래를 여는 열쇠를 쥔 사람들
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는가
초연결 시대의 미드필더, 연결자
결국은 문제해결력이다

4장 세계 교육 트렌드를 알면 미래 인재 교육이 보인다
경험 학습을 통해 비대면 학습의 장을 열다 -미네르바 스쿨
팀플레이와 협업 정신으로 인재를 교육하다 -프랑스 에꼴42
미래를 기다리지 않고 미래를 만들어간다 -싱귤래리티 대학
개개인을 위한 맞춤형 교육 -칸랩 스쿨
STEM을 통해 우주 시대를 대비하는 리더를 기르다 -애드 아스트라
협업과 현상기반학습으로 인재를 양성하다 -핀란드 교육
행복한 아이를 키우다 -덴마크 평민대학 & 애프터스쿨

PART 2 미래 혁신 인재로 가는 로드맵은 무엇인가

5장 자기주도 : 스스로를 주도할 수 있는가
아이가 자기 자신으로 살도록 이끌어야 한다
자기 결정권을 가진 아이가 더 많이 배운다
기준을 나에게 두고 점점 나아지도록 한다
비판적 사고를 자극하는 법
아인슈타인 부모에게 배우는 환경의 힘

6장 도전의식 : 새로운 것에 도전할 수 있는가
아이에게 도전은 자연스런 것이다
호기심은 어떻게 유지되는가
더 깊은 질문으로 나아가는 법
업글력은 필수이다
갈수록 중요해지는 콘텐츠 습득 능력

7장 다양성 : 다양한 답을 찾아갈 수 있는가
노벨상 수상자 파인만 아버지의 독특한 독서 교육
공부가 즐거워서는 안 되는 것일까
재미있는 수학으로 다양함을 공부하다
통째로 경험하여 배우게 하라
100명의 아이에게 100개의 답이 있다
실패를 대하는 태도가 차이를 만든다

8장 융합 : 소통하고 협력하고 융합할 수 있는가
협업은 미래 사회의 필수 역량이다
초연결시대, 의사소통은 기본수단이다
결과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껴야 한다
과학 프로젝트를 활용하여 융합 역량 높이기

[집중인터뷰 1]
박사님, 어떻게 해야 수학·과학을 잘할 수 있습니까?

[집중인터뷰 2]
인공지능 교육 로드맵은 무엇입니까?




바이오 투자 레전드 황만순의 대한민국 바이오 투자
9791197516504.jpg


도서명 : 바이오 투자 레전드 황만순의 대한민국 바이오 투자
저자/출판사 : 황만순, 리치캠프
쪽수 : 260쪽
출판일 : 2021-07-05
ISBN : 9791197516504
정가 : 17000

프롤로그 : 바이오 섹터가 매력적인 이유

제1장 사람들은 왜 바이오에 열광하는가?
-한국의 바이오 산업, 그 태동은 언제인가?
-바이오 기업은 과연 어떤 것을 만드는가?
-바이오 산업이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이유는?

제2장 한국은 이제 반도체보다 바이오시밀러 강국?
-바이오시밀러란 무엇인가?
-많은 의료 선진국 중에 어떻게 한국이 바이오시밀러 강국이 되었을까?
-바이오시밀러와 바이오베터의 차이는 무엇인가?

제3장 위탁 생산(CMO), 수탁 개발(CDO), 신약 개발은 무엇인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론자를 꺾고 세계 1위를 차지한 분야는?
-한미약품이 강세를 보이는 개량 신약은?
-아모잘탄은 세계화에 성공할 수 있을까?

제4장 약물 재창출이 제약사의 수익 재창출로 이어진다고?
-말라리아 치료제를 코로나19 치료제로 과연 쓸 수 있을까?
-약물 재창출 기업에 대한 투자의 주의점은?

제5장 이제 막 줄기가 자라기 시작한 줄기세포 치료?
-난치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한 줄기 빛이 되고 있는 줄기세포 치료란?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기업들은 어디?

제6장 눈 먼 생쥐도 다시 눈을 뜬다고?
-희귀 난치병 치료의 열쇠라 불리는 유전자 치료는 무엇인가?
-유전자 치료의 문을 연 기업은 어디?

제7장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누가누가 잘 만드나?
-국내 바이오 시가 총액 1위,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의 시장 가치는?
-혈장 치료제로 승부를 보려 했던 GC녹십자의 다음 행보는?
-코로나19 퇴치를 위한 첫 번째 발걸음 화이자 백신
-하버드대 출신 초엘리트들이 모인 모더나

제8장 바이오에 투자하기 더 좋은 시장은 국내? 해외?
-동학 개미들이 국내 바이오 시장에 머무르는 이유는?
-서학 개미들이 해외 바이오 시장으로 유학 간 이유는?

제9장 바이오 기업의 청약 열기는 왜 그렇게 뜨거웠을까?
-뇌전증 치료제를 앞세운 SK바이오팜의 공모주 청약의 비밀
-코로나19 백신 치료제를 앞세운 SK 바이오사이언스 공모주 청약 스토리

제10장 바이오에 어떻게 투자해야 할까?
-바이오 기업을 분석할 때 가장 먼저 봐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바이오 기업의 재무제표에서 1픽으로 검토해야 하는 것들
-2021년 하반기 이후 바이오 산업에서의 굵직한 모멘텀은?
-바이오 시장에서 투자자는 어떤 마음으로 투자해야 하는가?

제11장 디지털 헬스케어는 코로나19가 쏘아올린 거대한 공이 될까?
-아마존도 관심 갖는 디지털 헬스케어는?
-디지털 헬스케어 국내외 시장 현재 성장 단계는?

제12장 주목받지 못한 글로벌 의료 기기 시장의 성장은 지금부터?
-코로나19 검사 방법으로 대표되는 PCR이라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
-암병동의 필수품이다. 면역 진단 기기는?
-휴대용으로 코로나19 검사가 가능하다. 분자 진단 기기는?
-의료 기기에는 진단 키트만 있나? 다빈치와 같은 의료용 로봇처럼 치료용 의료 기기는 어떨까?

제13장 100조 개의 미생물이 내 몸을 살린다? 마이크로바이옴!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란 무엇인가?
-마이크로바이옴, 현 위치는 어디인가?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투자처로 어떤 기업이 좋을까?
-유산균과 마이크로바이옴의 차이는?

제14장 이세돌 9단을 이긴 알파고가 의료계에도? AI 의료
-AI 의료는 정말 사람이 보는 의료만큼 믿을 수 있을까?
-현재 AI 의료의 선두 주자는 어떤 기업들일까?

제15장 바이오 투자와 관련된 이런 질문 저런 질문
-임상 시험은 반드시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가?
-개인 투자자는 구체적으로 어떤 바이오 기업에 투자를 하는 게 좋을까?
-K바이오 기업 가운데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기업이 있을까?
-국내 바이오 기업의 성장세는 언제까지 이어질까?

에필로그-어떤 도전이든 겁먹지 마십시오. 물론 공부는 좀 해야 합니다

부록| 차세대 유망 바이오 기업을 찾아라! 투자 레전드의 TOP PICK 33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