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학의 재구성 또는 죽기 전에 가 봐야 할 대한민국 역사여행 버킷리스트
땅끝
2025-01-04 07:51
133
0
본문
만화학의 재구성

도서명 : 만화학의 재구성
저자/출판사 : 한상정, 이숲
쪽수 : 280쪽
출판일 : 2021-05-20
ISBN : 9791191131130
정가 : 20000
들어가며 7
1장. 만화연구의 시작점 13
만화용어와 개념의 정리 15
2장. 만화의 정의 23
1. 만화라는 표현형식을 정의하는 다양한 입장 25
2. 만화라는 표현형식의 ‘역사적’ 정의 33
3장. 한칸만화와 캐리커처 41
1. 카툰과 한칸만화 43
2. 한칸만화의 탄생에 필요한 조건과 본질 54
3. 캐리커처 60
4장. 만화의 사전(事前) 형태 65
1. 윌리엄 호가드의 연속회화와 연속판화 67
2. 루돌프 퇴퍼의 “판화 이야기”와 에피날 이미지 76
5장. 만화의 탄생 87
1. ‘패널삽화’로서의 「옐로 키드」 89
2. 최초의 다칸만화로서의 「옐로 키드」 93
6장. 만화의 특성 105
1. 연쇄적 칸의 상호의존성 107
2. 무동(無動)과 무성(無聲) 121
7장. 테두리 선과 칸 127
1. 테두리 선의 기능 129
2. 회화, 영화의 화면과 만화의 칸 136
3. 칸에 대한 접근 141
8장. 칸 내부의 구성요소 147
1. 등장인물군 149
2. 배경군 158
3. 문자군 166
9장. 칸 연쇄의 유형과 페이지 175
1. 칸 연쇄의 유형 177
2. 단(Strip), 페이지(page), 양면 페이지(double page) 190
3. 일러스트레이션 페이지(page d’illustration) 200
10장. 만화서사와 연출 209
1. 이야기와 서사 211
2. 만화연출 - 만화서사의 실체화 213
3. 만화연출 읽기 217
11장. 만화의 연극성 225
1. 시선 전환의 필요성 227
2. 연극성과 그 장치들 -독자의 활발한 활동을 지향하는 장치 229
3. 연극성의 두 번째 장치 -독자에게 수동적이라는 환영을 불러일으키는 장치 239
12장. 만화읽기의 특성 253
1. 만화읽기의 구성요소 255
2. 읽기의 환경과 독자의 성향 261
3. 만화읽기와 ‘상상적 장면’의 구축 267
나가며 279
참고문헌 283
죽기 전에 가 봐야 할 대한민국 역사여행 버킷리스트

도서명 : 죽기 전에 가 봐야 할 대한민국 역사여행 버킷리스트
저자/출판사 : 최미선 , 신석교, 넥서스BOOKS
쪽수 : 484쪽
출판일 : 2022-01-24
ISBN : 9791166831782
정가 : 23000
Part 1. 궁궐 & 왕릉
ㆍ경복궁 경회루_ 물 위의 연회장을 주름잡다 비참하게 죽은 여인
ㆍ경복궁 향원정_ 아름다운 연못에 가라앉은 왕비
ㆍ경복궁 건청궁_ 그날의 작전명, 여우 사냥
ㆍ덕수궁_ 모두가 울 때 웃고, 모두가 웃을 때 혼자 울던 요상한 여자
ㆍ중명전_ 참으로 을씨년스럽구나!
ㆍ영휘원 & 숭인원_ 명성황후 그늘에 가려졌던 못생긴 궁녀
ㆍ화성 융건릉_ 모든 백성을 흡연자로 만들고 싶었던 임금님
ㆍ고령 대가야왕릉길_ 남의 것을 짝사랑한 전설적인 도둑놈들
ㆍ공주 송산리고분군_ 낮엔 선생님, 밤엔 도둑놈이던 두 얼굴의 남자가 놓친 그분
Part 2. 산길 & 물길
ㆍ공주 공산성_ 도망가서 인절미 꾸역꾸역 먹다 돌아오신 임금님
ㆍ남한산성_ 사랑도 정치도 슬기로운 타이밍이 중요해
ㆍ잠실 석촌호수_ 임금님, 우리 임금님, 어찌 우리를 버리고 가시옵니까!
ㆍ홍제천_ 여인들의 죄는 못난 왕, 비겁한 양반, 찌질한 남편을 만난 것뿐
ㆍ북악산 서울성곽길_ 백성은 간신이라 쓰고 임금은 충신이라 읽은 그 남자
ㆍ북한강 강변길_ 할아버지, 다시 태어나 주시면 안 될까요?
ㆍ양양 주전골_ 세상에서 가장 악랄한 짝퉁과의 전쟁
ㆍ초안산 아기소망길_ 조선 내시 때문에 억울한 고려 내시
ㆍ오대산 선재길_ 아프냐? 나도 아프다
ㆍ인왕산 자락길_ 일제가 조선 호랑이 씨를 말린 이유는?
ㆍ목포 유달산_ 니가 왜 거기서 나와?
ㆍ정선 화암동굴_ 머니 머니 해도 금이 최고여
ㆍ울산 태화강동굴피아_ 비행장 때문에 생뚱맞게 생긴 동굴들
ㆍ진주성_ 미녀 기생에게 퇴짜 맞은 조선 귀족의 굴욕 3종 세트
ㆍ덕숭산 수덕사_ 목사의 딸로 태어나 비구니로 죽은 여인
ㆍ운악산 봉선사_ 항일 운동 근거지 차지한 뻔뻔한 친일 작가는 누구?
Part 3. 박물관 & 미술관
ㆍ완주 대한민국술테마박물관_ 좀 적당히들 하시오, 적당히!
ㆍ경인미술관_ 조선 최고 갑부가 남긴 유산은 몰염치?
ㆍ일민미술관_ 말을 알아듣는 꽃이라니요?
ㆍ서촌 박노수미술관_ 누가 더 못났나 다투던 꼴불견 형제
ㆍ경주 세계자동차박물관_ 세상에 이런 요망한 괴물들이?
ㆍ국립항공박물관_ 캘리포니아 대홍수가 없었다면 역사는 달라졌을까?
ㆍ서울시립미술관_ 잘하던 영어, 일본 때문에 망했네
ㆍ배재학당역사박물관_ 잘나가고 싶으면 남부터 돌보거라
ㆍ이화박물관_ 나 이화학당 나온 여자야
Part 4. 마을 & 시장
ㆍ전주 한옥마을_ 감히 내 얼굴을 똑바로 쳐다보다니, 무엄하구나!
ㆍ포항 구룡포마을_ 가난한 일본인들을 갑부로 만들어 준 동네
ㆍ경주 교촌한옥마을_ 꽁꽁 쌓아 두면 더럽고, 흩어지면 아름다운 게 돈이니라
ㆍ순창 동전마을_ 내 이름은 개새끼입니다
ㆍ영도 깡깡이예술마을_ 너무 듣기 싫었던 깡깡이 소리가 그리운 동네
ㆍ용인 한국민속촌_ 나라 팔아먹고 귀족 되니 좋습디까?
ㆍ북촌 한옥마을 & 익선동 한옥마을_ 조선 건축왕이 개발한 조선 최초 뉴타운
ㆍ여주 한글시장_ 난 너무나 힘들게 태어났고, 너무나 어렵게 살아남았소
ㆍ남대문시장_ 매 맞아 가며 지킨 대한민국 대표 재래시장
ㆍ군산 근대역사문화거리_ 고스톱 똥에 그런 의미가 담긴 거였어?
ㆍ울산 청춘고복수길_ 트로트 원조는 바로 “나야, 나”
ㆍ밀양 항일운동테마거리_ 일제와 친일파를 벌벌 떨게 했던 저승사자들
ㆍ천안 병천순대마을_ 누구나 다 알지만 의외로 잘 몰랐던 그 집안의 똑순이
ㆍ홍성 한용운생가지_ 속 시원한 사이다 발언의 원조는 바로 이분
Part 5. 섬 & 바다
ㆍ교동도_ 폭군으로 죽었지만 수십 년간 살아 있어야 했던 연산군
ㆍ목포 고하도_ 이리 와, 너희들은 내 손에 죽자
ㆍ영종도_ 일본의 꼼수 시비에 제대로 걸려든 조선
ㆍ강화도_ 요것도 짠하고 조것도 짠했던 눈물의 섬
ㆍ신안 암태도_ 살면서 가장 서글픈 건 배고픈 설움이여
ㆍ고성 화진포_ 죽어도 좋을 만큼 그 자리가 그렇게 탐나셨나요?
Part 6. 공원 & 숲길
ㆍ상주 경천대국민관광지_ 인생은 임상옥처럼
ㆍ남원 광한루원 & 춘향테마파크_ 알고 보면 개고생, 잘해야 본전인 암행어사
ㆍ인천 자유공원_ 그렇게 뒤통수를 쳐?
ㆍ수원 효원공원 & 나혜석거리_ 조선 남자들은 참으로 이상하오
ㆍ여의도공원_ 너무나 억울하게 죽은 슈퍼스타 조선 청년
ㆍ경춘선숲길_ 거미줄 같은 기찻길에 담긴 가슴 아픈 속사정
ㆍ효창공원_ 모두가 애타게 찾는 그분은 지금 어디 계실까?
ㆍ장충단공원_ 호랑이 아버지에 개 자식이라니
ㆍ국립한국자생식물원_ 하필이면 그 피를 물려받았을까?
Part 7. 건축물 & 기념관
ㆍ성균관_ 난장판 원조였던 조선 시대 국립 대학
ㆍ숭례문_ 나야말로 억울하고 섭섭하오
ㆍ보신각_ 떠돌이에 왕따, 벙어리 신세였지만 보물입니다
ㆍ광희문_ 큰손님이 지긋지긋했던 문
ㆍ남원 만인의총 & 옛 남원역_ 너희들이 정녕 사람이었더냐?
ㆍ합천 해인사_ 호국 불교를 배신한 일제의 꼭두각시들
ㆍ제천 의병전시관_ 의리의 사나이가 너무 많아 사라졌던 동네
ㆍ백인제 가옥_ 마땅히 죽여야 할 쥐새끼 같은 그들
ㆍ나석주 동상_ 조선의 피를 쪽쪽 빨아먹는 동척을 박살내시오
ㆍ경교장_ 이 어르신을 죽게 한 이는 과연 누구일까?
ㆍ천안 독립기념관_ 역시나 너희들의 끝도 그리 좋진 않구나
ㆍ여의도 국회의사당_ 너무나 잘못 끼워진 그 첫 단추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