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의 귀 사용법 또는 보고서 작성 실무 강의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직장인의 귀 사용법 또는 보고서 작성 실무 강의

땅끝
2025-01-04 07:51 126 0

본문




직장인의 귀 사용법
9788997287154.jpg


도서명 : 직장인의 귀 사용법
저자/출판사 : 남충희, 황금사자
쪽수 : 248쪽
출판일 : 2022-01-15
ISBN : 9788997287154
정가 : 14000

책머리에: 멘토의 기본 자격: 공감, 경청 그리고 질문 능력

제1장 부하와 소통: 면담
면담의 목적과 바람직한 결과
면담 제도, 도대체 왜 필요해요?
면담? 어떻게 하는 거지요?
뭔지 모르는 면담
‘부드러운’ 면담의 조건: ‘강력한’ 통제 장치
면담, 잠재적 가해 방지책
면담의 기본자세: 인내심과 온유함
면담의 고통과 인내심
군자의 외유내강, 그중 온유함
쇠 말뚝과 황금 열쇠
잘못된 면담 분석
박 병장과 김 일병의 특공 면담
면담: 이해, 도움, 치유, 성장 그리고 자발성
바람직한 면담 방법은 ‘경청’
개선된 면담 분석
박 병장과 김 일병의 면담 재실시
면담자는 귀가 달린 거울
요약
생각하는 시간

제2장 경청의 본질
경청: 두 귀로 설득하는 방법
경청: 두 귀로 배우는 방법
네 가지 경청 유형
1. 사람지향 유형
2. 분석지향 유형
3. 행동지향 유형
4. 시간지향 유형
왜 이런 경청 태도가 나올까?
부하가 원하는 상사의 경청 유형
경청(≠)=학습으로써 획득하는 인격
적극적(active) 경청 방법
배우자에게 실험하는 비언어적 반응 제공
부장님과 사장님 ‘따라 하기’
말 따라 하기
해석하기, 재현하기
미러링(mirroring)
요약
생각하는 시간

제3장 질문 잘하기
김골동 매니저와 면담 실습
상사가 말이 많은 이유 그리고 착각하는 이유
상사는 질문하는 소크라테스
질문의 가치
저 질문할 거 없는데요
질문하기=생각하기
생각하기≒말하기
질문하지 못하는 이유
정서, 인식 그리고 문화의 장벽
질문 능력의 국제 비교
유대인의 교육 방법, 하브루타
명석을 깔아주면 잘하는 질문
기초 이론 익히기: 질문의 분류
질문 아닌 질문
자신에게 던지는 질문, 스스로 찾는 답변
타인(부하직원)을 향한 질문의 종류
못난 상사, 평범한 상사, 훌륭한 상사, 비범한 상사
요약
생각하는 시간

제4장 질문의 원칙과 기술
세 가지 질문의 원칙
일곱 가지 질문의 기술
부하의 ‘가슴’을 여는 질문
부하의 ‘입’을 여는 질문
부하의 ‘머릿속’에 깨달음을 넣어주는 질문
1. 답하기 쉬운 질문 먼저
2. ‘공감거리 끌어내는 질문’ 및 ‘공감 표현’ 우선
3. ‘칭찬거리 끌어내는 질문’ 및 ‘칭찬’ 우선
4. 긍정형 질문
5. 열린 질문
6. 객관화 질문
7. 확대 질문
요약
생각하는 시간
제2권 결론: 직장인의 귀 사용법
책을 맺으며: 강 팀장과 김 일병의 뒷이야기
참고문헌




보고서 작성 실무 강의
9791162244890.jpg


도서명 : 보고서 작성 실무 강의
저자/출판사 : 홍장표, 한빛미디어
쪽수 : 400쪽
출판일 : 2021-11-08
ISBN : 9791162244890
정가 : 18000

INTRO 보고서를 작성하는 법칙
[보고서 작성이란 01] 보고서 작성에 관한 불편한 진실
[보고서 작성이란 02] 보고서 작성이 어려운 이유
[보고서 작성이란 03] 고수의 비법

PART 01. 보고서 제목의 기술
[보고서의 제목이란] 보고서용 제목의 기본 형태
[보고서 제목의 기술 01] 키워드형 제목
[보고서 제목의 기술 02] 설명형 제목
[보고서 제목의 기술 03] 키워드+설명형 제목
[보고서 제목의 기술 04] 데이터는 신뢰를 높인다
[보고서 제목의 기술 05] 운율을 생각하자
[보고서 제목의 기술 06] 내용 전개에 대한 힌트를 주는 제목
[보고서 제목의 기술 07] 때로는 감성이 이성을 지배한다
[보고서 제목의 기술 08] 의문형으로 분위기를 바꿔보자

PART 02. 보고서 문장의 기술
[보고서의 문장이란] 보고서용 문장이 따로 존재하는가?
[보고서 문장의 기술 01] 단문이 진리다
[보고서 문장의 기술 02] 핵심 키워드로 문장을 리드하자
[보고서 문장의 기술 03] 키워드 속성을 맞추자
[보고서 문장의 기술 04] 키워드 운율까지 맞춰보자
[보고서 문장의 기술 05] 기호를 적재적소에 활용하자
[보고서 문장의 기술 06] 개조식 정리법을 익히자
[보고서 문장의 기술 07] 전개 구조를 파악하면 요약이 쉬워진다
[보고서 문장의 기술 08] 개조식 정리 기준을 지키자
[보고서 문장의 기술 09] 세부 내용은 별도로 표시하자


PART 03. 보고서 구성의 기술
[보고서의 구성이란] 논리적인 보고서란 무엇인가
[보고서의 목차란] 목차가 중요한 이유
[보고서 구성의 기술 01] 목차 구성
[보고서 구성의 기술 02]복합 목차 구성
[보고서 구성의 기술 03]보고서 전개 기본 원칙
[보고서 구성의 기술 04]보고서 전개의 기본 구조
[논리적 보고서 패턴] 논리적 내용 구성을 위한 3대 패턴
[보고서 구성의 기술 05] 흐름 패턴
[보고서 구성의 기술 06] 비교 패턴
[보고서 구성의 기술 07] 유형 패턴
[논리적 보고서 소스] 논리적 내용 구성을 위한 3대 소스
[보고서 구성의 기술 08] 분석 소스
[보고서 구성의 기술 09] 예시 소스
[보고서 구성의 기술 10] 정의 소스
[보고서 구성의 기술 11] 3대 패턴과 3대 소스의 결합

PART 04. 보고서 기획의 기술
[보고서의 기획이란] 기획이란 무엇인가
[문제점 탐색의 기술 01] 기획의 출발점은 문제의 정의다
[문제점 탐색의 기술 02] 외부 요인과 내부 요인을 살핀다
[문제점 탐색의 기술 03] 문제와 문제점은 다르다
[문제점 탐색의 기술 04] 문제도 종류가 있다
[문제점 탐색의 기술 05] 문제 1 : 일어난(발생형) 문제
[문제점 탐색의 기술 06] 문제 2 : 일어날(탐색형) 문제
[문제점 탐색의 기술 07] 문제 3 : 혼합(발생+탐색)형 문제
[문제점 탐색의 기술 08] 문제점이 명확하면 해결 방법도 명확하다
[문제점 탐색의 기술 09] 문제점 1 : 속도와 위상을 살핀다
[문제점 탐색의 기술 10] 문제점 2 : 균형과 격차를 살핀다
[문제점 탐색의 기술 11] 문제점 3 : 관계와 구조를 살핀다
[문제점 해결의 기술 01] 해결 방법을 탐색한다
[문제점 해결의 기술 02] 방향을 탐색한다
[문제점 해결의 기술 03] 전략은 체계적이어야 한다
[문제점 해결의 기술 04] 방법을 탐색한다
[문제점 해결의 기술 05] 기간과 절차 : 단기↔장기, 준비↔실행
[문제점 해결의 기술 06] 역할과 범위 : 지원↔주도, 축소↔확대
[문제점 해결의 기술 07] 관계와 구성 : 통합↔특화

PART 05. 보고서 논리 강화의 기술
[보고서 논리 강화의 기술 01] 도입부에 자주 등장하는 패턴
[보고서 논리 강화의 기술 02] 중요한 사안은 결정 근거를 제시하자
[보고서 논리 강화의 기술 03] 혼자 하기 어렵다면 협력을 추진하자
[보고서 논리 강화의 기술 04] 불확실한 상황이라면 다양한 정보를 제시하자
[보고서 논리 강화의 기술 05] 시사점을 명확히 제시하자
[보고서 논리 강화의 기술 06] 공신력 있는 자료를 제시하자
[보고서 논리 강화의 기술 07] 분석 프레임을 제시하자
[보고서 논리 강화의 기술 08] 마무리에 자주 등장하는 패턴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