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를 걷다 또는 살면서 꼭 한 번은 명심보감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민주주의를 걷다 또는 살면서 꼭 한 번은 명심보감

땅끝
2025-01-04 07:51 119 0

본문




민주주의를 걷다
9788970301563.jpg


도서명 : 민주주의를 걷다
저자/출판사 : 한종수, 자유문고
쪽수 : 464쪽
출판일 : 2021-09-29
ISBN : 9788970301563
정가 : 23800

민주올레란? / 5

3.1 민주올레
3.1 혁명, 민주공화국의 초석ㆍ19
3.1 혁명 전 시대 상황ㆍ20
서울의 3.1 혁명과 ‘민주올레’ㆍ23

3.1 민주올레길
북촌 코스 / 25
여운형 옛집 | 만해 한용운 옛집: 천도교, 기독교, 불교계 통합 모임이 이루어진 곳 | 계동 중앙고보 숙직실: 3.1 혁명이 처음 논의된 장소
【해야 할 이야기】 2.8 도쿄 유학생 독립선언ㆍ31
【인물 열전】 청춘을 조국에 바친 송계백 선생ㆍ37
【인물 열전】 첫 일본인 독립 서훈자 후세 다츠지ㆍ41
가회동 손병희 옛집 터: 민족대표 33인이 처음 서로 얼굴을 마주한 곳 | 조선어학회 옛터 | 옛 천도교 중앙총부 터: 현 덕성여중

종로 코스 / 48
보성사 옛터: 3.1 독립선언문 인쇄 장소, 현 수송공원
【인물 열전】 독립선언서를 인쇄, 배포한 이종일 선생ㆍ49
옛 조선중앙일보사: 현 농협 종로 금융 센터 | 인사동 태화관 옛터: 민족대표들이 독립선언식을 거행한 장소. 현 태화빌딩 | 인사동 승동교회: 3.1 혁명 학생지도부를 구성한 곳 | 탑골공원: 3.1 혁명의 발화지 | 종로 중앙기독교청년회: 3.1 혁명 전 학생대표자 모임 장소 | 옛 종로경찰서 터: 독립투사들이 고문을 당한 장소. 현 장안빌딩
【인물 열전】 일기당천의 열혈남아 김상옥ㆍ61
옛 경성지방법원 터: 독립투사들이 재판을 받던 장소. 현 SC제일은행 본점 | 염상섭 동상: 오사카 독립선언의 주역 | 비전: 3.1 혁명 독립 만세 시위 현장

정동 코스 / 72
대한문: 3.1 혁명 만세 시위 현장 | 미국영사관 앞: 3.1 혁명 만세 시위 현장 | 정동제일교회: 기독교계 민족대표 서명 장소, 고보 학생대표 모임 장소 | 배재고보: 3월 5일 남대문역 앞 학생연합시위 예비모임 장소 | 이화학당: 현 이화여고
【인물 열전】 3.1 혁명의 상징 유관순 열사ㆍ82
경교장 | 딜큐샤 가옥 | 독립문 |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4.19 민주올레
4.19 혁명,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ㆍ101
서울의 4.19 혁명과 ‘민주올레’ㆍ102
4.19 혁명 직전의 상황ㆍ103
4.19 혁명 전개과정ㆍ106

4.19 민주올레길
혜화동-을지로 코스 / 111
옛 서울대학교 의대 본관 | 옛 서울대 문리대: 현 서울대 마로니에 공원 | 옛 동대문경찰서 터: 현 혜화경찰서, 경찰공제회 | 고대생 테러 현장: 옛 청계4가 천일백화점 앞 | 옛 내무부 앞: 현 KEB하나은행 본점 | 옛 미대사관: 옛 미문화원 | 시청 앞 | 옛 서울신문사: 현 프레스센터 | 옛 민의원(국회의사당): 현 서울시의회 | 옛 대법원: 현 서울시립미술관 | 옛 동양극장 터: 현 문화일보사 | 옛 이기붕 집터: 현 4.19 기념관

혜화동-고려대 코스 / 138
옛 서울대 문리대: 현 서울대 마로니에공원 | 이화장 | 김수영 시인 옛 집터: 종로6가 116번지 | 동대문 | 신설동로터리 | 대광고등학교 | 고려대 본관 앞 | 4.18 기념비 | 고려대 강당

혜화동-종로 코스 / 158
옛 서울대 문리대: 현 마로니에공원 | 동성고등학교 | 장면 부통령 가옥
【인물 열전】 장면(張勉, 1899~1966)ㆍ160
옛 서울대학교 병원: 현 서울대학교 의학박물관 | 탑골공원 | 옛 수송초등학교 터: 현 종로구청 | 세종로: 현 광화문 광장 | 옛 반공회관 터: 현 미국대사관 | 옛 중앙청 | 옛 경무대 앞: 효자동 삼거리

혜화동-동국대 코스 / 175
옛 서울대 문리대: 현 마로니에공원 | 옛 평화극장 터: 현 한일빌딩
【인물 열전】 임화수ㆍ175
동대문 | 옛 동대문운동장: 현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국립의료원 | 동국대학교 동우탑

그밖의 4.19 유적 / 185
수유리 4.19 국립묘지 | 미아리 고개

남산~남영동 민주올레
한국 근현대사에서 남산과 용산의 역할ㆍ191

남산~남영동 민주올레길 / 196
조선헌병대사령부와 수도경비사령부 터: 현 한옥마을
【해야 할 이야기】 중정과 안기부라는 조직, 그리고 남산에서 일어난 대표적인 사건들ㆍ199
옛 중앙정보부 5별관: 서울시청 남산별관 | 옛 중앙정보부체육관: 현 남산창작센터와 소릿길 터널 | 옛 중앙정보부 본관: 현 서울유스호스텔
【인물 열전】 행동하는 지성의 표상 최종길 교수ㆍ204
제1별관 터 | 옛 중앙정보부 지하벙커: 현 서울종합방재센터 | 옛 중앙정보부장 공관과 경호원 숙소: 현 문학의 집과 산림문학관 | 중앙정보부 6국 터 | 통감관저 터: 현 기억의 터 | TBS교통방송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 주자파출소 터 | 통감부, 총독부 터, 김익상 의거지 | 옛 노기신사 터와 경성신사 터: 현 리라초등학교, 숭의여대 | 옛 어린이회관, 국립중앙도서관: 현 서울특별시 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 조선신궁, 이승만 동상 터: 현 백범광장 | 옛 서울역 고가도로: 현 서울로 7017 | 강우규 의사 동상 | 서울역과 광장
【해야 할 이야기】 6.26 국민평화대행진ㆍ225
후암동 문화주택 | 옛 용산 미군기지 | 옛 남영동 대공분실
【해야 할 이야기】 5월 18일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진상 폭로ㆍ230
【인물 열전】 박종철 열사ㆍ232
【해야 할 이야기】 김근태 민청련 전 의장 고문사건ㆍ235
민주주의, 인권, 평화의 장으로서의 남산과 남영동

부산 민주올레
부마 민주항쟁 직전의 상황과 배경ㆍ241
항쟁의 시작과 전개ㆍ244
부마항쟁의 역사적 의미와 정리ㆍ247
부마항쟁의 피해자들ㆍ257
부마민주항쟁 일지ㆍ254

부산 민주올레길 / 255
부산역 광장 | 옛 부산시청: 현 롯데백화점 광복점 | 남포동 대각사 일대 | 옛 미문화원: 현 부산근현대역사관 | 가톨릭센터: 6월 항쟁 당시 농성 투쟁 장소 | 보수동 책방골목과 옛 양서협동조합 | 부산 민주화운동의 거점: 중부교회
【인물 열전】 부산 민주화운동의 거목 최성묵 목사ㆍ267
【해야 할 이야기】 군사정권과 공수부대ㆍ270
혜광고등학교의 박종철열사추모비 | 4.19 혁명위령탑 | 민주공원

5.18 민주올레
5.18 민주항쟁의 배경ㆍ277

5.18 민주올레길 / 279
박관현 열사 추모비 | 전남대학교 정문 | 광주역 광장 | 옛 시외버스 공용터미널 일대: 현 광주은행 본점 | 5.18 최초 발포지: 동구 계림동 250-91번지 | 광주MBC 옛터 | 녹두서점 옛터
【해야 할 이야기】 광주의 전설 광천동 들불야학ㆍ292
【인물 열전】 상록수와 님을 위한 행진곡의 헌정자 박기순ㆍ294
광주YWCA 옛터 | 금남로 | 옛 광주가톨릭센터: 현 5.18 민주화운동기록관 | 광주 YMCA | 전일빌딩 245 | 옛 상무관 | 5.18 민주광장 | 옛 전남도청: 현 아시아문화전당
【인물 열전】 님을 위한 행진곡의 주인공 윤상원 열사ㆍ319
남동성당 / 조선대학교

그 외 장소들 / 326
전남대학교병원 | 광주기독병원 | 옛 광주적십자병원 | 광주공원-시민군 편성지 | 양동시장 | 배고픈다리 일대 | 주남마을 인근 양민 학살지 | 광목간 양민 학살지(진월동, 송암동) | 농성광장 격전지 | 옛 상무대: 현 5.18 자유공원 | 무등경기장 정문 | 광주교도소 | 국군광주병원 | 5.18 구 묘역 | 5.18 그 후의 이야기
【해야 할 이야기】 같으면서도 다른 부산과 광주의 항쟁ㆍ352

6.10 민주올레
1987년 6월 항쟁 상황일지ㆍ357

6.10 민주올레 코스 / 358
을지로 인쇄골목
【인물 열전】 숨겨진 의인 강은기ㆍ359
백병원
【인물 열전】 심산의 딸 김귀정 열사ㆍ361
【해야 할 이야기】 백병원 투쟁, 5월 25일~6월 11일ㆍ365
명동성당
【인물 열전】 명동의 꽃 조성만 열사ㆍ377
옛 성모병원(현 가톨릭회관)
【인물 열전】 영원한 노동자의 벗 전태일 열사ㆍ382
YWCA: YWCA 위장결혼 사건의 무대 | 향린교회: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결성 장소 | 옛 미문화원 | 서울시청 광장: 6.18 최루탄 추방대회와 이한열 노제 | 성공회 대성당

그 외 장소들 / 397
연세대학교 정문과 한열동산 | 한국은행 앞 분수대

관악 민주올레
서울대의 관악 이전ㆍ407

관악 민주올레 코스 / 409
서울대 4.19 기념탑 | 이준 열사 동상 | 조영래 홀과 유민 홀 | 자하연 | 박혜정, 이재호, 김세진 열사 추모비 | 박종철, 최우혁, 조성만, 황정하, 조정식 열사 추모비 | 아크로폴리스 광장 | 학생회관: 2층 라운지와 대자보 | 중앙도서관 | 서울대 규장각 | 서울대 정문 | 한국원 동판 | ‘그날이 오면’ 옛터 | 녹두거리: 암울한 시대, 민주주의와 민중 지향적 저항 문화의 현장 | 박종철 거리
【해야 할 이야기】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사건ㆍ441

그 외 장소들 / 450
김상진, 이동수 열사 추모비 | 김태훈, 우종원, 김성수 열사 추모비 | 김세진, 이재호 열사의 마지막 숨결을 품은 서광빌딩 | 김대중과 노무현 두 대통령의 마지막 유세 장소: 봉림교

프리덤 트레일(Freedom Trail)과 ‘민주올레’ 455
후기 458 / 참고서적 460




살면서 꼭 한 번은 명심보감
9791190312455.jpg


도서명 : 살면서 꼭 한 번은 명심보감
저자/출판사 : 임성훈, 다른상상
쪽수 : 292쪽
출판일 : 2021-11-12
ISBN : 9791190312455
정가 : 14000

들어가며

계선편 繼善篇 진정한 복에 이르려면
천명편 天命篇 하늘의 이치에 따르려면
순명편 順命篇 이치를 거스르지 않으려면
효행편 孝行篇 효를 실천하려면
정기편 正己篇 자기를 바르게 하려면
안분편 安分篇 가진 것에 만족하려면
존심편 存心篇 마음을 지키려면
계성편 戒性篇 올바른 성품을 닦으려면
근학편 勤學篇 배움을 통해 성숙해지려면
훈자편 訓子篇 값진 가르침을 전해주려면
성심편 省心篇 마음을 살피면서 살아가려면
입교편 立敎篇 가르침을 바로 세우려면
치정편 治政篇 정사를 잘 돌보려면
치가편 治家篇 집안의 화목을 이루려면
안의편 安義篇 인연에서 도리를 지키려면
준례편 遵禮篇 예의 기본을 알려면
언어편 言語篇 말의 중요성을 새기려면
교우편 交友篇 진정한 친구를 얻으려면
부행편 婦行篇 집안에서 덕행을 실천하려면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