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희 교수의 외출한 강의실 또는 종교 속의 음식, 음식 속의 종교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이원희 교수의 외출한 강의실 또는 종교 속의 음식, 음식 속의 종교

땅끝
2024-12-18 10:31 153 0

본문




이원희 교수의 외출한 강의실
9791192557441.jpg


도서명 : 이원희 교수의 외출한 강의실
저자/출판사 : 이원희, 신아출판사
쪽수 : 362쪽
출판일 : 2023-09-25
ISBN : 9791192557441
정가 : 20000

1 발견으로써의 읽기와 글쓰기
인문예술과 글쓰기

1강ㆍ인문학의 의미와 가치
2강ㆍ글쓰기와 예술의 상관성
3강ㆍ상상력
4강ㆍ구조
5강ㆍ언어(은유와 상징)
6강ㆍ인문고전의 이해
7강ㆍ발견으로써의 읽기와 글쓰기
8강ㆍ설화 이해
9강ㆍ우언 이해
10강ㆍ영화 이해
11강ㆍ서정 ① 개념과 원리
12강ㆍ서정 ② 서정의 탄생, 묘사와 서정
13강ㆍ수필 발표 및 수필론
14강ㆍ수필과 쓰기
·
·
[중략]
·
·
3 바라봄의 행위
 사물, 언어, 고전

라파엘로 그림 〈아테네 학당〉
동백, 왜 일찍 지는가?
고통을 먹고 피는 꽃
다리
촛불
의자
상자
안경
자전거
라디오

속담과 이야기
속담 활용 글쓰기 - 바람의 말

나는 어떤 존재인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색
바람봄의 행위
〈大學之道 在明明德〉의 현실적인 의미
學而時習之不易悅乎有用而自遠方來不易樂乎
萬物竝作
無恒産 無恒心
얼굴이 열이면 눈은 아홉이다
헤라클레이토스
고사성어




종교 속의 음식, 음식 속의 종교
9791166291722.jpg


도서명 : 종교 속의 음식, 음식 속의 종교
저자/출판사 : 이찬수 , 정진홍 , 안연희 , 최화선 , 공만식 ,, 모시는사람들
쪽수 : 352쪽
출판일 : 2023-08-20
ISBN : 9791166291722
정가 : 18000

책을 내며

프롤로그

종교와 음식문화┃정진홍

I. 문제의 제기
II. 종교의 구조와 의미
Ⅲ. 종교와 음식문화
Ⅳ. 음식문화에 대한 종교학적 해석의 모색
V. 남아 있는 문제들

1부┃세계종교와 음식문화

유대교의 희생제의와 음식┃안연희

I. 들어가는 말
II. 유대교 음식문화의 특징: 동물의 정결과 피의 금기
III. 유대교와 희생제의
IV. 유대교 음식 규례와 제사법
V. 나오는 말

중세 여자 성인들의 음식, 몸, 물질의 종교┃최화선

I. 들어가는 말: ‘거룩한 거식증’
II. 거룩한 금식, 거룩한 만찬: 먹지 않는/먹는/먹이는 여성의 몸
III. 먹히는 예수의 몸/여성의 몸
IV. 바이넘의 주장에 대한 비판들
V. 부분과 전체, 움직이고 변화하는 물질의 세계, 물질의 종교
Ⅵ. 나오는 말: 물질적 존재들의 목소리와 역설

마늘에 담긴 불교사┃공만식

I. 들어가는 말
II. 다르마 수트라(Dharma sūtra)의 마늘(laśuna) 이해
III. 초기 불교의 마늘 인식
IV. 비나야의 산법(蒜法) 규정과 바르나적 마늘 규정
V. 대승육식금지 경전의 마늘 인식
Ⅵ. 나오는 말

마쓰리(祭)와 신찬(神饌)┃박규태

I. 들어가는 말
II. 신찬이란 무엇인가?
III. 신찬의 신화적 배경 및 역사적 변천
IV. 이세신궁과 천황의 제사 신찬
V. 신찬의 의미
Ⅵ. 나오는 말: 신찬과 한국의 연관성

2부┃한국종교와 음식문화

한국 불교 의례에서 ‘먹임’과 ‘먹음’의 의미┃민순의

I. 들어가는 말
II. 중도(中道)의 합리적 기능주의: 음식과 식사에 대한 초기 불교의 태도
III. 불공(佛供): 수행(修行)-공덕(功德)의 상호 교환적 가치와 신앙 의례화의 경향
IV. 승재(僧齋): 반승(飯僧)으로의 계승과 식당작법(食堂作法)의 축제성
V. 시식(施食): 불교 구원론의 우주론적 확산
Ⅵ. 나오는 말

굿 의례음식┃이용범

I. 들어가는 말
II. 진적굿의 과정과 의례음식
III. 굿 의례음식의 특징과 의미
IV. 나오는 말

천도교의 음식문화┃차옥숭

I. 들어가는 말
II. 수운의 시천주(侍天主) 사상과 해월의 물물천사사천(物物天事事天), 이천식천(以天食天)
III. 밥의 의미와 천도교여성회와 한살림의 실천적 음식문화운동
IV. 나오는 말

식탁에서 평화까지┃이찬수

I. 들어가는 말
II. 밥 한 그릇에서 만사를 안다
III. 볍씨도 인간을 먹는다
IV. 이미 주어져 있다
V. 음식이 마을을 만든다
Ⅵ. 생명을 조작하다
VII. 현대인은 ‘식맹’이다
Ⅷ. “행복은 자전거를 타고 온다.”
Ⅸ. ‘식맹’(食盲)을 넘어선다
Ⅹ. ‘식안’(食眼)을 열어 간다

주석 / 참고문헌 / 발표지면 /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