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연과 13세기, 나는 이렇게 본다 또는 논어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일연과 13세기, 나는 이렇게 본다 또는 논어

땅끝
2025-01-04 07:51 146 0

본문




일연과 13세기, 나는 이렇게 본다
9791163142140.jpg


도서명 : 일연과 13세기, 나는 이렇게 본다
저자/출판사 : 고운기, 보리
쪽수 : 260쪽
출판일 : 2021-07-01
ISBN : 9791163142140
정가 : 15000

보리 한국사를 펴내며 4
들어가는 글 15


‘고려’라는 나라의 13세기
-임금, 문반과 무반 사이에서
13세기 이전, 문반의 시대 26
권력의 역전 29
무반의 시대, 13세기의 혼돈 32
잘못된 구조의 희생자 36

-백성, 청산별곡과 쌍화점의 시대
청산과 바다로 쫓기는 백성 39
당당했던 고려 여인 41
손변의 재판 43
시대의 격랑, 무너지는 가족 제도 48
쌍화점의 나라 53

-시인, 있고 없거나 차고 비거나
두보, 있고 없음의 어긋남 56
이규보, 차고 빈 것의 슬픔 58
13세기의 문제 인물 60


증언자 일연
- 탄생, 거울과 파도
13세기의 증언자 일연 68
맑은 거울, 휘몰아치는 파도 70 제2의 고향 비슬산 72

- 성장, 전쟁의 와중에서
온 세상이 꿈과 같고 75
정안과의 만남 78
한가로움이 한가로움을 빼앗고 81

- 국사, 나라의 스승
국사의 자리에 오른 일연 84
삼국유사를 남기고 떠나다 87

-기록, 눈물과 위안의 삼국유사
왜 삼국유사인가 90
폐허 속의 희망 92


고려와 몽골
- 시대가 변하는 징조
권력 농단과 폭력의 시대 98
초원의 제국 몽골 102

- 형제 맹약기
십 년 동안 장 없이 먹었지 104
몽골과 맺은 ‘형제 맹약’ 107
고려가 오해한 형제 관계 111

- 대몽 항쟁기
몽골의 의형제 개념 114
정보 부재가 불러온 비극 118
몽골군 말발굽에 밟힌 자리 122

- 몽골 간섭기
무신 정권의 최후와 간섭기의 시작 124
삼별초 정부와 아시아 대전 127
몽골 간섭기 100년 133

- 일연은 몽골을 어떻게 보았을까
삼국유사 속의 ‘서산’ 135
서러운 마음 한 자락 140


고려와 일본
- 13세기 이전의 일본
끊이지 않는 왜의 위협 144
왜나라에서 일본으로 147
가미카제를 이길 만파식적 148

- 여몽 연합군과 일본 정벌
고려와 몽골, 연합군 구성 153
일본의 허깨비 ‘사대놀이’ 155
뿌리 깊은 일본의 몽골 공포 159

- 충렬왕과 일연
일본 정벌과 충렬왕 164
일연을 국사에 책봉하다 167

- 또 다른 고려 사람 김방경
덕과 나이와 벼슬을 겸비한 장수 175
역사가 그에게 등을 돌리는 까닭 179
어쩌면 고려의 이순신? 183


삼국유사에 반영된 시대의 비극
- 추락한 군신의 윤리
배신의 원형, 염장과 궁파 190
달라진 궁파 이야기 195
김부식과 당대의 문화 198

- 세속과 은거의 사이
단속사와 산청 202
벼슬을 버린 신충 204
바른 은거의 길 209
13세기의 신충은 어떻게 되었나 213

- 눈물과 위안의 서사
나무에 묶인 자식, 구덩이에 묻히는 아이 216
땅을 파다 종을 얻은 손순 219
눈물의 삼사삼권 221
눈물과 위안으로 잡는 악수 224

- 왜곡된 여자의 일생
흔하지 않기에 가치 있는 227
바른 부부, 김현과 호랑이 처녀 230

- 삼국유사 서문의 상상력
서문, 도전과 상상의 다른 표현 235
다시 마르코 폴로 이야기 239
일연과 폴로의 시치미 246

나가는 글 249
참고문헌 256




논어
9788961095259.jpg


도서명 : 논어
저자/출판사 : 공자 (원전), 지식여행
쪽수 : 352쪽
출판일 : 2022-01-12
ISBN : 9788961095259
정가 : 15000

서문

학이 제일 學而 第一
위정 제이 爲政 第二
팔일 제삼 八佾 第三
이인 제사 里仁 第四
공야장 제오 公冶長 第五
옹야 제육 雍也 第六
술이 제칠 述而 第七
태백 제팔 泰伯 第八
자한 제구 子罕 第九
향당 제십 鄕黨 第十
선진 제십일 先進 第十一
안연 제십이 顔淵 第十二
자로 제십삼 子路 第十三
헌문 제십사 憲問 第十四
위령공 제십오 衛靈公 第十五
계씨 제십육 季氏 第十六
양화 제십칠 陽貨 第十七
미자 제십팔 微子 第十八
자장 제십구 子張 第十九
요왈 제이십 堯曰 第二十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