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를 번역하고 미래를 해석하는 기상예보관 또는 생활 속의 풍수지리
땅끝
2024-12-18 10:33
115
0
본문
날씨를 번역하고 미래를 해석하는 기상예보관

도서명 : 날씨를 번역하고 미래를 해석하는 기상예보관
저자/출판사 : 이제광, 토크쇼
쪽수 : 204쪽
출판일 : 2023-03-10
ISBN : 9791192842141
정가 : 15000
기상예보관 이제광의 프러포즈
첫인사
기상예보관이란
기상예보관은 누구인가요
일기예보는 어떤 과정을 거쳐서 나오나요
예보의 방향을 결정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예보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우리나라 기상을 예측할 때 어떤 어려움이 있나요
기상 특보는 무엇인가요
기상 특보를 낼 때 어려움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우리가 더 알아야 할 예보가 있나요
기상 용어가 궁금해요
기상관측은 어떻게
기상관측은 무엇인가요
기상관측을 하는 장소는 어디인가요
지상에서 기상을 관측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고층기상관측은 어떻게 하나요
고층 관측을 하는 다른 방법이 또 있나요
위성에서 기상관측도 하나요
낙뢰를 관측하는 장비도 있나요
바다에서는 기상관측을 어떻게 하나요
바다의 날씨를 관측하는 다른 장비는 무엇이 있나요
기상상태를 예측할 때 어떤 자료가 중요한가요
슈퍼컴퓨터와 수치예보모델
슈퍼컴퓨터의 역할이 궁금해요
수치예보모델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 수치예보모델의 정확도는 어느 정도 수준인가요
수치예보모델이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는지도 궁금해요
슈퍼컴퓨터만 있으면 예보가 정확해지나요
수치예보모델이 예측하지 못한 경우가 있었나요
수치예보모델의 예측이 틀릴 때 예보관이 검증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나라마다 수치예보모델의 예측이 왜 다른가요
일기도도 슈퍼컴퓨터가 만드나요
기상예보관이 되려면
기상예보관이 되려면 어떤 자세가 필요할까요
청소년기에는 어떤 준비를 하는 게 좋을까요
지리에 대한 지식이 도움이 될까요
유리한 전공이 있나요
기상예보관이 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기상직 공무원이 되면 기상예보관이 되는 건가요
기상예보관의 하루
기상예보관이 되면
연봉은 어느 정도인가요
직급과 체계는 어떻게 되나요
기상예보관으로 기억에 남는 순간은 언제인가요
이 일의 장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일하면서 공부가 더 필요한가요
이 일의 어려움은 무엇일까요
예보관으로서 기후변화에 대한 생각이 궁금해요
다른 분야로 진출이 가능한가요
기상청, 사람들 이야기
기상관측의 역사가 궁금해요
예보국 조직 문화는 어떤가요
외국의 일기예보와 차이가 있나요
기상정보를 활용해 이익을 창출하는 기업이 있다던데요
기후가 무기가 된다는 말이 들려요. 이런 말은 왜 나왔을까요
항공기를 위한 예보가 따로 있나요
기후변화를 다룬 영화도 소개해주세요
기상예보관이 나오는 드라마가 있나요
미래에도 필요한 직업인가요
자세한 날씨정보는 어디서 알 수 있나요
알아두면 정말 좋은 기상·기후서비스
나도 기상예보관
기상예보관 이제광 스토리
생활 속의 풍수지리

도서명 : 생활 속의 풍수지리
저자/출판사 : 손용택 , 신관철 , 레티튀반 , 구보미 , 남상준 , 한국학술정보
쪽수 : 266쪽
출판일 : 2023-01-05
ISBN : 9791169830317
정가 : 17000
프롤로그
제1장 동아시아의 풍수관, 그 맥락
01 한국과 중국의 풍수관 차이; 형세론과 이기론을 중심으로
1. 서론
2. 풍수의 본질과 기원
3. 한국과 중국의 풍수 사상 특징
4. 양국의 풍수지리 적용
1) 촌락과 도시 및 궁궐 입지에 풍수이론 적용
2) 생태 환경보호와 풍수
5. 결론
02 한국과 일본의 풍수관 비교
1. 서론
2. 한국의 풍수
1) 자생풍수의 성격과 도선의 역할
2) 고려 시대의 풍수
3) 조선왕조의 한양 풍수
4) 일제강점기 풍수
3. 일본의 풍수
1) 도읍지 풍수
2) 정원 풍수
3) 천황릉의 풍수
4. 결론
제2장 천·지·인 관점과 풍수 본질
03 풍수지리와 천문관, 그리고 농업
1. 서론
2. 풍수지리의 기원 - 음택풍수 기원설과 양택풍수 기원설
3. 풍수지리와 동양 천문학 간의 철학적 유사성
1) 풍수지리의 땅의 분류와 동양 천문학의 별자리
2) 풍수지리의 24방위와 동양 천문학의 24절기
4. 동양 천문학과 농업의 관계
5. 농업으로부터 발전한 풍수지리
1) 풍수지리의 길지와 농업에 유리한 입지
2) 풍수지리, 천문학, 농업의 연결고리: 길흉
3) 농업으로부터 발전한 풍수지리
6. 결론
04 풍수지리의 ‘생기’ 본질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생기’ 개념 고찰
1) 생기 개념의 유래- 생명의 원천과 에너지
2) 생태순환론의 보편성과 지속가능성 원리
3) 생기의 다양한 실생활 활용
4. ‘생기’ 개념 정립
1) 존재론과 인식론 시각의 생기
2) 기능과 물질로서의 생기
3) 자연과학적 원리와 생기
5. 결론
제3장 풍수의 터고르기와 어촌풍수
05 터고르기 시각의 풍수지리; 동서양의 비교관점에서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선행연구 검토
2) 사신사 이론의 적용 : 한양 분지를 사례로
3. 전통(풍수)지리의 입지요소
1) 배산임수 지형의 수구(水口)
2) 전통마을에서의 득수(得水)
3) 사신사 입지의 변형, 산천도택(山川道澤)
4. 풍수지리와 서양 입지론의 비교, 현대적용
1) 풍수지리와 서양의 입지이론
2) 풍수의 현대적용
5. 결론
06 전통 어촌의 풍수경관; 보성군 득량면 ‘강골’을 사례로
1.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2. 풍수지리의 이론적 고찰
1) 풍수(風水)의 기원과 본질
2) 사신사(四神砂)와 비보풍수(裨補風水)
3. 강골의 경관과 풍수 입지
1) 마을 개관
2) 강골의 풍수입지 해석
4. 결론
제4장 사찰의 비보풍수와 풍수설화 다문화교육
07 한국사찰의 비보풍수; 화기제압 비보풍수를 중심으로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선행 연구 고찰
2) 비보풍수의 원리 및 형태
3. 사찰의 화기제압 비보 형태
1) 생물형 비보
2) 무생물형 비보
4. 결론
08 외국인학습자를 위한 풍수설화 다문화교육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풍수설화와 문화교육
1) 문화로서의 풍수 설화
2) 수업 자료 선정
4. 풍수 설화를 활용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용 문화 수업 교안
5. 결론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