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첨성대의 기원 또는 일하는 당신을 위한 최고의 수면법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경주 첨성대의 기원 또는 일하는 당신을 위한 최고의 수면법

땅끝
2024-12-18 10:33 178 0

본문




경주 첨성대의 기원
9788962464993.jpg


도서명 : 경주 첨성대의 기원
저자/출판사 : 정연식, 주류성
쪽수 : 494쪽
출판일 : 2023-03-15
ISBN : 9788962464993
정가 : 36000

책을 내면서
머리말

Ⅰ. 첨성대 연구의 지나온 길
1. 다섯 첨성대
2. 조선시대의 첨성대 인식
3. 근현대 학문에서의 천문대설
4. 천문대설에 대한 도전과 논쟁
1) 1964년 전상운의 규표설
2) 1967년 홍사준의 천문관 상대설
3) 1970년대 수미산설, 주비산경설과 논쟁
4) 1980년대 천문대설의 재등장
5) 1990년대 우물설의 대두
6) 2000년대 마야부인우물설

Ⅱ. 탄생의 우물
1. 우물을 형상화한 첨성대
2. 다산, 풍요의 우물과 복숭아씨
3. 우물에서의 탄생

Ⅲ. 별빛을 받아 잉태한 우물
1. 별빛을 받아 위인을 낳은 여인들
2. 햇빛을 받아 알을 낳은 여인들
3. 별빛을 받아 알을 낳은 우물
4. 보랏빛 알과 자미원(紫微垣) 안의 북극오성
5. 남성 말과 여성 닭

Ⅳ. 우물 안 항아리와 알, 그리고 별
1. 백제 풍납토성 우물의 항아리
2. 일본 노노가미 유적 우물의 항아리 알
3. 신라 종묘에 묻은 별 항아리

Ⅴ. 평양 첨성대와 연개소문의 탄생
1. 구요(九曜) 별과 구지(九池) 못의 만남
2. 평양 첨성대의 건립 시기와 형태
3. 평양 첨성대의 주인, 연개소문
4. 북한에서 발굴했다는 평양 첨성대

Ⅵ. 나정을 에워싸고 조성한 시조묘
1. 우물과 시조
2. 나정과 시조묘
1) 나정에 조성한 시조묘
2) 종묘의 시조묘
3. 나정의 발굴로 드러난 우물

Ⅶ. 성부산과 탄생의 별 삼태성
1. 망성산(望星山)에서 바라보는 성부산(星浮山) 별
2. 오리온자리 삼태성(三太星)을 닮은 성부산
3. 탄생의 별 삼태성(ᄉᆞᆷ胎星)

Ⅷ. 북극오성을 낳은 나정
1. 성부산 삼태성을 쳐다보는 나정
2. 나정에서 태어난 북극오성의 구덩이

Ⅸ. 첨성대(瞻星臺)라는 이름의 뜻
1. 첨성(瞻星)의 뜻
2. 별을 쳐다보는 대(臺)와 ‘대[胎]’
3. ‘점성대[瞻星臺]’와 점성대(占星臺)

Ⅹ. 성골 여왕을 낳은 마야부인의 몸
1. 아래가 부풀고 옆에 구멍이 난 우물
1) 여인의 몸을 닮은 우물
2) 의문의 창구
2. 성조(聖祖) 석가모니의 후예, 선덕여왕
1) 성스러운 석가모니의 후예, 성골
2) 성스러운 조상의 후예, 성조황고(聖祖皇姑)
3. 첨성대의 창구와 마야부인의 옆구리
1) 마야부인의 옆구리로 태어난 석가모니
2) 옆구리 구멍이 보이도록 돌아선 마야부인

Ⅺ. 선덕여왕의 이미지 만들기
1. 여왕의 즉위 초에 세운 첨성대
2. 여왕의 덕목과 흠
1) 덕(德)과 지(智)를 겸비한 여왕
2) 위엄 없는 여왕
3) 향기 없는 여왕
3. 향기로운 여왕 만들기
1) 향기로운 여왕의 절, 분황사(芬皇寺)
2) 지귀(志鬼)의 가슴에 불을 붙인 여왕
4. 영험하고 신묘한 여왕 만들기
1) 영묘사(靈妙寺)와 여왕의 신묘한 힘
2) 세 가지 사건을 예언한 여왕
5. 위엄 있는 여왕의 황룡사구층탑

Ⅻ. 첨성대의 퇴조
1. 나정을 에워싼 폐쇄형 1차 신궁
2. 나정을 메우고 세운 대형 팔각 신궁
3. 무관심 속에 방치된 첨성대

ⅩⅢ. 천문대설 비판
1. 불편한 구조와 형태
1) 드나들기와 오르내리기가 불편하다
2) 관측 공간이 좁다
2. 부적절한 위치
3. 진북(眞北)을 외면한 정자석의 해명
1) 지자기이동설
2) 세차설(歲差說)
3) 진북무용설
4) 동지일출방향설
4. 첨성대의 돌 숫자
1) 첨성대의 짜임새
2) 첨성대의 형태와 층단
3) 첨성대 돌은 365개인가?
5. 7세기 이후 천문기록 증가의 의미
1) 첨성대의 건립과 천문이변 기록의 증가
2) 7세기 이후 각종 이변 기록의 증가
3) 천문이변 기록이 늘어난 이유
4) 경주의 천문이변 발생 기록
6. 천문대설 비판 총론

ⅩⅣ. 기타 학설 비판
1. 규표설 비판
1) 절기 측정이 어려운 형태
2) 절기 관측이 불가능한 창구
2. 주비산경설 비판
3. 수미산설 비판
1) 수미산의 형태
2) 모난 횡단면의 수미산과 둥근 횡단면의 첨성대
3) 허리가 잘록한 수미산과 상체가 좁은 첨성대

맺음말
[보론]
1. 창경궁 일영대(日影臺)의 연혁
2. 고려 말 파주 권준(權準) 묘의 삼성(三星)과 태성(胎星)

[참고문헌]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이변(異變) 기록




일하는 당신을 위한 최고의 수면법
9791190846622.jpg


도서명 : 일하는 당신을 위한 최고의 수면법
저자/출판사 : 스미야 료, 한빛라이프
쪽수 : 272쪽
출판일 : 2023-05-25
ISBN : 9791190846622
정가 : 17000

프롤로그 일하는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식사’도 ‘운동’도 아닌 ‘숙면’이다
감수의 글 인류의 가장 오래된 건강 비결, 숙면

제1장 현대 직장인에게 숙면이 꼭 필요한 이유
이제는 일할 때 ‘Do’가 아니라 ‘Be’가 중요하다
숙면은 직장인의 불평등을 없앤다
평범하게 일상생활만 해도 수면 부족이 될 수 있다
수면 부족의 가장 큰 문제는 인간관계 악화다

제2장 인생에는 숙면 법칙이 있다
인생에 숨겨진 숙면 지도를 찾아라
왜 푹 자고 싶은가? 이유를 알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DAY : 하루의 수면 패턴을 정하면 숙면은 반 정도 이룬 것이나 마찬가지다
WEEK : 월요일의 첫 단추를 잘못 끼우면 일주일 내내 영향이 미친다
SEASON : 각 계절과 환절기에 맞는 숙면 기술이 있다
AGE : 나이나 인생의 중요한 이벤트에 따라 최적의 수면 대책은 바뀐다
칼럼 바닥에서 자도 비싼 침대에서 자도 수면의 질은 같다?

제3장 수면에 관한 새로운 상식
× 잠을 많이 자면 손해다 / ○ 잠을 자면 더 많은 것을 얻는다
× 8시간은 꼭 자야 한다 / ○ 최적의 수면 시간은 사람마다 다르다
× 자지 않고 노력한다 / ○ 잘 자기 위해 노력한다
× 밤에 좋아하는 일을 한다 / ○ 아침에 좋아하는 일을 한다
×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기 / ○ 일찍 일어나고 일찍 자기
× 잠을 깨고 일어난다 / ○ 일어나서 잠을 깬다
× 자신을 위해 숙면한다 / ○ 주변 사람을 위해 숙면한다
칼럼 수면 개선을 위한 마우스피스 이야기

제4장 DAY(아침) : 아침을 지배하는 자가 숙면을 지배한다
잠을 깰 때는 아침 햇살 대신 조명을 활용하자
아침에 일어나는 것은 ‘혈압’이 아니라 ‘체온’으로 결정된다
알람 시계 활용법에 따라 하루의 능률이 바뀐다
아침에 일어났다가 다시 잠들면 스트레스는 줄지만 호르몬 균형이 무너진다
일어나자마자 커피를 마시면 스트레스 저항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아침 식사를 챙겨 먹는 것도 거르는 것도 정답은 아니다
하루 중 스트레스에 가장 강한 시간은 아침에 일어나서 1시간 후다
행복해지는 일은 아침에 하는 습관을 들이자
숙면 실천법① 잠이 완전히 깨지 않아도 일어날 수 있는 ‘스르륵 기상법’
칼럼 술을 마신 후의 숙면 기술

제5장 DAY(밤) : 일 잘하는 직장인이 밤을 보내는 방법
업무 모드는 목욕이나 샤워를 통해 강제로 끈다
자기 전에 무엇을 마시는지가 수면의 질을 결정한다
자는 동안에는 위를 완전히 비워두는 것이 숙면의 기본 원칙이다
자기 전에 저널링으로 명상을 하자
자기 전에 스트레칭으로 몸을 이완하면 더 깊이 잠들 수 있다
숙면의 가장 큰 적인 자기 전 스마트폰은 의지만으로는 99% 끊기 어렵다
숙면 실천법② 숙면을 위한 1분 스트레칭
칼럼 숙면할 수 있는 호텔을 선택하는 비법

제6장 WEEK : 일주일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따라 업무 성과가 달라진다
월요일 아침에 컨디션이 좋지 않으면 금요일이 되어서야 업무 능력이 회복된다
몸과 마음의 피로는 목요일에 최고조에 이른다
업무에서 좋은 성과를 내는 사람은 휴일에도 평일에도 수면 스타일을 바꾸지 않는다
앞으로는 수면 부채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수면 저축을 늘려야 한다
아침형 인간과 저녁형 인간은 태어날 때 결정된다
주말마다 침실 청소를 하는 습관을 들이면 일주일 내내 숙면할 수 있다
칼럼 자신이 ‘아침형 인간’인지 ‘저녁형 인간’인지 알아보는 방법

제7장 SEASON : 계절 변화에 맞는 숙면 기술
봄은 직장인에게 비수기다
코막힘을 유발하는 꽃가루 알레르기 등 알레르기는 숙면의 가장 큰 적이다
1년 중에 가장 지치기 쉬운 달은 6월이다
여름에는 최적의 수면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평소보다 빨리 일어나자
겨울 아침에 일어나기 힘든 이유는 추위뿐만 아니라 태양 빛도 관련이 있다
계절의 변화는 몸과 마음에 부담을 줄 수 있으니 유연하게 대처하자
긴 연휴에는 마음껏 놀고 마지막 이틀 동안 평소 생활로 돌아간다
수면 패턴이 무너지기 쉬운 성수기에는 바쁜 일이 끝날 때쯤 재충전의 날을 정한다
칼럼 일 때문에 잠드는 시간이 늦어졌을 때 하루 만에 되돌리는 방법

제8장 AGE : 나이에 따라 바뀌는 숙면 기술
사회 초년생이라면 빨리 학생의 수면 패턴에서 사회인의 수면 패턴으로 바꾸자
20대는 저녁형이 많고 적정 수면 시간이 길기 때문에 낮잠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결혼하면 서로 최적의 온도에 대해 이야기하고 맞춘다
결혼해서도 이불은 따로 쓰는 게 좋다
아이가 생겨도 아이를 부부 사이에 재우는 건 피하자
잠옷은 연령별 특징에 맞춰서 바꿔 입어보자
다양한 원인으로 생기는 코골이는 확실히 수면의 질을 떨어뜨린다
신체 호르몬 변화가 큰 시기에는 수면의 질 저하에 대비하자
50대가 지나면 밤중 화장실 대책이 필요하다
50대부터는 조금씩 수면 시간이 짧아지므로 ‘밤에 깨어있는 힘’을 키울 필요가 있다
칼럼 여러 명이 함께 잘 때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주의하자

에필로그 인생의 다양한 수면 고민에 답을 제시하는 ‘숙면 지도’를 손에 넣자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