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익 마법 2주의 기적 Reading 또는 북한 원시형 세습통치체제 형태의 변화과정과 특성
땅끝
2024-12-18 10:33
156
0
본문
토익 마법 2주의 기적 Reading

도서명 : 토익 마법 2주의 기적 Reading
저자/출판사 : 이교희, 성안당
쪽수 : 368쪽
출판일 : 2022-11-16
ISBN : 9788931558616
정가 : 19800
머리말
이 책의 구성과 특징
TOEIC이란?
TOEIC 수험 정보
학습 계획
DAY 1
ORIENTATION
PART 5 & 6 형용사|부사 1
PART 7 유형 1: 주제, 목적 문제
PRACTICE TEST
DAY 2
PART 5 & 6 부사 2
PART 7 유형 2: 세부사항 문제
PRACTICE TEST
DAY 3
PART 5 & 6 부사 3
PART 7 유형 3 : Not/True 문제
PRACTICE TEST
DAY 4
PART 5 & 6 명사
PART 7 유형 4 : 추론 문제
PRACTICE TEST
DAY 5
PART 5 & 6 대명사
PART 7 유형 5 : 동의어 문제
PRACTICE TEST
DAY 6
PART 5 & 6 접속사와 전치사|능동태와 수동태|문장의 구성
PART 7 유형 6 : 의도 파악 문제
PRACTICE TEST
DAY 7
PART 5 & 6 관계사|수의 일치
PART 7 유형 7 : 문장 삽입 문제
PRACTICE TEST
DAY 8
PART 5 & 6 현재분사와 과거분사|비교
PART 7 고난도 지문 - 기사
PRACTICE TEST
DAY 9
PART 5 & 6 시제|여러 가지 어형 1
PART 7 2중 / 3중 지문 문제
PRACTICE TEST
DAY 10
PART 5 & 6 시제|여러 가지 어형 2
PART 7 7가지 문제 유형 정리
PRACTICE TEST
부가학습자료 이용법
저자 소개
별책 정답 및 해설
북한 원시형 세습통치체제 형태의 변화과정과 특성

도서명 : 북한 원시형 세습통치체제 형태의 변화과정과 특성
저자/출판사 : 정병일, 좋은땅
쪽수 : 456쪽
출판일 : 2023-03-11
ISBN : 9791138816854
정가 : 27000
책을 내면서
제Ⅰ부 서장
제1절 연구 대상과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Ⅱ부 김일성 통치체제의 유형과 변화
제1절 민족주의를 내장한 사회주의국가 체제형성
1. 주체사상 속의 민족주의 내면화
1) 북한 민족주의 개념
2) 북한 민족주의적 성격
2. 북한 민족주의관의 변천
1) 북한 사회주의의 민족주의적 정향
2) 주체사상과 민족주의적 요소의 내면화
3) 조선민족제일주의와 우리식 사회주의의 전면화
3. 김정은 애국주의의 등장
소결: 북한 민족주의 일반화와 추상화
제2절 북한식 사회주의국가 형성과정
1. 해방공간의 시대적 배경: 이념적 고찰
1) 자산 계급성 인민민주주의 도입과 실천
2) 연합성 신민주주의와 부르주아 민주주의혁명 혼용(만주파, 연안파, 남로당파)
2. 민족통일전선을 통한 좌익세력 결집
3. 군중노선을 중심으로 한 토지개혁 및 사회개혁
1) 토지개혁
2) 사상의식개혁: 건국사상 총동원 운동과 군중노선
제3절 중앙협력적 통치체계
1. 개요
2. 당·국가 체제의 이데올로기 수립과 개혁
1) 당·국가 체제의 수립과 개혁
2) 당 대회를 통해 나타난 계파별 협력과 갈등 분석
3) 전후 김일성 단일정권의 배경: 인민민주주의 독재
3. 연합정권의 구성과 전시동원 내각체제
1) 연합정권 구성
2) 전시동원체제와 김일성의 군사 지휘권 상실
4. 북한 군사화의 토대형성과 정치적 숙청
1) 군사화의 토대형성
2) 단일체계로의 군 통제강화: 정치적 숙청
5. 지방정권기관: 지방인민위원회
1) 중앙·지방 관계의 기본적 틀
2) 지방인민위원회
제4절 중앙일체적 통치체계
1. 파벌 간의 정치투쟁
1) 김일성의 대중주의 연합과 연안파의 군중노선
2) 파벌(만주파와 연안파) 간의 협력과 갈등
2. 연안파의 조직 성향 분석과 종파 사건
1) 연안파의 조직 성향 분석
2) 종파 사건
3. 단일·유일적 지배체계구축
1) 대중주의 군중노선: 현지지도 이론적 배경과 실천적 의미
가. 현지지도의 이론적 배경
나. 현지지도 형태와 절차
2) 만주파의 재정비 및 당·군의 일체화
가. 초기 당·정·군 권력 엘리트 형성기준
나. 간부양성기관 운영과 권력 엘리트 조직별 기능
(1) 간부양성기관 설립과 운영
가) 북조선 공산당 중앙당 학교
나) 중앙정권 간부양성기관들
다) 김일성종합대학
(2) 권력 엘리트 조직별 기능
가) 권력 엘리트 재생산 대상
나) 권력 엘리트의 전략적 선택과 융합
다) 김일성의 간부 정책 기준과 당·정 신진 엘리트 부상 배경
3) 중앙일체적 통치체계가 갖는 함의
가. 사상적 측면
나. 제도·실천적 측면
다. 조직적 측면
제Ⅲ부 김정일 통치체제의 유형과 변화
제1절 이론적 틀
제2절 김정일 통치체제의 사상·제도적 틀
1. 김정일 수령·후계의 형성론
1) 수령론
2) 후계자론
2. 김정일 시대어를 통한 통치체계구축
1)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2) 3대 혁명 및 3대 혁명소조 활동
3) 조선민족제일주의와 우리식 사회주의
4) 강성대국과 선군정치 그리고 붉은기 사상
5) 광폭정치와 인덕정치
3. 현지지도로 본 통치체계 형성
1) 현지지도의 이중적 구조
2) 현지지도의 성격과 특징
제3절 중앙집중적 통치체계
1. 국가 기구와 권력 엘리트의 연계된 교체
1) 조직별 기능과 권력 엘리트 형성
가. 당(黨)
나. 군(軍)
다. 정(政)
2) 당·군·정 권력 엘리트 분석
가. 엘리트들의 현지지도 수행 및 역할 분석
(1) 권력 엘리트들의 현지지도 수행분포 분석
(2) 권력 엘리트들의 역할 분석
제4절 중앙집중적 통치와 권력 엘리트 서열 관계
1. 김정일과 권력 엘리트와의 관계 형성 배경
2. 김정일 체제의 출범과 당·군 엘리트의 전략적 선택
3. 현지지도 수행과 주석단 서열분석
1) 김정일 현지지도 수행에 참여하는 권력 엘리트와의 함수 관계
2) 김정일 통치술의 변화와 제한적 다변성
3) 중앙집중적 통치체계가 갖는 함의
가. 사상적 측면
나. 제도·실천적 측면
다. 조직적 측면
제5절 중앙통합적 통치체계
1. 제3차 당 대표자 회의가 가지는 함의
2. 3차 당 대표자 회의에서 나타난 조직 및 인물 분석
3. 김정일 사망과 미완의 중앙통합적 통치체계
1) 정치국 부활과 비서국 강화가 가지는 의미
2) 통치 승계에 권력 엘리트들의 기능성
3) 세습통치체제의 안정성
제Ⅳ부 김정은 통치체제 유형과 전망
제1절 준비된 통치 승계
1. 후계과정 및 유훈통치
1) 예정된 후계자 김정은
2) 김정은식 사회주의 길 제시
3) 교사(敎師)형 후견인
2. 김정은 유훈통치와 교사(敎師)형 엘리트
1) 초기 김정은 체제에서 현지지도의 특징
2) 김정은과 신권력 엘리트 역할의 이중구조
가. 당 정치국의 권력 엘리트(상징형)와 비서국의 신진권력 엘리트(실무형)
나. 김정은 체제 권력 엘리트들의 역할 비중이 갖는 함의
제2절 김정은 체제의 선당(先黨) 통치
1. 선군(先軍) 통치에서 선당(先黨) 통치로
1) 군부의 길들이기
2) 김정은 체제의 선당정치 실험
3) 김정은식 중앙통합적 통치체계(세대교체 중심으로)
제3절 김정은 체제의 안정화 가능성
1. 중앙통합적 체계 공고화로의 이행기(移行期)
2. 김정은 체제와 핵심 엘리트와의 역학관계
1) 권력 엘리트의 순기능 역할
2) 권력 엘리트의 역기능 역할
제Ⅴ부 종장
참고문헌
부록
표 목차
[표 2-1] “조선신민당의 토지정책”과 “북조선 토지개혁에 관한 법령” 비교
[표 2-2] 2차 세계대전 후 동구 사회주의권 국가 토지개혁 유형
[표 2-3]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집행위원 시·도별 현황
[표 2-4] 제1차 당 대회 파벌 분포 (1946년 8월)
[표 2-5] 제2차 당 대회 파벌 분포 (1948년 3월 27~30일)
[표 2-6] 제3차 당 대회 파벌 분포 (1956년 4월 23~29일)
[표 2-7]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 계파별 분포
[표 2-8] 북조선인민위원회 1차 내각 계파별 분포
[표 2-9] 1차, 2차 내각 명단
[표 2-10] 조선의용군 출신 북한 인민군 간부현황
[표 2-11] 선거 참가자 및 찬성자
[표 2-12] 계파성향이 적거나 회유·전향한 대표적 인물
[표 2-13] 부문별 간부양성 교육기관
[표 2-14] 김일성 시대에 양성된 대표적인 혁명 유자녀 출신
[표 3-1] 노동당 비서국 기구도
[표 3-2] 빨치산 출신 엘리트 현황 (2001년 기준)
[표 3-3] 만경대혁명학원 출신 현황 (2001년 기준)
[표 3-4] 당(黨)에 배치된 김일성종합대학 출신 현황 (2001년 6월 기준)
[표 3-5] 정(政)에 배치된 김일성종합대학 출신 현황 (2001년 기준)
[표 3-6] 1998년~2001년 6월까지 현지지도 수행 집계표
[표 3-7] 군수공업 지역 현지지도 현황 (1998년 1월~2001년 6월)
[표 3-8] 주요 현지지도 수행자와 주석단 서열분석표
[표 3-9] 북한 로동당 규약 주요 내용 변화
[표 3-10] 중앙통합적(정치국-비서국) 통치체계
[표 3-11] 김정은 시대 작동 시 추정되는 핵심 인물 (2010년 기준)
[표 3-12] 대표적인 항일그룹 세습 엘리트
[표 4-1] 초기 현지지도 분야별 분포
[표 4-2] 2013년 기준 주요 장령 명단
[표 4-3] 김정은 초기정권 현지지도에 수행한 권력 엘리트 집계표
[표 4-4] 김정은 정권 권력 서열 10위(당·정·군) 점유율 (2012~2020년)
[표 4-5] 2020년 이후 김정은 중앙통합적 통치체계의 주요 권력 엘리트
그림 목차
[그림 2-1] 연안파 중심의 8월 종파 계보
[그림 2-2] 연합정권 파벌구성 및 북·중 정치 소통도
[그림 3-1] 김정일 북한의 국가기관체계 (2000년 9월)
[그림 3-2] 북한 국가 기구도
[그림 3-3]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 후계자론
[그림 4-1] 당(黨) 조직 기구
[그림 4-2] 정(政) 조직 기구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