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김형준 직업상담심리학개론 단원별 직상기출 160제 또는 ADHD·자폐 아이를 성장시키는 말 걸기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2023 김형준 직업상담심리학개론 단원별 직상기출 160제 또는 ADHD·자폐 아이를 성장시키는 말 걸기

땅끝
2024-12-18 10:33 165 0

본문




2023 김형준 직업상담심리학개론 단원별 직상기출 160제
9791167223401.jpg


도서명 : 2023 김형준 직업상담심리학개론 단원별 직상기출 160제
저자/출판사 : 김형준, 메가스터디교육
쪽수 : 116쪽
출판일 : 2022-11-30
ISBN : 9791167223401
정가 : 22000

제1영역 직업상담학
1. 직업상담의 개념
2. 기초 상담이론
3. 직업상담의 이론
4. 직업상담의 기법
5. 직업상담 행정

제2영역 직업심리학
1. 직업심리학의 연구
2. 직업심리검사
3. 직업발달이론
4. 직무분석과 직무평가
5. 동기이론과 경력개발
6. 직업과 스트레스




ADHD·자폐 아이를 성장시키는 말 걸기
9791187113614.jpg


도서명 : ADHD·자폐 아이를 성장시키는 말 걸기
저자/출판사 : 혼다 히데오, 이아소
쪽수 : 228쪽
출판일 : 2023-07-10
ISBN : 9791187113614
정가 : 17000

발달장애 아이에게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라고 말해서는 안 됩니다.
발달장애 아이 중에는 부모가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라고 말하면, ‘꼭 사이좋게 지내야 한다’는 강박감이 생겨서, 무엇을 하든 백번 양보하면서 상대에게 자신을 맞추려 드는 아이가 있습니다. 관심도 없는 활동이나, 서툴고 잘 못하는 분야에도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기 위해 자신이 참아야 한다고 생각하며 과잉 적응하는 아이가 나오게 됩니다. 그러면 아이에게 스트레스가 쌓이게 됩니다.
〈2장 발달장애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_ ‘친구와 사이좋게’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 p.58〉 중에서


매일 부모와 자녀 사이의 여러 문제를 상담하다 보면, 자녀를 지나치게 꾸짖게 되어 고민인 부모로부터 ‘내 아이라서 내버려둘 수가 없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습니다. 그럴 때 저는 ‘한번 친척의 자녀를 돌보는 셈 치고 꾸짖어보면 좋습니다’라고 말합니다.
〈3장 발달장애 아이에겐 칭찬·꾸중도 달라야 한다 _ ‘친척 아이를 돌보고 있다’고 생각한다. p.95〉 중에서

아이가 공부와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일 모두를 힘들어하고, 한 번에 양쪽 과제를 해내기 어려운 경우, 이 2가지를 저울질해 공부를 택해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공부는 본인이 하고 싶은 분야를 찾으면 언제라도 시작할 수 있지만, 일상생활에 관한 것들은 뒤로 미룰수록 힘들어지기 때문입니다.
〈4장 발달장애 아이로 산다는 것-상황별 포인트 _ 가능하면 유아기부터 일상생활법을 가르쳐야 한다. p.133〉 중에서

차례

1장 발달장애 아이 키울 때 생각해야 할 8가지
Q1 작은 딸기를 따버린 아이, 어떻게 말해야 할까?
Q2 전등 스위치를 계속 껐다 켰다 하는 아이, 어떻게 말해야 할까?
Q3 자꾸만 돌을 주워 모으는 아이, 어떻게 말해야 할까?
Q4 자꾸 물건을 잃어버리는 아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Q5 집단 놀이에 끼지 않으려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Q6 옷 입기를 힘들어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Q7 혼자 급식을 먼저 먹어버리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Q8 공부가 힘들고 숙제에 시간이 걸리는 아이, 해결책은?

2장 발달장애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발달장애’, 몇 가지 장애의 총칭
질병이라기보다는 ‘소수자 종족’
미디어에 등장하는 발달장애의 위화감
발달장애를 정말로 ‘장애’라고 할 수 있을까?
#그레이란, 화이트가 아니라 희미한 블랙
《미운 오리 새끼》의 백조처럼
‘사회적 카무플라주 행동’을 하는 사람들
그레이 아이는 그레이 성인으로 자라면 된다
발달장애 아이를 잘 키우는 포인트 3가지
‘어떤 성인이 되는가’는 부모의 육아로 달라진다

3장 발달장애 아이에겐 칭찬·꾸중도 달라야 한다

● 발달장애 아이의 칭찬법 : 키워드는 ‘속마음’
아이의 ‘좋아하는 마음’을 알아줄 수 있을까?
AS와 ADH의 특성이 있는 아이 칭찬법
칭찬 포인트 ‘속셈 없이 칭찬할 수 있는가’
‘아이가 하고 싶은 것’과 ‘부모가 시키고 싶은 것’은 다르다

● 발달장애 아이의 꾸중법 : 키워드는 ‘진심’
‘꾸중’에는 크게 3종류가 있다’
‘별도의 문맥’으로 행동 개선법을 가르친다
꾸중 포인트 ‘부모의 진심이 시험대에 오른다’
‘칭찬·꾸중’에서 ‘칭찬·칭찬 안 하기’로
능력 부족은 꾸짖으면 안 된다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4장 발달장애 아이로 산다는 것 - 상황별 포인트
서툰 일은 ‘억지로’ 안 해도 된다
‘자기만의 방식’은 어떻게 익힐까?
공부와 일상생활 중 어느 쪽이 더 중요할까?

● 전편 : 생활 스킬 편
상황별 포인트 ① 몸단장
상황별 포인트 ② 식사
상황별 포인트 ③ 집안일 돕기
상황별 포인트 ④ 정리 정돈
상황별 포인트 ⑤ 분실물(소지품 관리)
상황별 포인트 ⑥ 약속(일정 관리)
상황별 포인트 ⑦ 용돈(돈 관리)
상황별 포인트 ⑧ 수면 부족(건강 관리)
상황별 포인트 ⑨ 매너

● 후편 : 대인 관계·공부·학교 편
상황별 포인트 ⑩ 대인 관계
상황별 포인트 ⑪ 놀이·취미
상황별 포인트 ⑫ 게임
상황별 포인트 ⑬ 스마트폰
상황별 포인트 ⑭ 숙제
상황별 포인트 ⑮ 공부
상황별 포인트 ⑯ 독서
상황별 포인트 ⑰ 운동
상황별 포인트 ⑱ 배우기
상황별 포인트 ⑲ 등교 거부
상황별 포인트 ⑳ 왕따

5장 아이가 행복해지는 발달장애 육아법
‘아이가 즐기고 있는가’를 생각한다
학교 교육도 무리하지 않는 것이 좋다
부모가 생각하는 ‘잘못된 인클루시브 교육’
아이의 강점을 바탕으로 키운다
‘조기 발견·조기 브레이크’가 중요하다
속도를 조절하면 부모도 아이도 편안해진다
특성은 그대로지만 생활의 질이 향상된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