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은 밤 또는 NIGTC 고린도전서(하)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맑은 밤 또는 NIGTC 고린도전서(하)

땅끝
2024-12-18 10:33 136 0

본문




맑은 밤
9788960216891.jpg


도서명 : 맑은 밤
저자/출판사 : 권덕하, 천년의시작
쪽수 : 104쪽
출판일 : 2023-01-02
ISBN : 9788960216891
정가 : 10000

시인의 말

제1부 환한 방

방 13
밤 14
들 15
태엽 16
말동무 17
달무리 18
손금 20
계단에서 기다리는 사람 21
진심 22
빗속 표정들 23
종일 24
먼지 25

제2부 네가 왔다

감꽃 29
봄볕 30
춘몽 31
저녁 바람 32
모레 33
집터 34
뒤란에서 35
신도시 유민 36
전월산 37
가을꽃 38
거울들 39
동지冬至 40

제3부 밤은 늦은 적이 없는데

손길 43
밤의 고시원 44
유문 46
신호등 47
점원들 48
소실점 50
결빙 51
달방 52
산내면 낭월리 골령골 53
인간의 봄 54
거울 이야기 56
전선 57

제4부 사람 눈에 띄지 않는

관점 61
동행 62
조식 63
가시박 64
숙주 65
베네치아 66
빗 67
하룻밤 새 68
한라솜다리 69
그 바람꽃 70
쌀값 71
겨울나기 72

제5부 물가를 걷는 나무들

적벽강 75
지난날이 좋아지도록 76
밤은 영혼을 위해 77
밤마을 78
비전 80
바닥부터 82
넘어진 김에 84
공중 목욕일 85
나들이 86
껌 88
비밀 89
인연 90

해설
오민석 본다는 것의 의미 91




NIGTC 고린도전서(하)
9791161292410.jpg


도서명 : NIGTC 고린도전서(하)
저자/출판사 : 앤서니 C. 티슬턴, 새물결플러스
쪽수 : 1096쪽
출판일 : 2022-11-18
ISBN : 9791161292410
정가 : 60000

약어표  /  1247
주석  /  1257
3. 우상들과 관련된 고기에 관한 질문들에 대한 바울의 대답의 세 번째 부분(10:1-13) 1258
a. 성경의 경고와 모델: “갈망”과 우상숭배(10:1-13) 1261
i. 경고 모델들: 모두 신령한 음식을 먹고 마셨지만, 많은 사람들이 멸망함(10:1-6) 1264
ii. 성경의 경고와 더불어 끌어온 네 가지 본보기(10:7-13) 1284
4. 오직 하나님께만 충성: 주의 만찬에 참여하는 언약적 신실함(10:14-22) 1313
5. 자유와 사랑: 나머지 이슈들과 다시 요약(10:23-11:1) 1361
V. 공적 예배의 질서와 “신령한 은사”를 대하는 태도에서
나타나는 자유, 신분, 상호성 및 타인에 대한 존중(11:2-14:40) / 1390
A.상호 관계와 존중: 공적 예배에서의 남자와 여자, 그리고 주의 만찬에서의
부자와 가난한 자(11:2-34) 1391
1. 상호 관계와 상호성: 자기 존중, 타인 존중, 공적 예배에서의 성 정체성(11:2-16) 1391
2. 공동체로서 주의 죽음을 선포하는 주의 만찬의 특성과 모순되는 “가진 자들”과
“갖지 못한 자들”의 관행(11:17-34) 1471
B. 사랑으로 섬기기 위한 성령의 은사(12:1-14:40) 1554
1. 모든 그리스도인은 “영적이다”: 기독론적 기준(12:1-3) 1563
2. 하나 됨에 기초한 다양성: 하나의 원천에서 오는 다양한 은사(12:4-7) 1597
3. 성령의 은사(12:8-11) 1612
a. “지혜” 또는 “지식”과 관련된 명백하게 표현되는 말(12:8) 1614
b. 특별한 은사로서의 믿음과 다양한 종류의 치유 은사들(12:9) 1625
c. 역동적이며 효력 있는 능력의 행위들(12:10a) 1637
d. “성령에 관한 것”이 무엇인지 분별하기(12:10b) 1658
e. 다양한 종류의 방언과 그것을 이해할 수 있는 말로 통역(12:10c) 1666
i. 천사의 말로서 방언 1671
ii. 다른 언어들을 말하는 기적적인 능력으로서 방언 1672
iii. 전례적이거나 고풍스럽거나 운율적인 표현으로서의 방언들 1680
iv. “무아지경의” 말로서의 방언들 1683
v. 타이센이 제안한 수정: 의식, 무의식, 속박으로부터의 자유(참조. 롬 8:26) 1689
vi. “말로 이루 다 표현할 수 없는 깊은 탄식”과 관련된 (마음속 깊은 곳으로부터 우러나오는)
무의식의 언어로서의 방언들 1691
4. 그리스도의 몸의 이미지와 그 이중적인 수사학적 기능(12:12-30) 1700
전환을 위한 절(12:31) 1757
5. 사랑: 본질적이며 영속적인 기준(13:1-13) 1762
a. 사랑 없이는 모든 “은사”가 무익함(13:1-3) 1771
b. 사랑의 본질과 행동(13:4-7) 1794
c. 사랑의 종말론적인 영속성(13:8-13) 1818
6. 다른 사람들에 대한 사랑과 “예언” 및 “방언들”의 평가와 관련된 올바른 분별(14:1-40) 1842
a. 공동체 전체를 세우기 위한 이해할 수 있는 말(14:1-25) 1851
i. 자기 긍정인가, 다른 사람을 위한 은사인가?(14:1-5) 1853
ii. 알아들을 수 없는 잡음의 무익함: 네 가지 예(14:6-12) 1883
iii. 공적 예배의 정황에서 이해 가능한 의사소통과 지성 사용(14:13-19) 1894
iv. 다른 사람에 대한 사랑으로서의 성숙함: 신자와 외부인을 위한 복음과 가정(14:20-25) 1912
b. 성령은 질서를 조성하는가 아니면 무질서를 조성하는가? 통제된 발언과 공동체
세우기(14:26-40) 1932
i. 일반적인 원리와 다양한 사례에 대한 실천적인 적용(14:26-33a) 1934
ii. 하나의 특별한 사례(14:33b-36) 1957
iii. 특별한 경고와 일반적인 권면(14:37-40) 1983
VI. 죽은 자들의 부활(15:1-58) / 1994
A. 그리스도의 부활의 실재(15:1-11) 2013
B.부활을 부인하는 것이 초래하는 끔찍한 결과들: 첫 번째 논박과 확증(15:12-34) 2065
1. 부활 개념 자체를 부인하는 끔찍하고 달갑지 않은 결과들: 첫 번째 논박(15:12-19) 2065
2. 현재의 삶과 기독교 신자들을 위한 종말론적인 약속의 기초로서 그리스도의 부활:
첫 번째 확증(15:20-34) 2078
C.“몸의 부활”은 어떻게 이해하고 상상할 수 있을까? 두 번째 논박과
확증(15:35-58) 2136
VII. 기타 관심사(16:1-24) / 2227
A. 하나님의 백성을 위한 모금(16:1-4) 2230
B. 여행 계획(16:5-12) 2245
C. 마지막 권면 및 작별 인사-맺는말(16:13-24) 2257
성구 색인  /  2290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