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강달러 시대, 돈의 흐름 또는 환태평양 도시연구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초강달러 시대, 돈의 흐름 또는 환태평양 도시연구

땅끝
2024-12-18 10:33 170 0

본문




초강달러 시대, 돈의 흐름
9791192730356.jpg


도서명 : 초강달러 시대, 돈의 흐름
저자/출판사 : 홍재화, 포르체
쪽수 : 208쪽
출판일 : 2023-04-12
ISBN : 9791192730356
정가 : 18000

들어가며 경제 불황,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가

Chapter 1 경제 불황이 시작되고 있다

불황은 계속 이어진다
암울한 경제 전망과 달러 강세
경제 불황이 올 수밖에 없는 이유

착한 기업이 돈 버는 시대?
인류 생존의 문제
ESG에 따른 비용 증가
글로벌 ESG 표준이 필요하다
계속되는 경제 침체

탈세계화와 우리나라 경제
세계 무역 규모 감소
미·중 무역전쟁
미·중 기술전쟁, 새로운 안보전쟁
공급망의 재구성, 중국+α

강달러 시대, 수축하는 글로벌 경제
당분간 경기 회복은 없다
금리, 낮지만 감당하기 어려운
거품 붕괴냐 지속이냐?

Chapter 2 달러, 국제 금융의 중심

환율을 알아야 하는 이유
강달러와 초강달러는 어떻게 구분하는가?
원화와 달러인덱스의 관계
왜 미래 환율을 알아야 하나?
세계는 달러 중심으로 재편된다

달러는 기축통화를 유지할 수 있을까?
기축통화는 왜 달러여야 하는가
미국이 달러 독점의 기축통화 질서를 유지하는 이유
예상치 못한 달러 기축통화 시스템 붕괴

도전받는 기축통화, 달러 vs 위안화
달러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사우디의 석유를 위안화로 지불한다면?
왜 중국은 달러를 공격할까?
달러 패권의 전망

왜 달러는 계속 강세인가?
달러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
달러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공급은 줄고 수요는 늘고

세계는 계속 달러를 원한다
무너지는 경제체계
헬리콥터 머니, 새로운 종말의 시작
달러는 양날을 가진 칼
자원 비용의 증가
안전자산의 선호

강달러 시대와 4가지 시나리오
실물경제가 나아져야 한다
미 연준이 금리 인상을 멈출 때까지
미국 정부의 달러 부채가 감소할 때까지
미국 무역 적자가 다시 늘어날 때까지
제3의 기축통화가 나올 때까지

Chapter 3 기회는 위기의 탈을 쓰고 온다

대한민국 경제의 4가지 변수
4개의 변수가 한국에 미칠 영향은?
코로나 바이러스: BC와 AC
글로벌 무역환경
무역환경에 대한 대응

코로나 이후 변화된 한반도 상황
코로나19와 글로벌 경제
글로벌 생산방식의 변화
불확실성과 남북 관계의 변화

반복되는 미국발 금융위기, SVB 사태
금융위기, SVB 파산의 이유
SVB발 금융시스템 위기
금융시스템 위험, 예방은 가능한가?
최선의 방책을 마련해라
달러 기축통화 시스템에 주는 영향
기업 대책

코로나 이후 한국의 미래
최상의 기회와 활용
충분한 극복 가능성
좋은 기회를 살려야 한다
모두가 불행하지만, 서로의 불행을 즐긴다
늘어만 가는 정부 부채 버블

강달러 시대, 한국이 가야 할 길
그렇다면 우리 사회는 어떨까?
한국의 기회와 위협

강달러 시대의 기업 경영
미국과 중국의 디커플링 대비
디지털을 과신하지 마라
재고 자산의 확보
환율 연동 가격
한국은 좁고 세계는 넓다

강달러 시대의 자기 계발
기회는 많다
무리하지 마라
부지런히 읽어라
자기 홍보에 최선을 다하라




환태평양 도시연구
9791169834667.jpg


도서명 : 환태평양 도시연구
저자/출판사 : 노용석 , 현민 , 정호윤 , 박명숙 , 문기홍 , , 이담북스
쪽수 : 319쪽
출판일 : 2023-07-31
ISBN : 9791169834667
정가 : 20000

서문: 환태평양 도시연구: 횡단과 연계의 탐색

1장 샌프란시스코: 19세기 말-20세기 초 태평양 관문도시의형성과 연계성
Ⅰ. 서론
Ⅱ. 태평양의 세계해상 무역망으로의 통합
Ⅲ. 골든게이트 그리고 관문도시 샌프란시스코의 형성
Ⅳ. 결론
참고문헌

2장 로스앤젤레스: 태평양 연계의 확대와 횡단의 꿈
Ⅰ. 서론
Ⅱ. 태평양 연계의 확장: 철도의 태평양으로의 연계
Ⅲ. 자유항으로서의 로스앤젤레스 항구의 건설과 성장
Ⅳ. 태평양 물류 중심지로의 부상 그리고 태평양 횡단의 꿈
Ⅴ. 결론
참고문헌

3장 베라크루스: 대서양-태평양 연계의 관문도시 형성
Ⅰ. 서론
Ⅱ. ‘신세계’로의 이주와 물류 이동
Ⅲ. 대항해시대 대서양과 태평양을 이어주는 관문도시 베라크루스
Ⅳ. 베라크루스의 도시형성
Ⅴ. 결론
참고문헌

4장 하와이: 환대H(ospitality)와 적대(Hostility)가 공존하는 공간
Ⅰ. 서론
Ⅱ. 환대(hospitality)의 도시 호놀룰루
Ⅲ. 환대의 이면에 숨겨진 적대(hostility): 관광도시와 다문화 내러티브 이면의 군사주의와 식민주의
Ⅳ. 결론
참고문헌

5장 시드니: 호주의 환태평양 관문도시
Ⅰ. 서론
Ⅱ. 호주의 환태평양 관여 논의
Ⅲ. 대영제국 식민지의 관문도시
Ⅳ. 호주의 이주 정책과 이주 관문도시로서의 시드니
Ⅴ. 호주의 환태평양 연계성에서 이주와 도시의 역할
Ⅵ. 결론
참고문헌

6장 싱가포르: 제국의 관문도시에서 세계의 관문도시로 진화
Ⅰ. 서론
Ⅱ. 세계도시국가
Ⅲ. 제국의 관문
Ⅳ. 세계의 관문도시로 성장
Ⅴ. 결론
참고문헌

7장 광저우: 중국과 세계를 잇는 통로
Ⅰ. 고대 중국의 해상교역항, 광저우
Ⅱ. 초기 글로벌 시대 동서 간 교류와 광저우
Ⅲ. 개혁개방 이후의 광저우
참고문헌

8장 요코하마: 항만과 도시의 연계
Ⅰ. 서론
Ⅱ. 일본 항구의 발전
Ⅲ. 요코하마항의 형성과정
Ⅳ. 항만과 도시로서 요코하마의 공간적 특성
Ⅴ. 결론
참고문헌

9장 부산: 환태평양 항만도시의 성장과 재구조화
Ⅰ. 서론
Ⅱ. 기존 논의
Ⅲ. 항만도시의 성장
Ⅳ. 항만도시의 재구조화
Ⅴ. 결론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