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김다혜 또는 아카데믹 사회학의 계보학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내 이름은 김다혜 또는 아카데믹 사회학의 계보학

땅끝
2025-01-04 07:51 190 0

본문




내 이름은 김다혜
9791138802574.jpg


도서명 : 내 이름은 김다혜
저자/출판사 : 김다혜, 좋은땅
쪽수 : 284쪽
출판일 : 2021-10-10
ISBN : 9791138802574
정가 : 18000

프롤로그

제1장 유년기(1982년~1994년)
1989년 6월 림수경 방북 사건
1993년 3월 준전시상태 선포
1994년 7월 김일성 사망 사건

제2장 청소년기(1995년~2000년)
1998년 6월 정주영 소 떼 방북 사건
2000년 6월 제1차 남북정상회담

제3장 20대 청년기(2001년~2008년)
2002년 7월 7.1 경제개혁조치
2004년 2월 독일의 소고기 지원
2006년 10월 북한의 제1차 핵실험
2007년 10월 제2차 남북정상회담
2009년 11월 북한의 화폐 개혁

제4장 북한 탈출기(2009년~2012년)

제5장 대한민국 정착기 Ⅰ(2012년~2016년)

제6장 대한민국 정착기 Ⅱ(2017년~2018년)
2018년 4월 제3차 남북정상회담
2018년 9월 제5차 남북정상회담

제7장 대한민국 정착기 Ⅲ(2019년~2021년)
2019년 8월 남남갈등 점화
2020년 3월 코로나 19 팬데믹 선언
2020년 6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에필로그




아카데믹 사회학의 계보학
9791156122104.jpg


도서명 : 아카데믹 사회학의 계보학
저자/출판사 : 정수복, 푸른역사
쪽수 : 488쪽
출판일 : 2022-01-19
ISBN : 9791156122104
정가 : 31500

책을 펴내며

1부 이상백과 한국 사회학의 제도화
1. 이상백에 대한 선행 연구
2. 이상백과 한국 사회학의 제도화
3. 이상백이 구상한 사회학
4. 이상백과 동시대의 사회학자들
5. 이상백이 한국 사회학을 제도화 할 수 있었던 이유
6. 이상백의 일본 체육계 활동이 갖는 의미
7. 이상백의 학문적 유산
8. 이상백과 그의 후예들

2부 배용광과 대구ㆍ경북의 사회학
1. 대구ㆍ경북 사회학의 창건자 배용광
2. 배용광과 한국 사회학의 제도화
3. 배용광의 학문적 자세
4. 배용광의 학문적 성과
5. 배용광의 사회적 활동
6. 배용광 사회학의 비판적 계승

3부 이만갑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형성
1. 이만갑과 한국 사회학
2. 이만갑의 지적 형성 과정
3. 일본 사회학에서 미국 사회학으로
4. 이만갑 사회학의 전개
5. 이만갑의 사회 활동
6. 이만갑 사회학의 비판과 계승

4부 이해영과 아카데믹 사회학계의 형성
1. 이해영의 사회학사적 위치
2. 이해영의 지적 성장 과정
3. 이해영 사회학의 전개
4. 이해영의 사회적 활동
5. 이해영 사회학의 비판적 계승

5부 김경동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주류화
1. 아카데믹 사회학의 대표, 김경동
2. 김경동 사회학의 내부 구성
3. 김경동의 삶과 글쓰기
4. 김경동 사회학의 기여와 한계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