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풍경 수채화 컬러링북 또는 불투명성의 현상학
땅끝
2024-12-18 10:33
180
0
본문
유럽 풍경 수채화 컬러링북

도서명 : 유럽 풍경 수채화 컬러링북
저자/출판사 : 정진호, 한빛라이프
쪽수 : 148쪽
출판일 : 2023-01-05
ISBN : 9791190846554
정가 : 17500
프롤로그
이 책의 구성
Chapter 1. 수채화 컬러링을 시작하기 전에
1. 마음가짐
2. 수채화 이해하기
수채화의 특징│수채화 기법│수채화 컬러링을 쉽고 예쁘게 완성하는 방법
3. 준비하기
Chapter 2. 채색하는 방법
체코 마리오네트 인형
포르투갈 루스터
러시아 마트료시카
영국 런던 버스
스위스 빅토리녹스 칼
스웨덴 달라 호스
네덜란드 나막신
그리스 이블 아이
폴란드 그릇
프랑스 어린 왕자 파우치
스위스 케이블카
그리스 산토리니
핀란드 카페 우르술라
독일 로텐부르크
슬로베니아 블레드 섬
포르투갈 리스본 트램
영국 런던 타워 브리지
프랑스 몽생미셸
튀르키예 아야 소피아
오스트리아 할슈타트
이탈리아 피렌체 대성당
체코 체스키 크룸로프
덴마크 코펜하겐 뉘하운
스페인 바르셀로나 구엘 공원
Chapter 3. 컬러링 시작하기
불투명성의 현상학

도서명 : 불투명성의 현상학
저자/출판사 : 조광제, 그린비
쪽수 : 296쪽
출판일 : 2023-02-10
ISBN : 9788976826992
정가 : 19800
책머리에 - 4
1부 불투명한 심연의 존재, 감각 사물
§1. 감각 사물에의 이력 - 13
§2. 심연의 불투명성, 또는 불투명한 심연 - 20
§3. 절대 이성에 따른 존재와 인식의 명증 - 26
§4. 실현 불가능한 이성의 욕망 - 33
§5. 칸트가 제시한 불투명한 심연의 존재 - 42
§6. 불투명성의 근원, 감각 사물의 영토 - 59
§7. 감각 자체와 더불어 지각되는 개별 사물을 무시한 사유들 - 71
§8. 감각 사물 - 84
2부 불투명성의 현상학
I. 후설: 불투명성의 실마리 - 97
§1. 후설의 명증성 원리 - 98
1) 후설의 명증성 정의 - 99
2) 충전적 명증성과 필증적 명증성 - 104
§2. 후설의 명증에 대한 물음 - 107
§3. 후설의 고뇌 - 110
§4. 원인상의 원초적인 불투명성 - 114
§5. 후설의 두 얼굴: 명증한 본질 필연의 세계와 불투명한 개별 착종의 생활세계 - 119
II. 하이데거: 존재의 불투명성 - 123
§1. 존재의 불투명성과 이해 - 124
§2. 현존재의 존재인 마음 씀과 존재의 불투명성 - 129
§3. 불안과 무를 통한 존재의 불투명성 - 134
§4. 불투명한 존재의 근원적 불투명성을 견뎌 내는 방책, 시작(詩作) - 140
III. 마르셀: 내 몸에서 열리는 신비 존재의 불투명성 - 145
§1. 불투명성의 형이상학 - 146
§2. 신비의 불투명성 - 163
IV. 사르트르: 주체의 투명성과 존재의 불투명성 - 167
§1. 존재의 근원적 우연성과 불투명성 - 169
§2. 의식의 대자존재성과 절대적 투명성 - 175
§3. 존재의 불투명성과 의식의 투명성 사이의 완전한 균열 - 179
§4. 즉자의 끈적끈적함, 충동 - 183
V. 메를로-퐁티: 몸과 살의 불투명성 - 187
§1. 존재 본질적 차이에 의한 몸의 불투명성 - 188
§2. 몸의 불투명성을 드러내는 개념들 - 191
§3. 살의 불투명성에 의한 존재론적인 전복 - 199
VI. 레비나스: 타자와의 관계의 불투명성 - 209
§1. 존재의 익명성 - 211
§2. 존재로부터의 존재자의 발생 - 히포스타시스(hypostasis) - 221
§3. 빛과 이성에 대한 비판 - 226
§4. 고통과 죽음의 타자성 - 228
§5. 타자와 타인 - 231
§6. 에로스적 공동체 - 236
§7. 마무리 - 238
VII. 리쾨르: 텍스트 세계의 불투명성 - 241
§1. 텍스트를 통한 주체의 매개적인 자기 이해 - 244
§2. 텍스트에서의 거리 두기 - 249
§3. 텍스트에 앞에서의 자기 이해의 전유 - 253
§4. 리쾨르의 신적 불투명성 - 257
VIII. 데리다: 현전과 부재 너머의 불투명성 - 261
§1. 후설의 의미 현전에 대한 비판 - 263
1) 현전 문제의 시발 - 263
2) 후설의 의미론 - 266
3) 후설의 기호론 - 268
§2. 후설의 음성 중심주의에 대한 데리다의 비판 - 272
§3. 데리다의 근원 문자의 비현전 - 275
§4. 데리다, 부재의 불투명성 - 278
3부 불투명성, 심연 그리고 충동
§1. 탈-도구의 환원, 절대적 잉여인 감각 사물 - 285
§2. 감각 사물과 뇌 - 289
참고문헌 - 293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