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임 머신 또는 서울특별시 3
땅끝
2024-12-18 10:33
164
0
본문
셰임 머신

도서명 : 셰임 머신
저자/출판사 : 캐시 오닐, 흐름출판
쪽수 : 320쪽
출판일 : 2023-03-23
ISBN : 9788965965633
정가 : 18500
서론: 존중이 사라진 사회, 혐오가 먹고사는 법
1부 수치심은 돈이 된다
1. 비만: 뚱뚱하다는 죄
인생의 첫 좌절 경험이 주는 것
비만에 관한 편견
다이어트를 한 번만 하는 사람은 없다
불행 포르노를 즐기는 사람들
점점 어려지는 다이어터 연령
2. 약물 중독: 낙인찍기와 책임 회피
마약과의 전쟁과 희생양
공감의 부재로 벌어진 마녀사냥
낙인찍기에서 벗어나는 건 왜 개인의 몫인가
질병으로 먹고사는 기업들
제약회사의 대국민 사기극
갱생 불가라는 낙인, 버려진 중독자들
공공연한 인권 유린 치료
3. 빈곤: 복지제도에 빌붙는 존재들
빈곤층은 게으르다는 서사
만연하고 당연한 밑바닥 혐오
가난 구제 정책의 명암
누구를 위한 고용센터인가
가난한 유전자는 없다
4. 외모: 코르셋을 권하는 사회
원초적 두려움을 자극한 광고
인플루언서 산업이 커지는 이유
젊음을 향한 열망과 노화 혐오
존엄성 회복으로 수치심 산업에 맞선다
2부 혐오는 어디서 시작하고 확산되는가
5. 사이버 불링: ‘좋아요’, ‘공유하기’가 낳은 마녀사냥
SNS 사진 한 장의 파급력
내 타임라인은 세상의 전부가 아니다
SNS에 개인정보가 박제된다는 것
소셜 미디어라는 시험대가 낳은 과시욕
6. 차별: 인종과 성 지향성 인식의 변화
구시대적 사고를 향한 정의 구현
온라인 사상검증의 모순
백인의 인지부조화
인종차별은 어떻게 합리화되는가
누군가에겐 나도 악플러다
특권층의 피해의식
표현의 자유 아래 이뤄진 배척
7. 인셀: 피해의식과 폭력성의 발현
인셀의 탄생
허무주의가 낳은 피해망상
선동가는 결속력을 강화한다
이탈자가 생기면 광신도가 늘어난다
히키코모리 현상
해로운 커뮤니티에 빠지는 이유
3부 정의감은 어떻게 무기가 되는가
8. 공공 에티켓: 팬데믹과 마스크
에티켓을 강제하는 것은 정당한가
하지 않을 자유를 뛰어넘는 마스크 대란
공공장소 흡연에 관한 시대의 흐름
백신 개발에 이용된 사회적 약자
사회적 공포 조장이 백신 거부를 낳았다
9. 권력과 저항: 촛불집회, 미투 운동, 부당해고
시민의 죽음이 불러온 촛불집회
식민지 국민의 저항운동 전략
사회를 바꾸는 것은 강한 목소리다
무해한 학생이 벌인 시위의 파급력
전 세계에서 일어난 미투 운동의 시작
자기 자리를 위협당한다고 느끼는 남성들
거대 기업이 부당해고를 하는 방법
10. 자아존중감 극복의 굴레
건강보다 체중감량에 더 반응하는 사람들
수치심은 극복할 수 있는 문제인가
수치심을 다스리는 법
결론: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하는가
미주
서울특별시 3

도서명 : 서울특별시 3
저자/출판사 : 홍찬선, 스타북스
쪽수 : 152쪽
출판일 : 2023-04-20
ISBN : 9791157956913
정가 : 12000
시인의 말
서시-세 번째 ‘서울특별詩’를 엮으며
제1부, 나는 오늘도 청와대 간다
청와대, 국민의 품으로 돌아오다 | 나는 오늘도 청와대 간다 |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 | 영부인 초상화 | 칠백 살 주목의 말씀 | 미남불의 꿈 | 녹지원 반송 | 만세동방 약수터 | 법흥사 터에서 | 국민을 향해 총을 쏘았다 | 궁정동 수수께끼 | 121 소나무 | 지공도사의 자존심
제2부, 서울역의 꿈
서울역의 꿈 | 서소문아파트 | 서대문형무소에 가려면 | 헌법재판소 백송이 말하기를 | 이화장은 문이 닫혀 있다 | 피맛골 사랑 | 화신백화점을 아시나요? | 서울시의회의 부활 | 서울도서관 | 남대문 도깨비시장 | 율곡로 | 전쟁기념관 형제의 상 | 이태원길 | 벨기에영사관의 변신 | 한글박물관 | 경찰기념공원 | 새남터의 삶 | 서울함공원의 평화 | 사상계 만들던 곳 | 진관사 만남 | 보구녀관 김점동 | 마로니에공원 | 신촌역이 아프다 | 용양봉저정 수수꽃다리 | 63빌딩의 설렘 | 정지용초당터에서 | 문화비축기지의 향기 | 이어령길 | 보안여관의 변신 | 고척돔에 피는 꽃
제3부, 광화문광장 다시 열리다
다시 열린 광화문광장 | 새꿈어린이공원 | 삼각지 옛집국수 | 별빛내린천 오리가족 | 염천교에서 | 홍제천 길 | 백사실계곡 | 장충단공원의 안개 | 시인통신의 통신 | 어린이들이 행복한 광화문 마당 | 라온하제 |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고 | 서울로7017 | 넝쿨내의 괴물 | 강남역4거리 물바다 | 대련집 비망록 | 도미부인의 눈물 | 좌청룡 용마산 | 광화문집 | 수색역 연가 | 남학동 25번지 | 구두닦이 | 산타는 오지 않았다 구룡마을에 | 주자파출소를 아시나요 | 서울대학교에 ‘서울대학교’가 없다
제4부, 윤동주 시공원
윤동주 시공원 | 르메이에르종로타운 B동 1416호 | 삼일로창고극장 | 사랑의 열쇠 | 너븐나루다리 | 문정희 시인길 | 솔고개마을 | 피맛골의 흡혐연 | 관철동 바람 | 서울책방 | 국립중앙도서관 옛터 | 김대중도서관 | 달맞이봉 | 학원공화국 | 테헤란로 | 강재구와 선우경식 | 이태원 119-7 | 방배그랑자이 놀이터 | 봉천동 1519-3 | 젊음의 거리 | 길상사 수녀 | 신고서점 | 도봉산 Y계곡 | 도봉산장 할머니 | 신랑각시바위 | 시흥동 은행나무 | 남북사랑학교 | 일자산의 하소연 | 장희빈 우물터 | 용마산 곤줄박이
종시-사병묘역에서 채명신 장군을 만나다
평설-홍찬선은 역사주의와 현장주의로 서울을 시詩의 수도로 완성하였다/민윤기
자료-〈서울특별詩〉 1,2 contents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