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 또는 백천 문두언 평전
땅끝
2025-01-04 07:51
179
0
본문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

도서명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
저자/출판사 : 한국역사연구회, 현북스
쪽수 : 384쪽
출판일 : 2022-01-03
ISBN : 9791157412891
정가 : 22000
1. 농업과 시장교환
조선 인구가 1천만 명을 넘어선 시기는 /고동환
서울의 장사꾼들 /이욱
돈 한 냥의 가치와 물가의 변동 /이헌창
장돌뱅이, 조직을 결성하다 /조영준
역관들이 무역으로 거부가 되었다는데 /김경란
광산으로 몰려드는 사람들 /오수창
하얀 작은 황금, 소금의 생산과 세금 이야기 /김의환
농사는 어떻게 지었나 /김건태
농민의 하루살이와 한해살이 /염정섭
농민이 두레를 만든 까닭 /이해준
농민의 조세 부담 /김성우
2. 문화와 놀이
격조 있는 읽기, 쓰기, 보기 /오항녕
조선시대 사람들의 패션 감각 /이민주
조선시대의 식생활과 음식 문화 /정연식
술과 여행자를 위한 주막 /정연식
조선시대 화원들의 이력서 /신병주
판소리는 과연 민중예술이었나 /정재훈
아이들도 왕도 신나는 장치기 놀이 /심승구
3. 전쟁과 재난
임진왜란, 영웅이 아니었던 사람들의 이야기 /김경태
조선 군대는 어떤 무기로 어떻게 싸웠을까 /노영구
조선시대의 군대 생활 /서태원
청나라에 간 조선 시녀들, 조선판 공녀였을까 /장정수
장용영은 어떻게 만들었을까 /박범
오랑캐, 왜구보다 더 무서웠던 역병 /신동원
조선시대 진휼제도는 어떻게 이루어졌나 /원재영
조선시대 화재는 어떻게 예방하고 진압했을까? /최주희
백천 문두언 평전

도서명 : 백천 문두언 평전
저자/출판사 : 문희주 , 문세영 , 문세철, 지식과감성
쪽수 : 319쪽
출판일 : 2021-11-15
ISBN : 9791139201505
정가 : 15000
표지와 축글
축글·서예 현병찬
축시·시인 채바다
축시·시인 김정파
프롤로그: 백천의 호와 평전의 배경
??는 곳 추억
언덕 위에 작은 집
털보 아버지의 옛이야기
??는??? 호연지기
첫 번째 멘토-화사 선생의 모범
자랑스러운 선대 일가들
수신제가치국평천하
아름다운 선조 여채 할아버지
거상의 꿈의 사적
군포막 장군의 사적
전쟁의 쌍곡선
오사카 고학생의 주경야독
일본 아들과 모친의 눈물
이쿠노구 하꼬방 시절
조센징, 닌니쿠 쿠사이!
안녕 오사카, 잘 있거라 이꾸노구!
후시키마루가 세화포에 닿던 날
열아홉 비바리 봄
모친 회갑 날에 불 밝힌 화촉
제이차대전의 징병-첫 번째 위기
두 번째 멘토-한암의 봉산개도
자손 없는 조상 없다!
풍파에 띄운 배
야학교사 중에 받은 선물
보릿고개에 잃은 아들
4.3 풍랑 속에서
4.3의 소용돌이-두 번째 위기
죽창을 들고 온 한밤의 친입자
타향 땅 문평의 봄
여순사건의 풍랑-세 번째 위기
2021, 다시 찾은 문평
광해우 맞으며 새날을 꿈꾸다
명분이냐 실리냐
잊혀진 명절, 우리의 수릿날
붉은 양철집의 추억
부지깽이와 치마폭
입시 돌격대 대장·부태림
교장강습과 영화 「동백 아가씨」
그곳에 서면 등대가 보인다
쌍육년 아리아, 성안 탐방기
청주한씨, 그리운 할머니
고른 화를 생각하라·고성중
둘도 없는 가훈, 시공사
날아 난 돼지 한 마리
트라우마 변주곡
공평한 기회, 희생과 배려
겟물질에 장모의 눈물
우도를 보면 등대가 보인다·박재형
얘야, 빨리 결혼하거라
별거 아닌 것의 확인
산골 마을 이모님의 추억
기다리는 마음
진인사대천명-네 번째 위기
개기모루와 군포막
기록?보관의 달인
김석만 교장 선생님과의 만남
오리를 키운 까닭
백천의 회고-교단 40년
청산에 살리라
백암온천 봄날의 추억
백천부부 상경기
세 번째 멘토-유일한의 유업
이제 죽어도 행복하다
집으로 가자
국화 꽃잎 밟고서
에필로그: 우공이산의 교훈
백천 문두언 자료
백천 문두언의 약보
백천 문두언의 약력
- 하도보통학교 제16회 졸업생 명단
- 제주도 초등교원양성소 (제1회) 수료자 명단
- 백천 문두언의 경력증명(제주도교육청)
- 교직원 이동(전·출입) 상황
백천 문두언 평전의 참고자료
세화마을 스토리텔링
1. 세화마을 리서치를 위한 기본 상황 파악
2. 세화마을 스토리텔링의 주제 선정
3. 세화마을 네 코스 해설?스토리텔링의 실제
4. 세화마을 스토리텔링을 마치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