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방주 또는 동·서양의 언어학사 1: 동양의 언어 연구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광화문 방주 또는 동·서양의 언어학사 1: 동양의 언어 연구

땅끝
2024-12-19 07:52 145 0

본문




광화문 방주
9791167012807.jpg


도서명 : 광화문 방주
저자/출판사 : 황인만, 이든북
쪽수 : 147쪽
출판일 : 2024-03-12
ISBN : 9791167012807
정가 : 11000

시인의 말 | 하피첩 소망 … ………………4

1부 돌섬의 꿈
서시 1 _9
닮고 싶다 _11
들어주다 _12
나도 몽돌 _13
돌섬의 꿈 _14
지우개 _15
명편(名篇) _16
피그마리온 _17
쑥버무리 _18
콩나물 시루처럼 _19
한강 쏘가리 _20
허상 _21
실 _22
봉 잡다 _23
좀 벌레 _24
고백 _25
허물 _26
물이 되어 _27

2부 소중한 사람
서시 2 _29
벌초 _31
태양같이 밝은 님 _32
사친가 _33
소중한 사람 _34
타로점 _35
씨서리 _36
갈비를 뜯으며 _37
알 수 없지만 _38
찔레꽃 _39
떡살구 _40
시시한 행복 _41
진주조개 _42
맥문동 _43
노탱큐 _44
그 꼴 뭐냐 _45
시의 삶 _46
시선(詩仙)이 되어 _47

3부 청개구리와 홍잠자리
서시 3 _49
봄 아씨 _51
배추 모종 _52
밀샘 _53
봄기운 _54
꽃뱀들이 _55
에덴동산 _56
매미의 절규 _57
이유 _58
보살소 _59
까치 집 _60
화법(話法) _61
청개구리와 홍잠자리 _62
구렁이 _63
대나무 3송 _64
가을 서정 _65
고추밭에서 _66
사자 _67

4부 꽃 댕기 미용실
서시 4 _69
전봇대 _71
청도를 다녀왔네 _72
훈민정음 _73
묵향만리(墨香萬里) _74
웃길 _75
옥천 이지당 _76
견제구 _77
풀죽을 먹다 _78
꽃 댕기 미용실 _79
흑비둘기 _80
조나단 가마우지 _81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 _82
까마귀가 웃는다 _83
신 제망매가 _84
감자 심기 _85
시화호수 _86

5부 불굴가비(不屈歌碑)
서시 5 _87
소녀상 _89
불굴가비 _90
항아리 단심 _91
벚꽃 세상 _92
변안열 장군님 편히 쉬소서 _93
추모제에서 _96
광화문 방주 _97
독도 _98
공산성(公山城)에서 _99
낙화암(落花巖) _100
정림사지 5층 석탑 _101
어매 _102
뿌리공원 _103
황금 미라 _104
청와대 구경 _105
석불입상 _106
보문산 장수바위 _107

6부 꿈은 이루어진다

서시 6 _109
산불 _111
혜안(慧眼) _112
한빛탑 _113
축(畜), 출하(出荷) _114
한가위 -115
까마귀가 _116
꿈은 이루어진다 _117
성탄 썰매 _118
꽁초 _119
시조의 정체 _120
K-시조 _121
북어의 민낯 _122
가시의 ‘ㅅ’ _123
갈대의 이유 _124
눈총도 총이 된다 _125
대숲을 지나며 _126
주목하라 주목을 _127

|작품해설|김명호 _128
치열한 탁마 끝에 오는 사물에 대한 사랑 변주곡




동·서양의 언어학사 1: 동양의 언어 연구
9791167427038.jpg


도서명 : 동·서양의 언어학사 1: 동양의 언어 연구
저자/출판사 : 정광, 역락
쪽수 : 500쪽
출판일 : 2024-02-28
ISBN : 9791167427038
정가 : 40000

제1장 고대인도의 범어(梵語) 문법
1. 범어(梵語)와 범자(梵字)
2. 브라미(Brāhmi) 문자의 변천
3. 범어(梵語) 불경의 한역(漢譯)과 실담(悉曇) 문자
4. 파니니 〈팔장〉의 문법 및 음운 연구
5. 범자(梵字)의 문자 교육

제2장 중국의 자학(字學)과 운학(韻學)
1. 시경(詩經)의 연구와 운학(韻學)의 발달
2. 한자음의 반절(反切)과 성운학(聲韻學)
3. 〈용감수경(龍龕手鏡)〉과 불경의 번역
4. 중국어 표기에서 한이문(漢吏文)

제3장 중국 주변 여러 민족의 문자 제정과 언어 연구
1. 일본의 가나(假名) 문자
2. 범자(梵字) 계통의 문자
3. 한자의 변형 문자
4. 북셈(Northern Semitic) 문자 계통

제4장 한글의 창제와 조선어의 음운 연구
1. 세종의 가족과 제정한 훈민정음
2. 새 문자 제정의 동기
3. 세종이 새 문자로 제정한 글자 수효

마치기 Ⅰ―동양 언어학사 고찰의 의의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