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하는 신학 또는 과학저널리즘의 이해
땅끝
2024-12-19 07:52
139
0
본문
질문하는 신학

도서명 : 질문하는 신학
저자/출판사 : 김진혁, 복있는사람
쪽수 : 864쪽
출판일 : 2024-02-27
ISBN : 9791170831044
정가 : 42000
머리말
이 책을 어떻게 사용할까?
I. 하나님과 세계
1부 신학의 정의와 자료
1장 신학의 정의: 신학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
2장 신학의 자료: 신학을 공부할 때 꼭 책이 많이 필요한가?
3장 성서론: 성서, 하나님 말씀인가 인간이 쓴 책인가?
2부 신론
4장 삼위일체론: 어떻게 셋이 하나일 수 있을까?
5장 계시론: 하나님은 어떻게 인간에게 자기를 알려 주시는가?
6장 하나님의 속성: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7장 창조론: 우주는 어떻게 그리고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8장 섭리론: 하나님의 섭리와 인간의 자유는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가?
3부 하나님과 세계
9장 하나님의 뜻: 전쟁과 질병도 하나님의 뜻인가?
10장 신정론 I: 악과 고통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11장 신정론 II: 선한 하나님께서 만드신 세계에 왜 악이 있을까?
12장 신정론 III: 우리가 고통당할 때 하나님도 괴로워하시는가?
II. 예수 그리스도와 인간
4부 그리스도론
13장 그리스도론: 1세기 인물인 예수 그리스도를 어떻게 알 수 있는가?
14장 예수의 생애와 사역: 나사렛 예수는 누구이시며 어떻게 사셨는가?
15장 성육신과 부활: 그리스도인이 믿는 가장 큰 기적은 무엇인가?
16장 속죄론: 한 인간의 죽음이 어떻게 다른 인간들을 구원하나?
5부 인간론
17장 하나님의 형상: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18장 영혼과 몸: 인간은 무엇으로 만들어져 있나?
19장 욕망론: 하나님께서는 왜 탈 많은 욕망을 만드셨는가?
20장 죄론: 죄를 강조하는 그리스도교는 비관론인가?
21장 타락과 원죄: 왜 아담 때문에 우리까지 심판받아야 하는가?
6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인간
22장 칭의와 그리스도인의 삶: 믿음으로만 의로운 인간이 될 수 있는가?
23장 용서의 은혜: 인간과 세계를 온전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24장 종교예술: 예술가는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어떻게 묘사할 수 있는가?
III. 성령과 공동체
7부 성령론과 교회론
25장 성령론 I: 오순절에 오신 성령 하나님은 누구신가?
26장 성령론 II: 성령께서는 교회와 세상에서 어떤 일을 하시는가?
27장 성령의 은사: 성령 충만한 삶이란 어떤 것인가?
28장 교회론 I: 교회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
29장 교회론 II: 왜 그리스도인이 되려면 교회에 속해야 하는가?
8부 교회에서의 삶
30장 성례론: 말씀 중심의 개신교에서 성례가 여전히 중요한가?
31장 세례: 그리스도인이 되려면 왜 세례를 받아야 하는가?
32장 성찬: 빵과 포도주를 먹는 게 그리스도인에게 꼭 필요한가?
33장 기도: 전능하고 전지한 존재에게 왜 기도를 해야 하는가?
9부 종말론
34장 종말론 I: 현재의 삶 너머에는 과연 무엇이 있을까?
35장 종말론 II: 그리스도인은 종말을 왜 기다려야 하는가?
36장 안식일, 그리스도인에게도 여전히 중요한가?
후기(後記)
주(註)
과학저널리즘의 이해

도서명 : 과학저널리즘의 이해
저자/출판사 : 진달용, 한울아카데미
쪽수 : 288쪽
출판일 : 2024-03-25
ISBN : 9788946081611
정가 : 20000
제1부 현대사회에서의 과학 저널리즘
제1장 과학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1. 논의의 출발점
2. 과학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3. 과학 저널리스트는 누구인가
4. 과학 저널리즘의 목표
5. 뉴스원으로서 과학
6. 과학 저널리즘에서 뉴스의 가치 기준
7. 책의 주요 내용과 특징
제2장 과학 저널리즘의 역사
1. 서론
2. 저널리즘의 역사
3. 현대 과학 저널리즘의 역사
4. 한국의 과학 저널리즘 역사
5. 결론
제3장 현대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와 전망
1. 서론
2.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 구조적 요인
3.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 내부 요인
4. NASA 우주 프로그램과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
5. 현대 과학 저널리즘의 과제
6. 결론
제2부 과학 저널리즘 실행
제4장 과학 저널리즘 이론
1. 서론
2. 저널리즘 이론 일반
3. 최대 효과 이론
4. 최소 효과 이론
5. 현대 미디어 효과 이론
6. 공론장(Public Sphere) 이론
7. 결론
제5장 전문가로서 과학자의 역할
1. 서론
2. 과학자,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3. 과학적 지식과 과학적 전문성
4. 과학자와 저널리스트의 관계
5. 과학적 전문성의 설득적·합법적 이용
6. 결론
제6장 과학 저널리즘 윤리
1. 서론
2. 현대 저널리즘의 주요 윤리 이슈들
3. 윤리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4. 황우석 사태와 과학 저널리즘 윤리
5. 결론
제3부 뉴미디어 시대의 과학 저널리즘
제7장 빅데이터와 과학 저널리즘
1. 서론
2. 빅데이터의 기원과 정의
3. 빅데이터 시대의 과학 저널리즘 규범
4. 빅데이터 시대의 저널리즘
5. 빅데이터 시대의 저널리즘 교육
6. 빅데이터 시대의 윤리 문제
7. 결론
제8장 위험보도와 과학 저널리즘
1. 서론
2. 위험 주관성의 소통
3. 미디어 담론과 프레임
4. 위험보도에서 바람직한 방송 미디어의 역할은 무엇인가
5. 경주 방폐장 선정 시 위험보도 형태
6. 결론
제9장 디지털 플랫폼 시대의 과학 저널리스트 재교육
1. 서론
2. 과학 저널리즘 재교육의 인식
3. 과학 저널리즘 대학원 커리큘럼 국제 비교
4. 과학 저널리스트 재교육의 유사성과 차이점
5. 저널리즘 재교육에 대한 과학 저널리스트의 관점
6. 결론
제10장 과학 저널리즘의 미래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