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 속의 한국근현대사 또는 비정상체중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세계사 속의 한국근현대사 또는 비정상체중

땅끝
2024-12-19 07:52 172 0

본문




세계사 속의 한국근현대사
9788949967738.jpg


도서명 : 세계사 속의 한국근현대사
저자/출판사 : 박찬승 , 이승일 , 김지형 , 김민석 , 김보영 ,, 경인문화사
쪽수 : 540쪽
출판일 : 2024-01-22
ISBN : 9788949967738
정가 : 29000

서문
프롤로그 한국사 속에 세계사가 있고, 세계사 속에 한국사가 있다

1부 제국주의 세력의 침략과 근대한국의 개혁
제1장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개항
세계사의 흐름 : 16세기 이후 서구의 해외팽창과 동아시아 진출
1. 전통시대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해금 정책
2. 서구 열강의 동아시아 침략과 천하질서의 동요
3. 흥선대원군의 집권과 대내외 정책
4. 조일수호조규 체결과 서양 각국과의 수교

제2장 개화파와 갑신정변
세계사의 흐름 : 19세기 국민국가로의 세계사적 전환
1. 개화파의 형성
2. 초기 개화정책의 추진과 신사척사운동
3. 임오군란
4. 갑신정변

제3장 동학농민전쟁
세계사의 흐름 : 제국주의 침략과 아래로부터의 대응
1. 19세기 사회경제적 변화와 농민항쟁
2. 동학의 창도와 확산
3. 교조신원운동과 척왜양운동
4. 제1차 봉기와 집강소
5. 제2차 봉기와 농민군의 패배
6. 동학농민전쟁의 주체와 지향

제4장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세계사의 흐름 : 유럽의 팽창과 삼국간섭
1. 청일전쟁
2. 갑오개혁

제5장 대한제국과 독립협회
세계사의 흐름 : 식민지 쟁탈경쟁과 중국의 반식민지화
1. 대한제국의 수립
2. 독립협회 운동
3. 황제권 강화와 황실 중심의 근대화정책

제6장 러일전쟁과 일본의 한국 병합
세계사의 흐름 : 제국주의 세력의 만주와 한반도 침략 경쟁
1. 러일전쟁과 일본군의 한반도 주둔
2.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와 열강의 지원
3. 통감부 설치와 내외정의 장악
4. 일본의 병합조약 강요

제7장 국권회복운동에서 입헌정체 신국가 건설운동으로
세계사의 흐름 : 사회진화론과 입헌정체론의 동아시아 확산
1. 자강 운동
2. 항일 의병전쟁
3. 근대 한국민족주의의 등장
4. 입헌정체 신국가 건설운동


2부 일본제국주의의 지배와 민족해방운동
제8장 1910~20년대 일제의 식민지배정책
세계사의 흐름 : 식민정책의 두 논리, 동화와 차별
1. 1910년대 식민지배 체제의 정비와 무단통치
2. 1920년대 문화통치로의 전환과 친일세력 육성정책
3. 조선총독부의 경제정책
4. 일제의 사회·문화 정책


제9장 1930년대 이후 일제의 침략전쟁과 인력・물자수탈
세계사의 흐름 : 대공황과 파시즘의 유행
1. 일본의 침략전쟁과 총동원체제의 구축
2. 황민화정책
3. 물자와 인력의 수탈

제10장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세계사의 흐름 : 제1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파리강화회의의 민족자결주의
1. 1910년대 국내외 민족운동
2. 3·1운동의 전개와 의의
3.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제11장 1920년대 국내와 만주지역의 민족해방운동
세계사의 흐름 : 워싱턴체제와 일본의 팽창정책
1. 국내 민족주의운동
2. 의열단과 의열투쟁
3. 사회주의운동과 조선공산당
4. 민족협동전선 신간회
5. 만주지역의 무장투쟁

제12장 1930년대 이후 국내와 만주, 중국 관내의 민족통일전선운동
세계사의 흐름 : 세계대공황과 ‘만주사변’, 중일전쟁, 제2차 세계대전
1. 조선공산당 재건운동과 국내 민족해방운동
2. 만주 항일무장투쟁
3. 중국 관내 통일전선운동

제13장 사회운동의 성장
세계사의 흐름 : 전세계 사회운동의 전개
1. 노동운동
2. 농민운동
3. 청년·학생운동
4. 여성운동
5. 형평운동

제14장 식민지의 일상과 재난
세계사의 흐름 :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등장
1. 식민지의 사람들
2. 달라진 도시와 도시의 삶
3. 신여성의 출현과 가정생활의 변화
4. 반복되는 홍수와 가뭄
5. 전염병의 유행


3부 냉전기와 탈냉전기의 남북한
제15장 해방과 분단
세계사의 흐름 : 세계적 냉전 형성과 한반도의 분단
1. 8·15해방과 38선 획정
2. 모스크바삼상회의 결정과 미소공동위원회
3. 분단정부의 수립
4. 이승만 정권 초기

제16장 한국전쟁
세계사의 흐름 : 유엔 창설과 유엔군의 한국전쟁 참전
1. 전쟁의 원인과 배경
2. 전쟁의 군사적 전개과정과 점령지 통치
3. 끝나지 않은 전쟁 : 휴전협상과 정전협정 체결
4. 전쟁의 성격 및 결과와 영향

제17장 이승만 정권과 4·19혁명
세계사의 흐름 : 고착되는 냉전질서
1. 이승만 정권의 장기집권 시도
2. 이승만 정권기의 경제
3. 4·19혁명과 민주당 정권

제18장 박정희 정권기의 경제성장과 저항운동
세계사의 흐름 : 냉전의 균열, 저항의 씨앗
1. 5·16군사쿠데타와 박정희 정권의 탄생
2. 베트남전쟁 파병과 한일회담
3. 유신 체제와 중화학공업화
4. 대중문화의 성장과 저항운동의 대두

제19장 1980년대 한국 사회와 민주화
세계사의 흐름 : 신냉전의 형성과 동아시아 반공연대
1. 한미관계와 남북관계
2. 신군부 쿠데타와 ‘서울의 봄’
3. 5·18민주화운동의 전개와 의의
4. 전두환 정권과 6월 민주항쟁
5. 1980년대의 경제와 사회 변화

제20장 탈냉전기 한국사회의 변화
세계사의 흐름 : 탈냉전, 세계화, G2, IT혁명의 시대
1. 제6공화국 시대의 정치와 사회 변동
2. 세계화, 금융위기 및 대중소비사회
3. 탈냉전과 남북관계의 진퇴

제21장 북한사 Ⅰ : 냉전기의 북한
세계사의 흐름 : 국제 사회주의 진영의 형성과 분화
1. 해방과 북한 정부 수립
2. 한국전쟁과 사회주의체제 성립
3. 유일사상체계 확립
4. 냉전기 북한의 사회와 문화

제22장 북한사 Ⅱ : 탈냉전기의 북한
세계사의 흐름 : 냉전 질서의 해체와 미·중 갈등의 심화
1. 탈냉전과 후계체제의 시작
2. 김정일 시대
3. 김정은 시대: ‘정상국가’로의 길
4. 북한 핵 및 인권 문제의 원인과 전개

에필로그
찾아보기
편저자 및 공동저자 소개




비정상체중
9788932323626.jpg


도서명 : 비정상체중
저자/출판사 : 케이트 맨, 현암사
쪽수 : 352쪽
출판일 : 2024-04-29
ISBN : 9788932323626
정가 : 20000

이 책을 향한 찬사 1
머리말 | 몸무게와 싸우기 15
1장 비만혐오라는 구속복 35
2장 몸을 줄이는 대가 59
3장 역행하는 비너스 88
4장 뚱뚱함의 도덕 해체하기 112
5장 조금 아쉬운 몸매 137
6장 놀랍지 않다 162
7장 가스등 옆의 식사 196
8장 배고픔의 권위 221
결론 미안하지 않음 252
감사의 말 271
주 274
더 알아보기 342
색인 344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