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김은진 스페듀 기출분석집 Vol 2 또는 북한학
땅끝
2024-12-19 07:52
177
0
본문
2025 김은진 스페듀 기출분석집 Vol 2

도서명 : 2025 김은진 스페듀 기출분석집 Vol 2
저자/출판사 : 김은진, 박문각
쪽수 : 456쪽
출판일 : 2024-04-11
ISBN : 9791169878333
정가 : 29000
Part 01. 지적장애
Chapter 01. 지적장애의 이해
Chapter 02. 지적장애의 원인 및 예방
Chapter 03. 지적장애의 특성
Chapter 04.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기본 이해
Chapter 05.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
Chapter 06. 자기결정
Chapter 07. 교과지도 및 기타 교육적 접근
Chapter 08. 사회적 능력 지도의 실제
Part 02. 통합교육
Chapter 01. 통합교육의 이해
Chapter 02. 통합교육의 역사적 배경
Chapter 03.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접근
Chapter 04. 통합학급 교수전략
Chapter 05. 협동학습-보충자료①
Chapter 06. 또래교수-보충자료②
Part 03. 학습장애
Chapter 01. 학습장애의 개념
Chapter 02. 학습장애 진단 모델
Chapter 03.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읽기 교수
Chapter 04.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쓰기 교수
Chapter 05.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학 교수
Chapter 06.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내용교과 교수
Chapter 07. 효과적인 교수방법
Chapter 08. 효과적인 학습전략 프로그램
Chapter 09.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사회성 및 행동 지원
Part 04. 전환교육
Chapter 01. 전환교육의 이해
Chapter 02. 전환교육 모형
Chapter 03. 전환평가
Chapter 04. 전환의 결과: 고용
북한학

도서명 : 북한학
저자/출판사 : 김규빈, 북코리아
쪽수 : 356쪽
출판일 : 2024-02-25
ISBN : 9788963245904
정가 : 20000
머리말
1장 북한을 바라보는 관점
1. 북한학이란
2. 북한학 연구방법
2장 공산주의 이념 도입과 북한 체제 형성
1. 한국의 공산주의자들은 어떻게 나타났을까?
2. 볼셰비키 혁명과 코민테른
3. 해방전 공산주의자 활동(해외, 국내)
4. 해방 정국에서의 공산주의자 활동
5. 소련식(스탈린식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주의 국가 수립
6. 김일성 독재체제(전체주의 국가)로의 전환
3장 주체사상: 북한 체제의 기본이념으로 자리 잡다
1. 북한의 이데올로기: 마르크스주의에서 스탈린식 마르크스-레닌주의
2. 북한의 공산화와 주체사상의 등장
3. 주체사상의 이론적 체계화
4. 주체사상의 사회화(온 사회 주체사상 강화)와 그 한계
4장 정치·권력체계: 북한 특유의 통치체제와 김정은의 권력구도
1. 북한 정치·권력체제
2. 북한 조선로동당
3. 중앙 국가기구(국무위원회, 최고인민회의, 내각, 사법기관)
4. 김정은 체제로의 3대 세습
5장 군사정책과 군사력: 북한은 백만이 넘는 군사력을 왜, 어떻게 유지할까?
1. 공산주의 국가에서의 군(軍)
2. 북한의 전쟁관과 4대 군사노선
3. 북한군의 성격과 조직(북한군 = 당의 군대 = 수령의 군대)
4. 북한군의 병역제도(군 구조 및 병영생활)
5. 북한의 군사전략과 군사력(남북한 군사력 비교)
6. 북한의 군사과학기술과 전략무기
6장 공산주의 경제체제와 북한 경제, 그리고 주민생활
1. 북한이 채택한 공산주의 경제체제
2. 북한 경제정책의 3대 기본노선
3. 북한 경제체제의 변화과정
4. 김정은 시대의 경제개혁
5. 북한경제의 거시 및 부문별 현황
6. 북한 경제의 딜레마
7장 1970년대까지 떵떵거렸던 북한 외교
1. 국가안보 개념
2. 북한의 대외정책과 변천과정
3. 북한의 외교체계 및 외교의 종류
4. 주변 국가들과의 외교관계
8장 핵 및 미사일: 한국은 물론 미국과 맞장 뜨겠다고 만든 전략무기
1. 핵무기가 무엇인가?
2. 핵무기의 종류와 제조과정
3.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정
4. 남북 대화의 진행과 한반도 비핵화 회담
5. 북한 핵문제 및 국제사회와의 핵협상(개요)
6. 제1차 북핵 위기와 제네바 합의
7. 제2차 북핵 위기와 6자회담
8. 제3차 북핵 위기와 미북 정상회담
9장 북한의 교육 및 문화예술: 정말 북한 인민을 위한 교육과 문화예술정책인가?
1. 북한 교육의 지향 방향과 딜레마
2. 북한의 학제
3.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4. 학교생활
5. 북한의 문화예술
10장 통일: 남북한 통일정책과 통일에 대한 비전
1. 통일의 의미와 필요성
2. 분단국 사례를 통해 본 통일
3. 대한민국 정부의 통일에 대한 기본구상과 통일방안
4. 북한의 통일방안
5. 남북한 통일방안 변천과 비교
6. 통일에 대한 의견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