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자 또는 뉴턴과 마르크스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곽자 또는 뉴턴과 마르크스

땅끝
2024-12-19 07:52 118 0

본문




곽자
9791128828096.jpg


도서명 : 곽자
저자/출판사 : 곽징지, 지식을만드는지식
쪽수 : 166쪽
출판일 : 2024-03-29
ISBN : 9791128828096
정가 : 14800

모증과 하후태초가 자리를 함께하다
당시 사람들이 하후태초를 품평하다
허윤의 부인 1
허윤의 부인 2
손수의 처 괴씨가 투기하다
한수가 향을 훔치다
왕여남이 스스로 혼처를 구하다
왕동해가 처음 강남으로 건너가다
왕안기가 동해 태수가 되다
반안인과 하후담이 미려한 용모를 지니다
양준의 두 아들의 우열
왕혼의 부인 종씨가 웃으며 말하다
왕혼의 부인 종씨가 사윗감을 고르다
위개가 구경독에 죽다
왕무자가 손자형을 품평하다
왕이보가 돈을 ‘이 물건’이라 하다’
왕이보의 부인이 재물을 긁어모으다
두예가 연탑에 손님을 앉히다
육사형이 처음 낙양에 들어가다
육사형이 왕무자를 찾아가다
육사형과 육사룡의 우열
만분이 바람을 싫어하다
유도진이 노파에게 보답하다
부풍왕 사마준이 유도진을 대속시켜 주다
주후가 동생 주숙치를 전송하다
주백인이 환무륜을 평하다
왕돈이 모반하자 왕도가 죄를 청하다
치태위가 담론을 몹시 좋아하다
왕승상이 인색하다
왕승상이 스스로 세 현사를 존중하다
왕승상이 양주의 관청을 수리하다
왕승상이 세 현사를 평하다
환정위가 왕승상을 훔쳐보며 감탄하다
왕공이 애첩 뇌씨를 두다
유공의 명성과 지위가 점점 높아지다
왕승상은 영이 있기 전에는 일을 보지 않았다
사공이 동산에서 기녀들과 지내다
사태부가 왕자경을 평하다
치가빈과 유도계의 비교
사안석과 왕문도의 비교
하차도가 왕승상을 찾아가다
하충이 직언하다
하유도가 술을 마시다
유윤이 환온을 평하다
제갈망명의 얼굴에 서창이 생기다
왕우군이 유진장을 평하다
허시랑과 고사공이 밤에 왕승상의 집에 가서 놀다
왕준이 주부에게 말하다
회계왕은 아침노을이 떠오르는 것처럼 훤하다
간문제가 유중초의 시를 암송하다
간문제가 사안남을 평하다
무군장군이 하평숙과 혜숙야를 평하다
간문제가 불경에 대해 말하다
사람들이 회계왕을 멍청하다고 하다
사인조가 색다른 춤을 잘 추다
왕중조가 술기운이 오르자 일어나 춤을 추다
유진장은 내 자신보다 나를 더 잘 안다
왕 장사가 강씨 일족을 평하다
사진서가 상중에 주연을 즐기다
왕 장사가 주미를 돌리다가 탄식하다
범현평이 담론하다 지려고 하다
장빙은 말이 간결하면서도 뜻이 심원하다
허현도가 서주에서 강론하다
양국 양씨의 아들이 매우 총명하다
손안국과 은중군이 함께 담론하다
은호가 양주 자사가 되었을 때
은중군이 폐출당한 뒤에 간문제를 원망하다
유공이 도공을 찾아가다
환정위가 서녕을 칭찬하다
세간에서 유문강과 유치공을 칭찬하다
유도계가 세 사람을 평하다
필무세가 품은 생각을 말하다
환공이 저포 노름을 하다가 원언도에게 도움을 청하다
환대사마가 사공을 바라보며 감탄하다
온공이 위신을 매우 중시하다
손흥공이 조보좌를 평하다
조사소가 왕우군을 평하다
왕승상이 왕람전을 평하다
왕온이 일찍이 남은 쟁반의 식은 구운 고기를 먹다
은중감이 《도덕경》 읽기를 좋아하다
왕불대가 술에 감탄하다
사만이 왕염을 찾아가다
사철이 선비 군자들의 존중을 받다
부평초가 물에 의지하다

곽자 서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뉴턴과 마르크스
9791168612358.jpg


도서명 : 뉴턴과 마르크스
저자/출판사 : 도이 히데오, 산지니
쪽수 : 231쪽
출판일 : 2024-02-05
ISBN : 9791168612358
정가 : 20000

서문

1장 ‘전형적’ 문과에서 ‘전형적’ 이과로-뉴턴과의 만남
1 ‘전형적’ 문과 인간
2 기계치와 수학
3 ‘전형적’ 이과 인간으로의 전환
4 시에 대한 경도와 문과로의 재전환

2장 경제학부 진학과『 자본론』-마르크스와의 조우
1 ‘전형적’ 이과 인간인 채로 문과 학부 입학
2 경제학부 진학과 마르크스 경제학에 대한 관심의 맹아
3 뉴턴 역학을 이해하지 못했던 마르크스

3장 마르크스의 ‘국가’관, ‘과학’관과의 격투
1 『자본론』의 국가관으로는 대응할 수 없는 현실
2 계급대립의 ‘결과’인 고전적 국가로부터 계급대립의 ‘원인’인 현대국가로
3 마르크스의 ‘과학’관과 자연과학의 정합성
4 역사적 법칙의 우선순위

4장 우노 공황론과 대학원 진학
1 우노 고조 『경제원론』의 충격
2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논리’와 ‘역사’의 분석
3 우노 공황론의 공과
4 공황론을 연구하기 위해 대학원 진학 결심

5장 역사에 대한 관심의 부활과 경제사의 벽
1 일본 자본주의 논쟁에 대한 관심의 맹아
2 전후까지 이어지는 일본사회의 특수성과 강좌파
3 전근대사회에 대한 관심의 부활
4 경제사의 벽

6장 다케타니 미츠오의 3단계론
1 다케타니의 ‘실체론’과 모델론
2 다케타니의 ‘실체’와 소립자
3 다케타니의 ‘실체’와 『자본론』의 가치 실체
4 이론사적 연구로 취직

7장 기술의 본질 규정과 문리융합
1 체계설의 빛줄기
2 딱딱한 체계설과 유연한 적용설
3 정보혁명과 기술론
4 ‘제2자연의 운동’으로서의 기술

8장 문과로부터의 문리융합과 이과로부터의 문리융합
1 마르크스 이론의 발전에 의한 문리융합
2 이과로부터 문리융합의 시도
3 자본축적론에 2차 미분 도입
4 빈곤화 법칙과 중간층 문제

저자 후기
역자 후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