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조 시 연구 또는 교육혁신과 인적자본 형성에 관한 연구
땅끝
2024-12-19 07:52
153
0
본문
김남조 시 연구

도서명 : 김남조 시 연구
저자/출판사 : 김옥성 , 김희원 , 신정아 , 양승빈 , 엄영란 ,, 지식과교양
쪽수 : 326쪽
출판일 : 2024-02-01
ISBN : 9788967642051
정가 : 23000
서문
제1장 김남조 시의 실존의식 연구 -1950년대 시를 중심으로 11
1. 서론ㆍ11
2. 전쟁 체험과 불안, 분노 : 『목숨』ㆍ15
3. 자기 응시와 현실 극복으로서의 고독과 참회 : 『나아드의 향유』ㆍ23
4. 고독의 내면화와 성숙의 자아 : 『나무와 바람』ㆍ30
5. 결론ㆍ35
제2장 김남조 시의 ‘막달라 마리아’ 연구 38
1. 서론ㆍ38
2. 죄인 막달라-‘죄성(罪性)’과 ‘애욕(愛慾)’ㆍ42
3. 성녀 막달라-‘막달라 되기’와 개인의 구원ㆍ51
4. 메시아 막달라─‘듣는’ 당신과 공동체의 구원ㆍ62
5. 결론ㆍ69
제3장 김남조 시의 모성 연구 72
1. 서론ㆍ72
2. 모성에 가려져 있던 한 인간으로서의 어머니ㆍ75
3. 삶의 동행자로 나타나는 모성ㆍ83
4. 모성의 대상과 주체의 확장ㆍ89
5. 결론ㆍ96
제4장 김남조 시에 나타난 죽음 인식 98
1. 서론ㆍ98
2. 절망과 애도의 이중주ㆍ102
3. 일상적 순교를 통한 초극 의지ㆍ109
4. 신의 수행, 사랑의 완성ㆍ114
5. 결론ㆍ120
제5장 김남조 시의 생태주의적 상상력 연구 123
1. 서론ㆍ123
2. 전쟁에 대한 위기의식과 생명 공동체 ‘지구’ㆍ126
3. 자연과의 연대 회복을 위한 생태계 역동성ㆍ135
4. 생태계의 인격적 하위 체계로서의 인간과 자연ㆍ146
5. 결론ㆍ156
제6장 김남조 시의 휴머니즘적 사랑 연구 159
1. 서론ㆍ159
2. 기독교적 휴머니즘과 사랑-기독교적 이웃에 대한 기도와 무차별적
사랑ㆍ163
3. 필리아적 휴머니즘과 사랑-‘나-너’의 관계의 상호적 무상의 사랑ㆍ171
4. 사회 참여적 휴머니즘과 사랑-‘슬픔’을 시화한 사회적 관심으로서의
사랑ㆍ179
5. 결론ㆍ187
제7장 막스 피카르트의 침묵 사상을 통한 김남조 후기시의 비움 의식과
침묵의 표상 분석 191
1. 서론ㆍ191
2. 침묵을 통한 용서와 화해의식ㆍ194
3. 비움을 향한 침묵에의 의지ㆍ209
4. 천상적 침묵으로의 입문ㆍ219
5. 결론ㆍ225
제8장 김남조 시에 나타난 ‘밤’의 의미 227
1. 서론ㆍ227
2. 빛이 머무는 생명의 공간ㆍ232
3. 따뜻한 ‘달밤’ : 모성적 안식처ㆍ242
4. ‘영혼’이 소통하는 방ㆍ249
5. 결론ㆍ261
제9장 김남조 시의 ‘아가’ 연구 264
1. 서론ㆍ264
2. 무명(無名)의 ‘아가’와의 동일시-‘잠’의 상상력ㆍ268
3. ‘아가’와 ‘사랑’을 통한 고뇌의 종교적 승화ㆍ278
4. 결론ㆍ288
참고문헌ㆍ291
작가연보ㆍ305
색인(Index)ㆍ312
교육혁신과 인적자본 형성에 관한 연구

도서명 : 교육혁신과 인적자본 형성에 관한 연구
저자/출판사 : 한성민,민인식,이용상,이태석,송헌재,정완교,김진영,저, 한국개발연구원
쪽수 : 384쪽
출판일 : 2023-12-31
ISBN : 9791159327803
정가 : 10000
발간사
요 약
제1부 서 론
제1장 교육의 역할과 방향(한성민)
참고문헌
제2장 사회이동성과 교육혁신의 필요성(민인식)
제1절 연구 배경
제2절 사회이동성의 개념과 측정
제3절 데이터와 변수 설명
제4절 KLIPS 분석 결과
제5절 초중고 사교육비 분석 결과
제6절 소 결
참고문헌
부 록
제2부 초·중등교육의 변화와 혁신
제3장 초·중등교육의 기초학력 진단 시스템 구축 방안(이용상)
제1절 서 론
제2절 기초학력 진단 현황 및 제한점
제3절 기초학력 진단의 해외 사례
제4절 기초학력에 대한 정의와 범위
제5절 기초학력 진단 체계의 설계
제6절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제4장 인공지능 기반 교육의 효과성 분석: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한성민)
제1절 서 론
제2절 선행연구
제3절 아동기 교육투자
제4절 인공지능 교육
제5절 인공지능 기반 교육의 효과성 분석
제6절 분석 결과
제7절 인공지능 기반 교육 도입 및 적용 방안
제8절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제5장 미래 교원양성체계의 발전 방향 모색(이태석)
제1절 서 론
제2절 기존 교원양성체계 발전 논의
제3절 우리나라 및 주요국의 교육 여건, 교원 특성의 변화 추이
제4절 교원수급계획 현황과 발전 방향
제5절 국제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분석
제6절 소 결
참고문헌
제3부 혁신 인적자본 생태계 구축을 위한 고등교육의 전환
제6장 전공 교차지원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송헌재)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제도 및 선행연구
제3절 분석 자료 및 방법
제4절 분석 결과
제5절 정책적 시사점
제6절 결 론
참고문헌
제7장 고등교육의 전공교육과 노동시장 내 성과(정완교)
제1절 서 론
제2절 고등교육 전공별 졸업자
제3절 분석 자료 및 방법
제4절 고등교육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
제5절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제8장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와 대학의 역할(김진영)
제1절 서 론
제2절 국제 비교를 통해 본 한국 대학의 현황
제3절 한국 대학의 문제
제4절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