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과 한글기념가의 역사 또는 2024 나합격 조경기능사 필기+무료특강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한글날과 한글기념가의 역사 또는 2024 나합격 조경기능사 필기+무료특강

땅끝
2024-12-19 07:52 145 0

본문




한글날과 한글기념가의 역사
9791165876937.jpg


도서명 : 한글날과 한글기념가의 역사
저자/출판사 : 리의도, 보고사
쪽수 : 354쪽
출판일 : 2024-04-15
ISBN : 9791165876937
정가 : 26000

머리말
일러두기

제1편 한글날의 발전사

1. 대한제국 시기
1.1. 훈민정음 창제일과 반포일에 대한 이해
1.1.1. 국문 연구 위원의 「국문 연구」
1.1.2. 국문연구소의 「국문연구 의정안」

1.2. 훈민정음 창제 기념식 염원
2. 항일 투쟁 시기의 한글날
2.1. 훈민정음 창조 기념
2.1.1. 훈민정음에 대한 애정과 인식
2.1.2. 훈민정음 창조 기념회
2.2. 훈민정음 반포 기념 축하
2.2.1. 병인년(1926년)의 역사적 의의 확인
2.2.2. 반포일을 '음력 9월 29일'로 잡음
2.2.3. 반포 8회갑 기념 '가갸날' 축하회 계획
2.2.4. 반포 8회갑 기념 '가갸날' 축하회 거행
2.2.5. 조선어연구회 단독의 기념 축하회
2.2.6. 가갸날의 영향과 효과
2.2.7. '가갸날'이라는 이름에 대한 논란
2.2.8. '한글날'로 고쳐 부름
2.2.9. '기념식'으로 자리잡음
2.2.10. 날짜를 '양력 10월 28일'로 고쳐잡음
2.2.11. 『훈민정음』 해례본 발견 및 10월 9일' 확정·공표

3. '공휴일' 시기의 한글날
3.1. 1945년 한글날 기념행사
3.2. 500 한글날 및 임시 공휴일
3.2.1. 500돌 기념행사
3.2.2. 500의 효과 및 지방의 기념행사
3.3. 법정 공휴일이 됨
3.4. 한국전쟁 동안의 한글날
3.5. '법정 국경일 제정' 건의
3.6. 중앙 기념식의 이모저모
3.7. 중앙 기념식의 주최권을 정부로 넘김

4. '법정 기념일' 시기의 한글날
4.1. 법정 기념일이 된 한글날
4.2. '법정 공휴일 제외' 움직임과 그 반대 운동
4.3. '법정 국경일 제정'으로 목표 전환
4.3.1. 법정 국경일 제정' 운동의 재점화
4.3.2. 법률 개정 운동의 전개
4.3.3. 「국어기본법」 속의 한글날

5. '법정 국경일' 시기의 한글날
5.1. '법정 국경일'이 됨
5.2. 다시 '법정 공휴일'이 됨
5.3. 경축식의 이모저모
6. 북쪽의 훈민정음 기념일

6.1. 훈민정음 창제 기념일
6.1.1. '1월 15일'의 등장
6.1.2. '훈민정음 창제 기념일'의 첫 행사
6.1.3. 1950~1963년 동안의 창제 기념일 행사
6.1.4. 1964년 이후의 창제 기념일 행사
6.2. 『훈민정음』 해례본 저작 기념일

제2편 한글기념가의 변천사

1. 대한제국 시기의 한글기념가

2. 항일 투쟁 시기의 한글기념가
2.1. 전라남도 지역의 가갸날 노래 와 「한글노래」
2.2. 『조선일보』의 「한글기념가」
2.3. 일로 지은 「글날 노래」

3. 광복 직후의 한글기념가
3.1. 이극로 작사의 「한글노래」
3.2. 「한글노래」 부르기의 확산
3.2.1. 1945년의 「한글노래」 부르기
3.2.2. 1946~1949년의 「한글노래」 부르기
3.3. 「한글 반포 오백년 기념가」
3.4. 또 다른 노래 「한글날

4. 한국전쟁 직후의 한글기념가
4.1. 최현배 작사 「한글의 노래」
4.2. 두 가락의 「한글의 노래」
4.2.1. 나운영 작곡 「한글의 노래」
4.2.2. 박태현 작곡 「한글의 노래」
4.3. 「한글의 노래」 가사의 차이

5. 노래 제목의 바뀜
5.1. 「한글 노래」로 제목이 바뀜
5.2. 「한글날 노래」로 다시 바뀜

제3편 자료

01. 1909. 훈민정음 창제·반포에 관한 「국문 연구」의 내용
02. 1443/1446. 훈민정음 창제·반포에 관한 사료(한문본)
03. 1946. 「500돌 한글날 담화」_문교부장 유억
04. 1949. 「503돌 한글날 담화문」_대통령 이승만
05. 1956. 「한글은 겨레정신의 결정」_최현배
06. 1962. 516돌 한글날 기념식 「기념사」_세종기념사업회 회장 김상협
07. 1965. 「519돌) 한글날에 즈음하여」_대통령 박정희
08. 1966. 「건의서- 한글날을 국경일로 정하는 일-」_한글학회 등
09. 1969. 523돌 한글날 기념식 「식사」_한글학회 이사장 최현배
10. 1976. 530돌 한글날 기념식 「식사」한글학회 이사장 허웅
11. 1979. 533돌 한글날 기념식 「식사」_세종기념사업회 회장 이관구
12. 1981. 535톨 한글날 기념식 「기념사」_국무총리 남덕우
13. 1990. 544돌 한글날 기념식 「기념사_국무총리 강영훈
14. 1991. 「그래도 한글날은 국경일이어야 한다」_리의도
15. 1991. 「한글날은 국경일로 격상돼야」_리의도
16. 2006. 560톨 한글날 경축식 「경축사」_대통령 노무현
17. 2008. 한글날 경축사는 오류투성이_『헤럴드경제』
18. 1954. 「훈민정음 창제의 력사적 의의」_김병제
19. 1954. 「조선 인민의 문자」_리극로
20. 1954. 「우리 문자의 과학성과 인민성」_김수경
21. 1962. 「자랑스러운 우리의 민족 문'자」_류렬
22. 2004. 「자랑스러운 민족 글자 훈민정음」_김인호

참고 문헌
찾아보기




2024 나합격 조경기능사 필기+무료특강
9791192394794.jpg


도서명 : 2024 나합격 조경기능사 필기+무료특강
저자/출판사 : 조은정, 삼원북스
쪽수 : 508쪽
출판일 : 2024-01-05
ISBN : 9791192394794
정가 : 28000

PART 01 조경사
01 조경일반
02 조경양식과 조경사

PART 02 조경계획과 설계
01 조경계획
02 조경설계

PART 03 조경재료
01 식물재료
02 인공재료

PART 04 조경시공
01 시공이론
02 부문별공사

PART 05 조경관리
01 조경관리일반
02 조경식물관리

PART 06 합격족보
01 1과목 조경사
02 2과목 조경계획과 설계
03 3과목 조경재료
04 4과목 조경시공
05 5과목 조경관리

PART 07 과년도 기출문제
* 2016년 5회부터 CBT 방식으로 전면 시행됨에 따라 실제 수험생 분들의 복원을 토대로 문제를 구성하였습니다. 최신 문제를 풀어보고 최신 경향을 파악해 보세요.

01 2015년 1회 필기 기출문제
02 2015년 2회 필기 기출문제
03 2015년 4회 필기 기출문제
04 2015년 5회 필기 기출문제
05 2016년 1회 필기 기출문제
06 2016년 2회 필기 기출문제
07 2016년 4회 필기 기출문제
08 2017년 1회 CBT 복원문제
09 2017년 3회 CBT 복원문제
10 2018년 1회 CBT 복원문제
11 2018년 3회 CBT 복원문제
12 2019년 1회 CBT 복원문제
13 2019년 3회 CBT 복원문제
14 2020년 1회 CBT 복원문제
15 2020년 3회 CBT 복원문제
16 2021년 1회 CBT 복원문제
17 2021년 3회 CBT 복원문제
18 2022년 1회 CBT 복원문제
19 2022년 3회 CBT 복원문제
20 2023년 1회 CBT 복원문제
21 2023년 3회 CBT 복원문제

PART 08 필수 암기수목 120종
01 필수 암기수목 120종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