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을 위한 직장 내 괴롭힘 대응 솔루션 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레토릭
땅끝
2024-12-19 07:52
148
0
본문
중소기업을 위한 직장 내 괴롭힘 대응 솔루션

도서명 : 중소기업을 위한 직장 내 괴롭힘 대응 솔루션
저자/출판사 : 문소연 , 이하나 , 한선희, 두드림미디어
쪽수 : 200쪽
출판일 : 2024-04-10
ISBN : 9791193210628
정가 : 19000
| 프롤로그 | …… 5
| 등장인물 | …… 9
1단계 : 신고
01 직장 내 괴롭힘이 발생했다! …… 15
02 직장 내 괴롭힘은 어디에 신고할 수 있을까? …… 17
03 직장 내 괴롭힘은 누구나 신고할 수 있을까? …… 27
2단계 : 상담
04 상담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 37
05 신고자를 보호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45
3단계 : 조사
06 약식 조사는 어떻게 해야 할까? …… 55
07 한눈에 보는 직장 내 괴롭힘 사건 전체 처리 절차 …… 61
08 정식 조사에 앞서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 65
09 조사위원회는 어떻게 구성해야 할까? …… 72
10 조사 전에 준비할 것은 무엇일까? …… 77
11 조사에서는 어떤 질문을 해야 할까? …… 85
12 정식 조사 진행 시, 대면조사는 어떻게 하면 될까? …… 91
13 정식 조사 진행 시, 어떤 입증자료가 필요할까? …… 96
14 정식 조사 진행 시, 조사보고서는 어떻게 작성할까? …… 99
15 직장 내 괴롭힘 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은? …… 103
16 직장 내 괴롭힘을 판단하는 기준은? …… 107
17 직장 내 괴롭힘 판단 기준 ① 우위성 …… 114
18 직장 내 괴롭힘 판단 기준 ②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는 행위 …… 117
19 직장 내 괴롭힘 판단 기준 ③ 신체적, 정신적 고통 등 …… 120
20 직장 내 괴롭힘이 아닌 경우에는 어떻게 할까? …… 122
21 직장 내 괴롭힘이 인정된 경우, 어떠한 조치를 할 수 있을까? …… 124
22 직장 내 괴롭힘이 인정된 경우, 피해근로자에게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까? …… 140
23 직장 내 괴롭힘 처리 시 유의해야 할 점은? …… 147
4단계 : 사후조치
24 직장 내 괴롭힘 사건 이후, 사후조치 ① 모니터링 …… 155
25 직장 내 괴롭힘 사건 이후, 사후조치 ② 재발방지 대책 …… 160
| 에필로그 | …… 166
| 부록 | 관련 서식 …… 169
아리스토텔레스의 레토릭

도서명 : 아리스토텔레스의 레토릭
저자/출판사 : 아리스토텔레스, 대원사
쪽수 : 456쪽
출판일 : 2024-04-15
ISBN : 9788936922641
정가 : 23000
ㆍ 역자 서문
ㆍ 해설 ‘레토릭’에 대한 새로운 이해
ㆍ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
ㆍ 『레토릭』의 장별 개요
제1권 설득의 공중 연설
CHAPTER 1 변론법과 변증법
변론법과 변증법 | 변론법 연구의 가능성 | 종전 변론법의 불비 | 계쟁 당사자가 할 일 | 입법자와 재판관이 할 일 | 의회 변론 | 설득 추론과 논리적 추론 | 변론법의 유용성 | 변론법의 기능
CHAPTER 2 변론법의 정의
변론법의 정의와 영역 | 두 가지 설득 | 변론법 설득의 세 종류 | 변증법의 윤리학과의 관계 | 변증법의 증명과 유비 | 예증과 설득 추론의 차이 | 설득의 의미와 특징 | 변론법이 다루는 대상 | 변론법에서 추론의 전제 | 설득 추론의 전제 | 있을 법한 것과 징증 | 예증 | 설득 추론 두 가지 | 변증법과 변론법의 논점
CHAPTER 3 변론법의 종류
변론법의 세 가지 종류 | 변론이 관계되는 세 가지 시기 | 변론의 목적 | 변론의 세 가지 전제
CHAPTER4 의회 변론
심의 대상 | 이 탐구의 한계점 | 심의의 다섯 가지 주제
CHAPTER 5 윤리적 토픽
행복이 모든 사람의 목적 | 행복의 정의 | 행복의 부분 | 좋은 혈통 | 좋은 자녀의 혜택 | 부유 | 명성 | 명예 | 신체의 덕 | 좋은 노년 | 친구 | 호운(好運) | 덕
CHAPTER 6 윤리적 토픽(속)
좋은 것의 정의 | 추가 규정과 실례 | 좋은 일로 명백한 것 | 이론에 대한 평가
CHAPTER 7 비교 우위를 입증하는 방법
비교적 크다, 비교적 작다의 정의 | 비교적 큰 선 | 종류 사이의 대소 | 계기 관계의 대소 | 제3의 것과의 비교 | 두 가지 비교
CHAPTER 8 국제(國制)
국제 분류의 필요 | 국제의 네 가지 종류 | 각 국제에 대한 정의 | 각 국제의 목적
CHAPTER 9 일반 변론
일반 변론의 목표 | 아름다운 것에 대한 정의 | 덕 | 덕의 여러 부분, 덕목 | 덕의 징후와 성과 | 아름답고 훌륭한 것 | 유어(類語)에 의한 칭찬 | 청중이 칭찬하는 행위일 것 | 상응하는 행위일 것 | 선택에 의한 행위일 것 | 칭찬과 찬사 | 칭찬과 조언의 상호 변환 | 확대 과장 | 각종 변론에 적응하는 방법
CHAPTER 10 범죄에 대한 토픽
부정을 고찰하는 세 가지 관점 | 부정의 정의 | 부정을 선택하는 동기 | 부정행위의 외적 동기 | 행위의 내적 동기 | 부대적 원인
CHAPTER 11 쾌락에 대한 토픽
쾌락의 정의 | 본성과의 일치는 유쾌하다 | 습관은 유쾌하다 | 강제받지 않는 것은 유쾌하다 | 욕망이 향하는 것은 유쾌하다 | 욕망의 2종 | 기억이나 기대에 기초를 둔 쾌락 | 다른 쾌락
CHAPTER 12 가해자와 피해자의 토픽
부정이 가능한 경우 | 처벌되지 않는다고 믿는 경우 | 발각되지 않으리라고 믿는 경우 | 처벌이 작다고 믿는 경우 | 부정의 대상인 상대 | 부정행위의 종류
CHAPTER 13 정당성과 비정당성의 토픽
정·부정의 분류 | 두 종류 법에 의한 규정 | 두 종류 사람에 의한 규정 | 부정은 의도적 행위 | 부정에 의지가 작용한다 | 성문화되지 않은 정·부정 | 공정이 적용되는 행위 | 어떤 행위가 공정인가
CHAPTER 14 큰 부정을 입증하는 방법
품성의 부정에 기초한 경우 | 피해 규모에 의한 경우 | 그 밖의 기준에 의한 경우 (1) | 변론의 효과적 방법 | 그 밖의 기준에 의한 경우 (2) | 불문법에 반하는 행위
CHAPTER 15 비기술적 설득 방법
비기술적 설득의 수효 | 법 | 증인 | 계약 | 고문에 의한 자백 | 선서
제2권 인격에 의한 설득, 정서적 호소에 의한 설득, 이에 수반하는 논리의 전개
CHAPTER 1 설득의 특성과 정서의 영향
제1권의 요약 | 변론의 목표 | 청자의 감정 | 논자가 신뢰받는 근거, 인품 | 감정
CHAPTER 2 성냄
성냄의 정의 | 개인 대상의 쾌락 | 경멸의 여러 양상 | 성난 때 마음의 상태 | 성냄의 상대 | 마무리
CHAPTER 3 온화함
온화함의 정의 | 온화하게 만나는 상대 | 온화한 사람, 마음의 상태 | 마무리
CHAPTER 4 우애와 증오
우애의 정의 | 우애의 상대 | 우애의 종류 | 우애의 조건 | 미움의 정의 | 성냄과 미움의 차이 | 마무리
CHAPTER 5 불안감과 자신감
두려움의 정의 | 두려운 것 | 두려워하는 사람 | 두려운 것 (속) | 어떠한 상태일 때 두려워하는가 | 대담성의 정의 | 대담성의 대상 | 어떤 상태일 때 대담할까
CHAPTER 6 부끄러움이 있고, 없고
부끄러움의 정의 | 부끄럽게 생각하는 상대 | 부끄러움을 느끼는 경우
CHAPTER 7 친절과 불친절
친절의 정의 | 변론의 진행법 | 친절의 범주 | 불친절
CHAPTER 8 동정심
동정심의 정의 | 어떤 상태일 때 동정심을 갖는가 | 동점심을 부르는 것 | 동정심을 부르는 사람
CHAPTER 9 의분
의분과 동정 | 의분과 질투 | 의분을 느끼는 대상 | 의분을 느낄 때의 상태 | 마무리
CHAPTER 10 질투
질투의 정의 | 질투를 느낄 때의 상태 | 질투의 대상이 되는 것 | 질투의 대상인 사람 | 마무리
CHAPTER 11 경쟁심
정의 및 경쟁심을 가질 때의 상태 | 경쟁심을 갖는 대상 | 경쟁심을 불태우는 상대 | 감정 전체의 마무리
CHAPTER 12 청년의 특성
고찰의 주제 | 청년
CHAPTER 13 노년의 특성
청년과의 비교
CHAPTER 14 장년의 특성
장년은 중간적 성격 | 장년의 시기
CHAPTER 15 명문가의 특성
가문이 좋은 데에 따른 성격 | 혈통이 바른 것과의 차이
CHAPTER 16 재산가의 특성
부자의 성격 | 벼락부자와 예부터의 부자 | 부자의 부정
CHAPTER 17 권력가의 특성
권력| 호운
CHAPTER 18 공통의 논점
지금까지의 요약 234 | 3종의 변론에 공통되는 논점 235
CHAPTER 19 공통의 논점(각론)
가능과 불가능 | 과거와 미래 | 대와 소
CHAPTER 20 실례를 통한 입증
두 개의 공통 설득 수단 | 예증의 2종 | 역사적 사실에 의한 예증 | 창출된 예증, 비유 | 창출된 예증, 우화 | 우화와 역사적 사실의 비교 | 예증을 쓰는 경우
CHAPTER 21 격언을 통한 입증
격언의 정의 | 격언의 분류 | 보충을 하는 경우 | 격언을 사용하는 경우 | 정착된 격언과 반대인 경우 | 격언의 효용 | 마무리
CHAPTER 22 설득 추론
정의의 확인 | 문제 특유의 논점을 알 필요 | 설득 추론의 요소(논점) | 마무리와 다음의 고찰
CHAPTER 23 설득 추론의 논점
28개 항목의 논점 | 유효한 설득 추론
CHAPTER 24 형식만의 설득 추론
9개 항목의 논점
CHAPTER 25 설득 추론의 반박
반박의 두 가지 방법 | 네 종류의 이론(異論) | 네 종류의 반박
CHAPTER 26 설득 추론의 주의 사항
과장과 과소평가는 논점이 아니다 | 반박을 위한 설득 추론 | 이론은 설득 추론이 아니다 | 1·2권의 마무리
제3권 표현 벙법과 배열
CHAPTER 1 제3권의 주제
변론의 세 가지 부분 | 표현 방법의 고찰 | 연기적 요소, 음성 | 연기법은 미조직 | 표현 방법의 역사
CHAPTER 2 좋은 문체의 특성
시적 표현의 주의 | 신조어와 일상어 | 동음어와 동의어 | 비유(譬喩) | 비유의 적절성 | 비유의 부적절성 | 수식어 | 축소사
CHAPTER 3 잘못한 어휘 선택
합성어 | 듣기 어려운 말 | 수식어 | 비유
CHAPTER 4 ‘이를테면`, ‘가령’
‘이를테면’, ‘가령’의 정의 | ‘이를테면’, ‘가령’의 사용 | ‘이를테면’, ‘가령’의 실례
CHAPTER 5 문법적 정확성
접속어의 적절한 사용 | 고유의 명칭을 사용한다 | 다의어(多義語)를 피한다 | 명칭의 성별 | 수의 차이 | 구두점 | 접속어는 공통적일 것 | 요점을 앞에 표시할 것
CHAPTER 6 표현의 중후함
명칭 대신 설명구를 사용한다 | 복수형을 사용한다 | 분리 표현 | 접합 표현 | 표현의 확대
CHAPTER 7 표현의 적절성
적절성의 정의 | 균형 | 감정을 표시한다 | 인품을 표시한다 | 주의 사항
CHAPTER 8 산문의 리듬
산문에 리듬이 필요 | 산문의 리듬 | 파이안 가락을 분별 있게 사용
CHAPTER 9 문체 표현의 구성
두 개의 표현 구성 | 연결된 것만의 표현 | 주기적인 문장 | 주기적 문장 2종 | 절의 병치(倂置)와 대치 | 파리소시스, 파로모이오시스
CHAPTER 10 세련된 표현
이해할 수 있는 것 | 비유의 효용 | 비유(직유) | 대치되는 표현 | 비례 관계에 의한 비유
CHAPTER 11 생생한 표현과 신선한 어휘
생생한 표현의 정의와 실례 | 비유는 통찰을 요한다 | 다른 예상을 주다 | 경구 | 교묘한 수수께끼 | 예기치 못한 말과 고쳐 만든 말 | 맛이 있는 말 | 적절한 동음이의어 | 직유 | 속담 | 과장 표현
CHAPTER 12 표현 방법의 종류
변론에 따르는 표현 방법 | 쓴 변론과 토론용 변론 | 반복 | 접속사 생략 | 토론용 표현 | 연설용 표현 | 표현 분류의 한계
CHAPTER 13 언론의 부분
불가결한 두 부분 | 종래 분류에 대한 비판
CHAPTER 14 서론에 대하여
정의 | 피리의 ‘서곡’과 유사하다 | 칭찬 또는 비난의 서론 | 충고에 의함 | 법정 변론의 원용 | 법정 변론의 서론 | 서론의 목적 | 고발·변명의 서론 | 청자에게 있어서의 치료 효과 | 긴 서론의 효용 | 일반 변론의 서론 | 의회 변론의 서론
CHAPTER 15 중상 또는 모함
중상을 해소하는 논점 | 또, 동기를 다른 동기로 떠맡김 | 중상 측의 논점 | 양자에 공통되는 논점
CHAPTER 16 진술 화법
일반 변론의 진술 | 행위에 대한 진술 | 법정 변론의 진술, 고발의 경우 | 법정 변론의 진술, 변명의 경우 | 진술은 간결히 해야 한다 | 진술에 성격을 표한다 | 감정적 요소 | 진술의 주의 사항 | 진술 장소 | 의회 변론의 진술
CHAPTER 17 주장의 입증(증거 제시)
법정 변론의 설득 | 일반 변론의 설득 | 의회 변론의 설득 | 실례 | 설득 추론 | 감정 | 도덕적 성격 | 각종 변론의 비교 | 반대자에 대한 설득 | 자기를 표현하지 않는다 | 설득 추론의 변형
CHAPTER 18 질문·대답·농담
질문하는 시기 | 어떻게 대답할까 | 농담
CHAPTER 19 결론에 대하여
결론의 구성
ㆍ 역자 주해
ㆍ 용어 풀이
ㆍ 참고 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