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사의 제자들아 껍질을 깨고 나오라 또는 HRD 연구방법론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마법사의 제자들아 껍질을 깨고 나오라 또는 HRD 연구방법론

땅끝
2024-12-19 07:52 113 0

본문




마법사의 제자들아 껍질을 깨고 나오라
9791190844390.jpg


도서명 : 마법사의 제자들아 껍질을 깨고 나오라
저자/출판사 : 조정, 이소노미아
쪽수 : 216쪽
출판일 : 2023-12-15
ISBN : 9791190844390
정가 : 14000

1부 나는 씨앗 주머니를 챙겨

환경영향평가서 | 36
춘분의 갈채 | 38
산황산 | 40
허물 | 42
정화 휴게소 | 44
여우와 당골 | 46
초록 여우 | 50
장항습지가 보낸 여름 편지 | 52
접속어와 손잡은 숲의 살리다 클럽 | 56
울게 하소서 | 58
밥 | 60
손을 찾습니다 | 62
아무렴 좀 염치 있게 망하기 | 64

2부 맨발이면 어때

쓸쓸하게 바삭거리는 미농지처럼 | 70
경칩 | 72
마차길 | 74
감나무 숟가락 | 76
산황마을 민마루 | 78
측간을 위하여 | 80
여보세요, 왜 아카시나무를 죽여요 | 82
우는 자들과 함께 울라 | 84
너븐숭이 펜션 | 86
때죽꽃 | 88
서진주식당 | 90
배웅 | 92
명자나무의 기억 | 94
법정보호종 | 96
나무 이름표 | 100
숲의 부활을 기다리며 | 104

3부 시민불복종

망종 | 112
2021년 5월 21일 | 114
시민 7인 | 116
단식하는 겨울밤 | 120
8월의 탱고 | 122
시의회 앞에서 | 124
불법벌목 | 126
야만 | 128
리치랑 땅 보기 | 130
농원의 아침 | 132
단추 | 134
옥수수 연대 | 136
함구령 | 138
야간 탐조 | 140
설혜 | 142
입에 은제 나이프 물고 경의선 산책로를 걸어요 | 144

4부 조수림

서망항 | 152
소만 | 154
구의역 그 아이 | 158
우러라 우러라 새여 | 162
붉은 자궁 | 166
이덕구 산전 | 168
동거차도 | 170
돌을 위한 부탁 | 172
성산포 공항 | 174
강정 리포트 | 176
안드로메다로 가는 메텔에게 | 180
병수네 감자밭 | 182
구절초가 슬픔의 저고리를 입고 지켰다 | 184
목시물굴 수림씨에게 띄우는 편지 | 186




HRD 연구방법론
9791165199487.jpg


도서명 : HRD 연구방법론
저자/출판사 : 김태성 , 이재은 , 박지원 , 유상옥 , 강현주 ,, 박영스토리
쪽수 : 324쪽
출판일 : 2024-07-31
ISBN : 9791165199487
정가 : 19000

PART 01 과학적 연구

① 과학적 HRD 연구(김태성) 3
▶들어가며 3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6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7
▶어떻게 연구를 정당화할 것인가? 13
▶나가며 15

PART02 명제에 대한 실증

② 측정도구 개발(이재은) 21
▶들어가며 21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를 위한 필독서들 23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를 위한 기본개념들 27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절차 34
▶HRD 분야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동향 37
▶HRD 분야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제언 49

③ 구조방정식모델 연구(박지원) 57
▶구조방정식모델이란 57
▶연구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59
▶구조방정식모델 연구절차 60
▶맺음말 77
④ 다층모형 연구(유상옥) 81
▶들어가며 81
▶다층모형의 필요성: 다층화 된 구조로 세상을 바라보기 83
▶다층이란? 다층화 된 데이터에 대한 이해 85
▶다층모형의 단계 88
▶다층모형에서의 고려사항 96
▶맺음말 100

PART 03 현상의 의미 탐구

⑤ 질적연구 설계(강현주) 107
▶들어가며: HRD 영역에서 질적 연구의 위치와 확대 107
▶연구 패러다임과 연구방법론 109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111
▶질적 연구 본격적으로 수행하기 113
▶질적 연구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이슈 124
▶질적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 127
▶나가며 130

⑥ 근거이론 연구(유기웅) 135
▶근거이론 방법과 생성되는 이론 135
▶근거이론 방법에 적합한 연구주제 선정을 위한 전제 138
▶적합한 연구주제 140
▶연구 설계 144
▶연구 참여자 선정 원리 146
▶자료 분석 방법 147
▶연구의 윤리성, 타당성, 신뢰성 163

PART 04 지식의 통합과 확장

⑦ 문헌연구(이재영) 173
▶들어가며 173
▶문헌고찰의 중요성 174
▶문헌고찰 유형 175
▶문헌고찰 연구 가이드 184
▶결론 187

⑧ 메타분석(이윤수) 193
▶메타분석의 정의 193
▶메타분석의 필요성 194
▶메타분석의 절차 194
▶분석 모형 200
▶출판 편향 201
▶메타 회귀분석 202
▶메타 SEM 203
▶맺음말 206

PART 05 실행 및 응용 연구

⑨ 역량모델링 연구(박용호) 211
▶역량, 역량모델, 역량모델링 212
▶역량모델링 연구 특징 214
▶역량모델링 절차 216
▶연구문제 설정 및 선행연구 분석 219
▶연구방법 222
▶연구결과 및 결론 225
▶역량모델링 연구 수행 시 유의점 227

⑩ 사회연결망 분석(현영섭) 233
▶사회연결망의 개념과 분석의 시작 233
▶사회연결망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과 분석 절차 236
▶사회연결망의 수치적 특성과 구조적 특성 분석 244
▶의미망 분석 253
▶사회연결망 분석의 발전 방향 258

⑪ Q방법론(백평구) 265
▶Q방법인가 Q방법론인가 265
▶Q방법론의 위치 268
▶Q연구의 절차 269
▶Q연구에 의한 HRD 논문 작성 276
▶결어 279

⑫ 피플 애널리틱스(정보영) 285
▶들어가며 285
▶머신러닝과 같은 인공지능을 사회과학 도구로 쓰는 것은 타당한가? 287
▶연구방법론이 되고 싶은 피플 애널리틱스 293
▶나가며 306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