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창 금과 들소리의 민요문화적 의미와 무형문화유산적 가치 또는 기출의 파급효과 영어(상)(2024)(2025 수능대비)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순창 금과 들소리의 민요문화적 의미와 무형문화유산적 가치 또는 기출의 파급효과 영어(상)(2024)(2025 수능대비)

땅끝
2024-12-19 07:52 169 0

본문




순창 금과 들소리의 민요문화적 의미와 무형문화유산적 가치
9788928519576.jpg


도서명 : 순창 금과 들소리의 민요문화적 의미와 무형문화유산적 가치
저자/출판사 : 나승만 , 김익두 , 김월덕 , 강재욱 , 허정주 ,, 민속원
쪽수 : 216쪽
출판일 : 2024-02-25
ISBN : 9788928519576
정가 : 17000

서론


호남 들소리의 전반적 양상과 순창 ‘금과 들소리’의 민요문화적 위상|나승만
Ⅰ. 서언 : 들소리/들노래는 호남문화의 표상이다
Ⅱ. 호남 들소리의 특징 몇 가지
Ⅲ. 들소리 문화권이 있다
Ⅳ. 순창군 금과는 한국 들소리가 모이는 ‘터미널’
Ⅴ. 결어 : K-pop의 노래 발전소 ‘호남 들소리’를 이어가자

전북민요의 지역적 특성과 순창 민요 ‘금과 들소리’의 무형문화유산적 가치|김익두
Ⅰ. 서언
Ⅱ. 전북민요의 민요권 구분
Ⅲ. 전북민요의 민요권별 특성과 동남부-산간분지 민요권
Ⅳ. 동남부-산간분지 민요권 민요의 소지역별 전개 양상
Ⅴ. 순창 들소리의 지역별 전개 양상
Ⅵ. 금과들소리의 무형문화유산적 의의와 가치
Ⅶ. 결어

순창 ‘금과 들소리’의 지역적 특성과 문화적 전개|김월덕
Ⅰ. 서언
Ⅱ. 순창 금과지역의 자연 환경과 모정리의 인문적 배경
Ⅲ. 순창 금과면 모정리의 노동관행과 노동요의 상관성
Ⅳ. 순창지역의 음악문화와 모정 들노래의 곡조 및 가창방식의 특징
Ⅴ. 전승환경의 변화와 노동요의 새로운 지향
Ⅵ. 결어

순창 ‘금과 들소리’의 지역적 성격과 음악적 특성-논매는소리를 중심으로|강재욱
Ⅰ. 서언
Ⅱ. 전북지역과 순창지역 논매는소리의 유형 및 지역별 분포
Ⅲ. 순창 ‘금과 들소리’의 음악적 내역 및 특성
Ⅳ. 결어

한국민요의 무형문화재 지정 현황과 전북민요 문화재 지정의 문제점|허정주
Ⅰ. 서언
Ⅱ. 한국민요 무형문화재 지정 현황
Ⅲ. 전북민요 문화재 지정과 관련한 몇 가지 주요 사례 검토
Ⅳ. 한국민속예술축제와 전북민요의 문화재 지정 문제
Ⅴ. ‘문화재’에서 ‘국가유산’으로의 전환
Ⅵ. 결어 : 전북민요 문화재 지정의 바람직한 방향

순창 역사-민속 문화의 배경과 ‘금과 들소리’의 바람직한 전승 방향|송화섭
Ⅰ. 서언
Ⅱ. 순창 역사 민속문화의 배경과 특성
Ⅲ. 순창 ‘금과 들소리’의 인문사회적 환경
Ⅳ. 결어 : 순창 금과들소리의 바람직한 전승 방향




기출의 파급효과 영어(상)(2024)(2025 수능대비)
9791167028938.jpg


도서명 : 기출의 파급효과 영어(상)(2024)(2025 수능대비)
저자/출판사 : 이주진 , 곽정인 , 진성하, 오르비
쪽수 : 610쪽
출판일 : 2024-02-23
ISBN : 9791167028938
정가 : 29900

Chapter 1. 대의 파악
Chapter 1-1. 지문에는 이해해야 하는 중심 문장들이 있다. (주장/요지)
Chapter 1-2. 평가원 오답 선지의 Pattern. (주제/제목)
Chapter 2. 빈칸 추론
Chapter 2-1. Targeting & Paraphrasing. (빈칸 추론)
Chapter 2-2. A/B 치환. (고난도 빈칸Ⅰ)
Chapter 2-3. Generalization. (고난도 빈칸Ⅱ)
Chapter 3. 빈칸 파생 유형
Chapter 3-1. 함축의미 추론유형도 결국은 빈칸이다. (함축의미 추론)
Chapter 3-2. 요약은 주제를 알려준 빈칸이다. (요약)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