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역사 또는 2025 하수혜 거름이 유아교육개론(상)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폴란드 역사 또는 2025 하수혜 거름이 유아교육개론(상)

땅끝
2024-12-19 07:52 156 0

본문




폴란드 역사
9791127473761.jpg


도서명 : 폴란드 역사
저자/출판사 : 와타나베 가츠요시, 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쪽수 : 276쪽
출판일 : 2024-04-10
ISBN : 9791127473761
정가 : 19800

서문

서장 왕국의 여명기
초기 피아스트 왕조 / 숙적 독일기사단
칼럼 - 폴란드의 주요 도시

제1장 중세의 대국-폴란드 - 리투아니아 연합왕국의 융성
초기 야기에우워 왕조 / 폴란드 중세의 문화 / 슐라흐타 민주정 / 프로이센의 복속 / 르네상스 / 국왕자유선거제 / 동방 진출 / 발트해를 둘러싼 공방 / 튀르키예, 코사크와의 전쟁 / 얀 카지미에시의 퇴위 / 아우구스트 2세와 레슈친스키
칼럼 - 폴란드 회화의 세계

제2장 왕제의 종언과 국가 소멸-러시아 · 프로이센 · 오스트리아에 의한 폴란드분할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 / 미국독립전쟁에 뛰어든 폴란드인 / 4년국회와 5월 3일 헌법 / 코시치우슈코 봉기와 제3차 폴란드분할
칼럼 - 영화로 본 바르샤바

제3장 열강의 지배와 조국 해방운동-계속되는 민족 봉기
이탈리아의 폴란드 군단 / 나폴레옹 치하에서 / 빈회의 후의 폴란드 / 11월 봉기 / 대망명 / 크라쿠프 봉기와 갈리치아 학살 / 낭만주의 / 1848년 혁명과 폴란드인 / 1월 봉기 / 실증주의 / 제 정당의 탄생 / 제1차 대전과 그 영향
칼럼 - 폴란드인의 성

제4장 양 대전 전간기-잠깐의 독립과 피우수트스키 체제
제1차 대전 후의 국경 확정 /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 3월헌법 / 피우수트스키 체제 / 제2차 대전 직전의 폴란드 외교
칼럼 - 국제공통보조어 에스페란토

제5장 나치 독일의 침공과 대전 발발-망명정부와 지하 국가의 성립
제2차 세계대전 발발 / 바르샤바 시장 스타진스키 / 스타진스키 체포 / 소련군의 침공과 제4차 폴란드분할 / 폴란드 망명정부와 국내 지하조직의 성립 / 나치 독일의 점령 정책 / 움슐라그플라츠 / 코르차크 선생 / 시코르스키 - 마이스키 협정 / 안데르스군의 창설 / 폴란드인 공산주의자들의 활동 / ‘바퀴’ 작전과 인민방위군에 의한 폭탄 테러 / ‘멕시코 2’ 작전 / 카틴 숲 사건 / 바르샤바 게토 봉기 / 게토 봉기 구원 작전 / 망명정부 진영 간부의 교체 / ‘산 사나이’ 작전
칼럼 - 카르스키는 홀로코스트를 목격하였는가

제6장 소련에 의한 해방과 대전 종결-바르샤바 봉기의 공죄
노동자당의 전술 변경 / 1943년 10월 26일 자 정부 훈령 / ‘폭풍’ 작전 / 테헤란회담 / 쿠체라 암살 사건 / 바르샤바에 ‘폭풍’ 작전 도입 / 바르샤바 봉기의 외국인 / 바르샤바 봉기 그리고 미코와이치크의 사임 / 얄타회담 / 전후 지배를 향하여
칼럼 - 바르샤바 봉기는 정말 불가피한 것이었을까?

제7장 사회주의 정권 시대-소련 지배의 속박 아래
1946년 국민투표 / 키엘체 사건 / 1947년 총선거 / 폴란드통일노동자당의 성립 / 스탈린주의 / 10월의 봄 / 3월 사건 / 12월 사건 / 기에레크 정권하에서 / 폴란드 출신의 로마교황
칼럼 - 잊히지 않는 전쟁 기억

제8장 민주화운동과 동구 개혁-자주관리노조 ‘연대’와 바웬사
‘연대’의 탄생 / 계엄령 선포 / 원탁회의 개최 / ‘연대’ 내각의 탄생과 문제점 / 바웬사, 대통령으로 / 1990년 대통령 선거 분석 / 일련의 변혁을 거쳐
칼럼 - 영화 · 연극의 거장 안제이 바이다

종장 폴란드는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
제3공화정의 시작 / 크바시니에프스키 대통령 / 카친스키 대통령 / 코모로프스키 대통령 이후 / 경제의 행방
칼럼 - 바르샤바봉기기념관

후기
역자 후기
주요 참고문헌
폴란드 간략 연표




2025 하수혜 거름이 유아교육개론(상)
9791169877220.jpg


도서명 : 2025 하수혜 거름이 유아교육개론(상)
저자/출판사 : 하수혜, 박문각
쪽수 : 508쪽
출판일 : 2024-01-30
ISBN : 9791169877220
정가 : 30000

SESSION 01. 발달
Ⅰ. 발달의 기초
UNIT01 발달의 개념
UNIT02 발달의 원리
UNIT03 발달에 적합한 실제(DAP)
UNIT04 발달에 대한 학설(발달의 쟁점)
Ⅱ. 성숙주의 이론
UNIT05 재현이론-스탠리 홀
UNIT06 성숙이론-게젤
Ⅲ. 행동주의 이론
UNIT07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 파블로프
UNIT08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 왓슨
UNIT09 도구적 조건형성이론 - 손다이크
UNIT10 조작적 조건화이론 - 스키너
UNIT11 행동수정기법
UNIT12 (인지적)사회학습이론-반두라
Ⅳ. 정신분석이론
UNIT13 심리성적이론-프로이드
UNIT14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에릭슨
Ⅴ. 인지발달이론
UNIT15 인지발달이론-피아제
UNIT16 사회문화적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
UNIT17 정보처리이론
Ⅵ. 동물행동학적 이론
UNIT18 각인이론-로렌츠
UNIT19 애착이론-보울비
Ⅶ. 지능이론
UNIT20 지능이론-커텔
UNIT21 다중지능이론-가드너
UNIT22 삼원지능이론-스턴버그
UNIT23 지능 측정 검사
Ⅷ. 생태학적 체계이론
UNIT24 생태학적 체계이론-브론펜브레너
Ⅸ. 인본주의 학습이론
UNIT25 욕구계층이론-매슬로우
UNIT26 인간중심 상담-로저스

SESSION 02. 사상사
Ⅰ. 고대 교육사상
UNIT01 소크라테스
UNIT02 플라톤
UNIT03 아리스토텔레스
UNIT04 키케로
UNIT05 퀸틸리아누스
Ⅱ. 근대 교육사상
UNIT06 코메니우스
UNIT07 로크
UNIT08 루소
UNIT09 오베르랑
UNIT10 오웬
Ⅲ. 신인문주의 교육사상
UNIT11 페스탈로치
UNIT12 프뢰벨
Ⅳ. 현대 교육사상
UNIT13 피바디
UNIT14 몬테소리
UNIT15 듀이
UNIT16 슈타이너
UNIT17 니일
Ⅴ. 우리나라 유아교육사상
UNIT18 방정환
UNIT19 마해송

SESSION 03. 놀이
Ⅰ. 놀이 이해
UNIT01 놀이의 특성
UNIT02 놀이와 관계되는 개념
UNIT03 놀이의 중요성
Ⅱ. 놀이 이론
UNIT04 고전적 놀이 이론
UNIT05 현대적 놀이 이론 . 심리 역동적 접근
UNIT06 현대적 놀이 이론 . 인지적 접근
UNIT07 현대적 놀이 이론 . 각성조절이론
UNIT08 현대적 놀이 이론 . 상위 인지적 접근
Ⅲ. 놀이 발달
UNIT09 인지적 놀이 발달 유형
UNIT10 사회적 놀이 발달 유형
UNIT11 복합적 놀이 발달 유형
UNIT12 자유놀이
UNIT13 거친 신체놀이
Ⅳ.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UNIT14 개인적 변인
UNIT15 사회적 변인
UNIT16 교육 환경 . 놀이 환경
UNIT17 교육 환경 . 놀이 공간
UNIT18 교육환경 . 놀잇감
Ⅴ. 놀이 지도
UNIT19 놀이지도의 의의 . 존슨, 크리스티, 야키
UNIT20 놀이지도를 위한 준비
UNIT21 놀이 개입 유형
UNIT22 갈등 및 문제행동 지도 방법
Ⅵ. 놀이 관찰 및 평가
UNIT23 유아 놀이 관찰 및 평가 지침 . 존슨, 크리스티, 야키
UNIT24 놀이 참여 관찰 척도
UNIT25 놀이 평정 척도

SESSION 04. 교사론
Ⅰ. 유아교사직의 이해
UNIT01 교사의 신념
UNIT02 유아교사의 특성
UNIT03 교직관
UNIT04 유아교사직의 자질
UNIT05 유아교사의 인성
UNIT06 유아교사직의 핵심 역량
UNIT07 유아교사직의 역할
UNIT08 교사직의 구분(유아교육법)
Ⅱ. 교원의 권리와 의무
UNIT09 교원의 권리
UNIT10 교원의 의무
UNIT11 교직의 윤리
Ⅲ. 유아교사의 발달
UNIT12 교사발달에 대한 관점-하그리브스와 퓰란
UNIT13 교사발달에 대한 관점-인지적 관점 이론
UNIT14 교사발달에 대한 관점-직선적·순차적 이론
UNIT15 교사발달에 대한 관점-복합적·순환적 이론
Ⅳ. 유아교사의 전문성
UNIT16 교사의 효능감
UNIT17 반성적 사고
UNIT18 지식의 유형
Ⅴ. 현직교육과 장학
UNIT19 현직교육
UNIT20 장학
UNIT21 발달적 장학
UNIT22 장학의 유형-실시주체에 따른 장학 유형
UNIT23 장학의 유형-장학의 방법과 내용에 따른 장학 유형
Ⅵ. 유아교육기관의 조직 문화
UNIT24 조직 문화
UNIT25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UNIT26 유아교사의 역할 갈등
UNIT27 유아교사의 인간관계
UNIT28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UNIT29 리더십
UNIT30 교사학습공동체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