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칼로레아 철학 수업 또는 한국 금융의 미래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바칼로레아 철학 수업 또는 한국 금융의 미래

땅끝
2024-12-19 07:52 123 0

본문




바칼로레아 철학 수업
9791193217405.jpg


도서명 : 바칼로레아 철학 수업
저자/출판사 : 사카모토 타카시, 현익출판
쪽수 : 212쪽
출판일 : 2024-03-25
ISBN : 9791193217405
정가 : 20000

프롤로그
시민을 육성하는 프랑스 교육
프랑스 철학 교육의 목적은 틀을 익히는 것
틀은 모순적일까?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틀의 사례
당연함을 의심하기 위한 틀을 가르치는 철학 교육
이 책의 구성

1장 프랑스 철학 교육
철학을 필수로 배우는 프랑스 고등학생
바칼로레아 시험은 어떤 것인가?
‘바칼로레아의 대명사’는 철학
고등학생은 어떤 ‘철학’을 배울까?
철학 교육은 ‘철학자를 육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정말 프랑스 사람은 모두 철학을 잘할까?
역시 철학은 어렵다
철학을 배우면 어떤 능력을 익힐 수 있을까?
시민을 육성하는 철학

2장 사고의 틀이란 무엇인가?
‘자유롭게 사고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자유와 제약은 대립하지 않는다!
틀에 맞추는 것의 장점
‘자유롭게 논하시오’의 부자유함
자유롭게 논하고, 아는 것을 기술하시오
사고의 틀 안에서 자유롭게 사고하라!
사고의 틀, 구성 요소 세 가지
사고의 틀, 평가 요소 세 가지
좋은 답안이란 무엇인가?
사고의 틀, 사용 방법

3장 사고의 틀 전체상
수험생은 어떻게 문제를 푸는가?
문제의 주제를 분석하라
문제의 형태를 분석하라
문제의 표현을 정의하라
문제에 ‘네, 아니요’로 대답해 보자
문제의 세부 내용에 주목하라
문제를 질문의 집합으로 변환하라
논거를 모아 활용하라
구성안이 소논문의 질을 결정한다
구성안 예시
구성안을 소논문으로
사고의 틀을 활용한 소논문 작성법
사고의 틀을 활용하기 위해

4장 노동, 자유, 정의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는가?
노동 : 노동이란 무엇인가?
즐거운 노동
자아실현으로써의 노동
노동을 향한 비판-마르크스와 니체
기술의 진보와 분업
기술의 위험
자유 : 자유를 정의하다
자기 지배로써의 자유
사회에서의 자유
도덕적 자유
자유의지의 문제
정의 : 정의란 무엇인가?
자연 상태와 사회 계약
자연법과 실정법
법의 한계, 법률은 항상 공정한가?

5장 사고의 틀로 철학을 하다
사고의 틀은 어떻게 사용되는가
노동 : 노동은 우리를 더 인간답게 만드는가?
자유 : 기술은 우리의 자유를 증진하는가?
정의 : 권력 행사와 정의 존중은 양립 가능한가?

6장 사고의 틀을 응용하다
사고의 틀을 응용하다
교양이란 무엇인가
사고의 틀을 익히는 의의
질문을 만드는 사람
질문을 만드는 여러 가지 방법
사고의 틀, 한계를 넘어
바칼로레아 철학 시험에서 배우는 대답하는 법
문제를 복수의 질문으로 분해하라
질문의 전제를 의심하라
바칼로레아 철학 시험을 넘어
‘설명하다’에 어떻게 답할 것인가?
정답이 없는 문제, 괜찮다

에필로그
사고의 틀과 시민 교육
프랑스다운 사고의 틀, 유래와 한계
사고의 틀을 활용하기 위해
사고의 틀이 만들어지기까지

마치며




한국 금융의 미래
9791191812701.jpg


도서명 : 한국 금융의 미래
저자/출판사 : 한국금융학회,엮음, 율곡출판사
쪽수 : 544쪽
출판일 : 2024-06-04
ISBN : 9791191812701
정가 : 33000

프롤로그『한국 금융의 미래』 개관`-전성인(홍익대 경제학부 교수, 『한국 금융의 미래』 발간 추진위원회 위원장)

CHAPTER01 디지털 경제의 출현과 금융산업의 미래-김진호(이화여대 경영대학 교수)·심명화(명지대 경영학과 교수)

CHAPTER02 중앙은행에 대한 새로운 도전-신관호(고려대 경제학과 교수)·강기윤(연세대 경영대학 부교수)·박재빈(숭실대 경제학과 부교수)

CHAPTER03 노령화와 금융시장의 변화, 그리고 정책과제 -김세완(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김경록(서강대 경영전문대학원 겸임교수, 미래에셋자산운용 고문)

CHAPTER04 가계부채의 지속 가능성 및 부동산 금융의 안정화 `-이윤수(서강대 경제대학 교수)

CHAPTER05 한국 경제의 금융중개 기능 고도화-빈기범(명지대 경제학과 교수)·서근우(전 동국대 경영학과 석좌교수)·정지만(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CHAPTER06 저탄소 경제 전환과 금융산업의 대응-정태용(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이지윤(연세대 경영대학 부교수)·문종우(한국환경연구원 부연구위원)

CHAPTER07 국제경제질서 변화와 금융 국제화 -박복영(경희대 국제대학원 교수)·허인(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

CHAPTER08 금융회사(은행)의 지배구조와 사회적 책임-이창민(한양대 경영대학 교수)

CHAPTER09 자본시장 인프라: 평가와 과제-박창균(자본시장연구원 부원장)·김정연(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부교수)·이상호(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한재준(인하대 글로벌금융학과 교수)

부록대담: 한국 금융의 미래`-사회 : 이기영(경기대 경제학부 교수, 전 한국금융학회장), 토론 : 김우찬(고려대 경영학과 교수)·신보성(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종구(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정중호(한양대 경제학부 특임교수)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