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발적 탄소시장 다이제스트 또는 건국대통령 이승만의 삶과 국가
땅끝
2024-12-19 07:52
142
0
본문
자발적 탄소시장 다이제스트

도서명 : 자발적 탄소시장 다이제스트
저자/출판사 : 김태선, 두드림미디어
쪽수 : 236쪽
출판일 : 2024-05-30
ISBN : 9791193210789
정가 : 20000
프롤로그 5
Part 1 글로벌 탄소시장 개요
규제적 탄소시장 18
자발적 탄소시장 24
파리협약과 탄소시장 29
- 산호세 원칙 34
Part 2 자발적 탄소시장 현황
자발적 탄소시장 구조 40
자발적 탄소시장 수급 현황 49
자발적 탄소시장 가격분석 59
- 잔존 기간이 긴 탄소크레딧을 가격이 높게 유지하는 이유는? 62
- 자연기반 프로젝트와 기술기반 프로젝트 간의 가격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65
- 그린워싱(Greenwashing) 10가지 유형 68
Part 3 프로젝트 개발자
1. Ecosecurities 76
2. South Pole 76
3. FiniteCarbon 77
4. UNDO 77
5. InfiniteEarth 78
6. Linving Carbon 78
Part 4 표준인증 및 등록기관
1. Verified Carbon Standard(VCS) 83
2. Gold Standard(GS) 84
3. Climate Action Reserve(CAR) 86
4. American Carbon Registry(ACR) 87
5. Puro.Earth 88
- CORSIA 적격 표준인증 및 등록기관 90
- CORSIA 탄소배출권 적격 기준 93
Part 5 마켓플레이스 및 API 제공기관
1. Pachama 102
2. NCX 102
3. Ecologi 103
4. Goodcarbon 103
5. Patch 104
- 자발적 탄소시장에서 마켓플레이스의 역할 104
Part 6 자발적 탄소크레딧과 블록체인
자발적 탄소시장과 블록체인의 필요성 111
탄소크레딧 토큰화 과정 113
탄소크레딧 소각 프로세스 115
- 탄소크레딧 토큰화를 위한 실무 절차 116
탄소크레딧의 토큰화 유형 118
자발적 탄소크레딧 토큰화를 위한 프로그래밍 120
- 탄소크레딧 토큰화 프로그래밍 126
탄소크레딧 토큰화 플랫폼 127
Part 7 자발적 탄소시장 거래소
1. Air Carbon Exchange 140
2. Climate Impact X 141
3. Xpansiv CBL 143
4. CTX Global 145
5. enmacc 146
Part 8 자발적 탄소크레딧 평가기관
1. Sylvera 153
2. Bezero 154
3. Calyx Global 156
4. Renoster 157
- NICE피앤아이-NAMU EnR, ‘자발적 탄소크레딧 스코어링 평가모형’ 개발 협력 158
- NAMU EnR ‘한국형 자발적 탄소크레딧 등급 평가모형’ 개발 160
Part 9 자발적 탄소시장 이니셔티브
1. SBTi 165
2. ICROA 167
3. VCMI 169
4. ICVCM 170
5. CCQI 172
- UN SDGs, UN Sustainability Development Goals 174
- UN SDGs 협회의 ESG 프레임워크 176
Part 10 자발적 탄소시장 최적 대응전략
고품질 탄소크레딧 확보방안 183
- 더 가디언 등 언론 3사 “베라, 탄소크레딧 94%는 환상! 감축 성과 없어” 190
-‘청정 쿡스토브’ 지원사업 … ‘탄소상쇄 10배 부풀려 거래’ 191
감축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방안 193
자발적 탄소크레딧 매매 손익분석 197
부록
1. Voluntary Carbon Market Rankings 202
2. 자발적 탄소시장 참여자 홈페이지 URL 205
3.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 10선 211
4. Global Carbon Market Structure 221
5. 자발적 탄소시장 주요 용어 및 약어 정리 223
참고 자료 229
건국대통령 이승만의 삶과 국가

도서명 : 건국대통령 이승만의 삶과 국가
저자/출판사 : 오인환, 나남출판
쪽수 : 634쪽
출판일 : 2024-03-25
ISBN : 9788930041652
정가 : 38000
개정판 머리말 / 초판 머리말 / 프롤로그: 이승만 신화를 있는 그대로 조명한다
이승만의 성장기와 청년기
미국유학 때 왕손임을 과시해 / 배재학당 졸업 뒤 독립협회 활동에 참여 /
이승만, 감옥행이 오히려 대성 발판 쌓게 해 / 밀사, 유학의 두 가지 목표로 미국에 가 /
5년 만에 초스피드로 학사-석사-박사 따내 / 귀국했던 이승만, 다시 망명길에 올라 /
이승만, 하와이에서 독립운동 장기포석 깔아 / 하와이 리더십 분쟁, 절반의 성공과 절반의 실패
이승만과 상해임시정부
전문, 통신원 통해 원거리 통치 시도해 / 상해임정, 출발부터 먹구름 /
초기 구미위원부 활발하게 활동해 / 상해임정, 미국으로 옮겼어야 옳았다 /
이승만 요인은 빙산의 일각일 뿐 … / 지정학적 역할분담론 정립했어야 /
이승만의 ‘워싱턴 외교’, 열강 외면으로 좌절 / 불우한 시절 맞이했으나 좌절 않고 버텨 /
흥업구락부, 이승만의 국내지지 교두보 / 일본의 만주 침략 맞자 독립외교 재개해 /
미모의 프란체스카와 사랑에 빠지다
이승만과 태평양전쟁
미국, 전쟁 끝날 때까지 임정 승인 안 해 / 미국, 한국 독립운동세력의 통합 요구 /
대일전 무장투쟁 가능성 있었는가 / 일본 항복으로 OSS와의 협동작전도 무산 /
‘임정 승인’을 방해한 외인론은 … / 이승만, 김구, OSS와 공동작전 마련해 /
임정 승인을 둘러싼 국민당의 이중 정책 / 미국이 ‘임정 승인’ 안 한 것은 소련 때문 /
이승만, 왜 ‘좌ㆍ우 연합참전’ 반대했나 / 이승만 전시외교의 공과 과
해방정국
하지 장군, 점령지침도 없이 한국에 진주해 / 박헌영의 인공 선포는 첫 단추 잘못 끼운 것 /
미 국무부, 이승만의 귀국길을 방해해 / 김구와 박헌영, ‘독촉’에 참여 거부 /
반탁운동으로 우익이 정국 주도권 잡아 / 한민당, 이승만에 협조하며 돌파구 마련 /
박헌영의 전략미스가 이승만에 반사이익 줘 / ‘좌우 합작’은 서투른 정치공작 /
뒷전에 밀린 이승만, 도미외교로 승부수 던져 / 스탈린, 이승만 중 누가 분단의 원흉인가 /
이승만, 첫 총선에서 개운치 않은 승리 / 김구, 총선 참여해 활동기반 넓혔어야 /
제헌 과정에서 한민당이 첫 단추 잘못 끼워 / 이승만의 대통령제 선택이 옳았다 /
이승만, 건국파트너 한민당을 조각에서 제외시켜 / 이승만, 한민당의 결별, 모두에게 타격 줘 /
제헌국회, 밀월기간도 없이 신생정부 견제 나서/ 반민특위’ 둘러싸고 무소속 의원들과 격돌 /
이승만, 왜 친일경찰의 손을 들어주었나 / ‘나치 청산’과 ‘친일 청산’의 차이는 /
점령기간 4년과 40년은 엄청난 차이 / 한국이 배워야 할 프랑스의 역사성찰 자세 /
한국도 본격적인 역사성찰을 거쳐야 한다 / 토지개혁이 이승만 정권 기반 닦아줘 /
제주 4.3 사건과 여순 반란사건 / 제주 4.3 사건 진압 거부해 여순 반란사건 일어나 /
대공 수사력 강화 위해 국가보안법 만들어 / 여순 반란사건 뒤 우파세력 총결집 /
집권 2년 이승만의 위기관리 평점은 / 이승만의 북진통일론, 그 등장배경과 실체는 /
주한미군은 왜 철수를 강행했나 / 한국군 경무장에 훈련도 소홀해 /
애치슨 발언과 미국의 태평양 방위전략
한국전쟁
김일성, 스탈린 동의 아래 남침준비 / 한국군, 방어상태가 최악일 때 기습당해 /
북한의 남침과 한ㆍ미 양국의 대응 / 미국, 발 빠른 대응으로 참전 결정해 /
한국군 춘천방어 승리, 남침작전 차질 불러 / 북한군, 서울 점령 뒤 ‘3일 지체’로 승전기회 날려 /
이승만의 심야 서울탈출 … 두개의 관점 / 이승만, 비겁자에서 용감한 지도자로 되돌아와 /
인천상륙작전 성공과 북진, 그리고 중공의 참전 / 맥아더가 병력을 동서로 나눈 것은 큰 실수 /
유엔군, 중공군에 밀려 38선까지 후퇴 / 리지웨이 등장 계기로 유엔군 전력 회복해 /
한반도에서 핵전쟁 일어날 뻔했다 / 맥아더의 해임과 미국 전쟁정책의 전환 /
이승만의 북진론, 맥아더의 북진론 / 전쟁 중 ‘부산 정치파동’ 일어나 / 휴전을 둘러싼 한미 갈등 /
반공포로 석방, 미국의 급소 노린 승부수 / 중공, 이승만의 기 꺾기 위해 대공세 펴 /
“이승만을 제거하라”, 에버레디 작전 / 북진 때 39도선에서 멈췄어야 했다 /
이승만의 대미외교, ‘벼랑 끝 전술’ / 반공포로 석방, 벼랑 끝 전술의 하이라이트 /
이승만의 방미, 불화로 끝난 정상회담 / 이승만, 미 의회연설에서 미국의 유화정책 공격해 /
이승만, 젊은 시절부터 시대의 예언자 / ‘구보다 망언’으로 한ㆍ일 회담 4년간 연기돼 /
자유당, 3선 개헌으로 영구집권의 길 터 / 장기집권 견제하기 위해 선명야당 출범 /
대통령에 이승만, 부통령에 장면 당선 / 조봉암 사법살인의 경위와 배경은 /
이승만, ‘군 분할지배-문민우위’의 원칙 세워 / 이승만은 ‘교육대통령’ /
이승만, 원자력 기술도입 결단 내려 / 이승만 시대, 한국 경제발전의 뿌리 심어 /
친일파-실력양성론-경제성장의 주역 / 내각제 개헌협상을 둘러싼 온건, 강경파 대결 /
이승만, 이기붕 해외요양 밀령 내리기도 / 이승만, 후계구도에 끝까지 애매하게 처신 /
이기붕 부통령 당선시키려 3.15 부정선거 추진
4.19 학생의거에서 이승만이 하야하기까지
마산시민들 3ㆍ15 부정선거 규탄 선봉에 서다 / 교수단 시위까지 나온 뒤 대통령 하야성명 나와 /
미국의 지지철회가 하야결정에 큰 영향 줘 / 이승만, 스스로 하야를 결단했다 /
교육혁명이 배출한 젊은 세대가 이승만 쓰러트려 / 군의 정치적 중립, 4.19 혁명 가능케 해 /
“국민이 원한다면 하야하겠다”, 명언 남겨
이승만에 대한 역사 평가
이승만은 어떤 타입의 인물인가 / 이승만은 어떤 유형의 ‘독재자’인가 / 이승만에 대한 역사 평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취임사 / 연보 / 참고자료 /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