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달걀! PART1 Built-out 또는 국어 말글의 쓰임과 교육
땅끝
2024-12-19 07:52
124
0
본문
삶은 달걀! PART1 Built-out

도서명 : 삶은 달걀! PART1 Built-out
저자/출판사 : 별, 휴앤스토리
쪽수 : 496쪽
출판일 : 2024-02-07
ISBN : 9791193857014
정가 : 20000
시작하면서
prologue
Chapter 01 대립물의 투쟁과 통합이라는 끊임없는
변화의 과정
1 헤라클레이토스ㆍ끊임없는 변화
2 프리드리히 헤겔ㆍ변증법과 정신
3 켄 윌버ㆍ홀론과 홀라키
Chapter 02 관계성
4 프랙탈과 카오스
5 복잡성 과학
6 스티븐 존슨ㆍ창발성
7 앨버트 - 라슬로 바라바시
Chapter 03 불안과 고통
8 불교ㆍ삼법인과 사성제
9 쇠렌 키르케고르ㆍ단독자의 불안과 실존
10 자유와 실존
11 마르틴 하이데거ㆍ세계 안에 내던져진 존재
12 아르투르 쇼펜하우어ㆍ의지에 굴복한 삶의 부정
13 지그문트 프로이트ㆍ리비도로 가득 찬 무의식 그리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14 프리드리히 니체ㆍ의지를 활용한 삶의 긍정
15 알베르 카뮈ㆍ부조리를 향한 반항
16 르네 지라르ㆍ모방 욕망의 삼각형 구조와 희생양 메커니즘
17 조르주 바타유ㆍ에로티즘으로 본 금기와 위반의 욕망
18 자크 라캉ㆍ의미 찾기에 천착하는 욕망, 주이상스
19 수전 블랙모어ㆍ모방에 편승한 두 번째 복제자, 밈
20 에리히 프롬ㆍ소유하려 하지 말고, 매 순간 존재하라!
21 한나 아렌트ㆍ악의 평범성
Chapter 04 타인과 사회
22 마르틴 하이데거ㆍ타인들이란…
23 장 폴 사르트르ㆍ타인은 나의 지옥
24 한병철ㆍ자유의 종말
25 마르틴 부버ㆍ우리는 ‘사이’의 존재
26 슈테판 슈트라서ㆍ대화를 통한 타인에 대한 믿음
27 라인홀드 니버ㆍ비도덕적인 사회
28 장 보드리야르ㆍ시뮬라크르와 소비사회
29 한병철ㆍ긍정사회, 피로사회, 투명사회
30 켄 윌버ㆍ세 영역과 각각의 기준
Chapter 05 우리와 그들
31 리처드 니스벳ㆍ동양과 서양의 차이
32 리처드 니스벳 & 리 로스ㆍ사람일까? 상황일까?
33 피에르 부르디외ㆍ구별 짓기
34 데이비드 베레비ㆍ‘우리와 그들’이라는 구분의 허약함
35 앤 무어 & 데이비드 제슬ㆍ남녀의 뇌 구조의 차이
36 루안 브리젠딘ㆍ여자의 뇌
37 루안 브리젠딘ㆍ남자의 뇌
38 헬렌 피셔ㆍ우리가 사랑에 빠지는 이유
39 존 그레이ㆍ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40 존 그레이ㆍ왜 그렇게 다른가 했더니, 원인은 호르몬?
끝맺으면서
참고문헌
국어 말글의 쓰임과 교육

도서명 : 국어 말글의 쓰임과 교육
저자/출판사 : 강연임, 보고사
쪽수 : 314쪽
출판일 : 2024-07-10
ISBN : 9791165877378
정가 : 20000
책머리에
제1부 국어 말글의 쓰임
| 유행어의 의미 양상과 언어 문화적 쓰임
1. 들어가기
2. 매체 유행어의 의미 형성 방법
3. 매체 유행어의 의미와 표현 양상
4. 매체 유행어의 언어 문화적 지향
5. 나오기
| 매체 유행어의 쓰임과 사회언어학적 심리
1. 들어가기
2. 매체에서의 유행어 형성과 사용 양상
3. 유행어 사용의 사회언어학적 심리
4. 유행어에 대한 교육적 접근과 해석
5. 나오기
| 오락 프로그램 자막 언어의 쓰임과 기능
1. 들어가기
2. 오락 프로그램 자막 언어의 연구 경향
3. 〈효리네민박〉에 나타난 자막 언어의 기능적 특징
4. 〈효리네민박〉을 통해 본 자막 언어의 문제점
5. 나오기
| 언택트 경연 프로그램의 소통과 자막어의 쓰임
1. 들어가기
2. 언택트 경연 프로그램 자막의 소통 구조
3. 언택트 경연 프로그램 자막의 기능
4. 언택트 경연 프로그램 자막의 특성
5. 나오기
| 카카오톡 메신저의 쓰임과 사회언어학적 성격
1. 들어가기
2. 카카오톡 메신저에서의 소통 양상
3. 카카오톡 메신저 소통의 사회언어학적 성격
4. 카카오톡 메신저를 활용한 소통의 효과
5. 나오기
| 1930년대 김해송 노랫말의 쓰임과 언어 문화 현상
1. 들어가기
2. 김해송 노래의 어휘 활용 양상
3. 김해송 노래의 어휘 표현 양상
4. 김해송 노래의 어휘와 언어 문화 현상
5. 나오기
제2부 국어 말글의 교육
| 토의 수업을 통한 말하기 교육
1. 들어가기
2. 토의 수업을 위한 대비와 전략
3. 토의 수업의 모형과 수업 활동
4. 토의 수업을 통한 말하기 학습의 효과와 제언
5. 나오기
| 체험 수업을 활용한 말하기 교육
1. 들어가기
2. 말하기 수업의 개설 현황
3. 체험 중심 수업의 이론적 배경
4. 체험 중심 말하기 수업 모델 구축 방안
5. 체험 활동 중심 말하기 수업의 기대 효과
6. 나오기
| 말하기의 쟁점과 공적 말하기 교육
1. 들어가기
2. 공적 말하기의 개념과 특성
3. 공적 말하기의 쟁점과 교육 내용
4. 공적 말하기의 교육 방안 모색
5. 나오기
| 비교과 프로그램을 활용한 말하기 교육
1. 들어가기
2. '말하기클리닉'의 운영 현황과 상담 절차
3. '말하기클리닉'의 상담 방법과 성과
4. 나오기
| 교과-비교과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1. 들어가기
2.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의 설계
3.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의 실제
4. 교과-비교과 활동 연계 글쓰기 수업의 교육 효과
5. 나오기
댓글목록0